Wilson Centre 170

[연구] 박사 과정 학생으로서의 철학적 태도 개발하기: 사례 연구

출처: Castanelli, D. J. (2024). Developing your philosophical stance as a PhD student: A case study. Focus on 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A Multi-Professional Journal, 25(2), 130-143. https://fohpe.org/FoHPE/article/view/831 서론Introduction "당신의 철학적 입장은 무엇입니까?" "당신의 존재론은 무엇입니까? 당신의 인식론은요?" 제가 답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이것들은 제가 보건의료교육(Health Professional Education, HPE) 박사 과정을 시작했을 때 호기심 많은 새로운 동료들에게 받았던 무서운..

Wilson Centre 2024.09.13

[QI] 현명한 단어 선택: 불필요한 시험에 대한 대화에서 전공의들이 수사학적 호소를 사용하는 이유

출처: Tseng, E. K., Mukerji, G., Weinerman, A., Fuller, J., McLeod, A., Wong, B. M., ... & Stroud, L. S. (2020). Choosing words wisely: residents’ use of rhetorical appeals in conversations about unnecessary tests. Academic Medicine, 95(2), 275-282. https://journals.lww.com/academicmedicine/abstract/2020/02000/choosing_words_wisely__residents__use_of.31.aspx 의료 자원의 과다 사용에 대한 우려가 불필요한 검사, 치료 및 절차의 ..

Wilson Centre 2024.09.12

[QI] 21세기를 위한 아동 건강 개선과 품질 개선의 조화

출처: Singh, G., & Cribb, A. (2021). Aligning quality improvement with better child health for the 21st century.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Education and Practice, 106(6), 370-377. https://ep.bmj.com/content/106/6/370.long 서론INTRODUCTION 영국의 의료서비스 품질 위원회(CQC, Care Quality Commission)—의료 및 사회복지 서비스 규제 및 검사 기관—는 최근 지속적인 개선 및 품질 개선(QI) 문화를 성공적으로 내재화한 국립 보건 서비스(NHS) 신탁들이 가장 높은 품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Wilson Centre 2024.09.12

[Expertise] 절차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의 대안적 재개념화

출처: Baroody, A. J., Feil, Y., & Johnson, A. R. (2007). Research commentary: An alternative reconceptualization of procedural and conceptual knowledg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8(2), 115-131. https://www.jstor.org/stable/30034952  2005년 11월 이 저널의 "Research Commentary"에서 ("Reconceptualizing Procedural Knowledge"), Jon Star는 수학 교육자들에게 절차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과 개념적 지식(conc..

Wilson Centre 2024.09.12

[Expertise] 전문성과 지식의 인지적 은유: 의학교육의 전망과 한계

출처: Mylopoulos, M., & Regehr, G. (2007). Cognitive metaphors of expertise and knowledge: prospects and limitations for medical education. Medical education, 41(12), 1159-1165. https://asmepublication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j.1365-2923.2007.02912.x 서론 의학적 전문성에 대한 연구는 수십 년 동안 의학교육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였습니다. 이 연구의 가치는 자명해 보입니다. 개별 의료인의 전문적 수행 능력과 그 발달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면, 우리는 훈련 프로그램을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Wilson Centre 2024.09.12

[양적연구] 연구를 위한 실험 및 준실험 설계

출처: Campbell, D. T., & Stanley, J. C. (2015).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designs for research. Ravenio books.  이 장에서는 16개의 실험 설계를 12개의 일반적인 타당한 추론에 대한 위협을 기준으로 검토할 것입니다. 여기서 '실험'은 변수를 조작하고 그 효과를 다른 변수에 대해 관찰하는 연구의 부분을 의미합니다. 이 장의 역할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Fisher(1925, 1935) 전통의 실험 설계에 관한 장이 아닙니다. Fisher의 전통에서는 실험자가 완전한 통제권을 가지고 최적의 통계적 효율성을 위해 처치와 측정을 계획할 수 있으며, 설계의 복잡성은 오로지 효율성의 목표에서 나옵니다..

Wilson Centre 2024.09.12

[양적연구] 의학교육의 정량적 연구 방법

출처: Norman, G., & Eva, K. W. (2018).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in medical education. Understanding medical education: evidence, theory, and practice, 405-425.  정량적 연구 패러다임 정량적 연구 방법은 수 세기 동안 물리 과학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이는 1500년대 천문학에서의 놀라운 발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실제로 자연 과학을 정량화 없이 상상하는 것은 어렵고, 이러한 성과들을 깊이 탐구할수록 과학자의 능력에 대해 경이로움을 느끼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매우 큰 것(예: 우주론)이나 매우 작은 것(예: 입자 물리학), 혹은 우리 일상에 더 가까운 디지털 전자..

Wilson Centre 2024.09.12

[역사] 병원과 현대 기술의 통합

출처: Foucault, M., Knowlton, E., King, W. J., & Elden, S. (2016). The incorporation of the hospital into modern technology. In Space, knowledge and power (pp. 141-151). Routledge. https://www.taylorfrancis.com/chapters/edit/10.4324/9781315610146-21/incorporation-hospital-modern-technology-michel-foucault-edgar-knowlton-william-king-stuart-elden  병원이 현대 기술에 통합된 과정 미셸 푸코 (번역: 에드가 놀턴 주니어, 윌리엄 J. 킹, ..

Wilson Centre 2024.09.10

[지식 번역] 지식 동원에 대한 기관 내 전문가들의 관점: 개발 평가 결과

출처: MacGregor, S., Phipps, D. J., Malcolm Edwards, C., Kyffin, J., & Portes, V. (2021). Institutionally embedded professionals’ perspectives on knowledge mobilization: findings from a developmental evaluation. Canadia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51(3), 166-183. https://journals.sfu.ca/cjhe/index.php/cjhe/article/view/189103서론 (Introduction)연구는 지역적, 세계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종종 그 가치는 충분히 ..

Wilson Centre 2024.09.10

[지식 번역] '지식 번역'이라는 은유를 버려야 할 때인가요? 비판적 문헌 검토

출처: Greenhalgh, T., & Wieringa, S. (2011). Is it time to drop the ‘knowledge translation’metaphor?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104(12), 501-509.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258/jrsm.2011.110285 서론 1972년에 Medline에서 처음으로 ‘지식 전이(knowledge translation)’라는 주제로 색인된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프랑스어로).이는 현재 ‘T1’ 또는 ‘실험실에서 임상으로(bench to bedside)’ 지식 전이로 불리는 개념을 제안했으며,..

Wilson Centre 2024.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