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11

의학교육 기초: YouTube 영상 모음

이제 3월 1일이 되면 각 의대에는 새로운 교수님들이 부임하시게 됩니다. 한양의대에도 거의 스무분의 신임교수님이 오십니다. 대부분의 의과대학 신임교수님들은 전임교원이 되기까지 십수년의 과정을 밟으시나, 그 기간 동안 "교육에 대한 교육"은 거의 받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의과대학에서는 "신임교수 워크숍"이란 것을 합니다. 여기서는 다양한 교육 주제를 다루지만, 보통은 그 중에서도 교육과정/교수법/평가법 같은 것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실제로 의학교육평가인증 기준에서도, 모든 신임교수는 발령 1년 이내에 15시간 이상의 '의학교육에 관한 교육'을 받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작년 말, 올해 신임교수워크숍을 대비해서 뭔가를 준비해보고 싶은 생각이 불현듯 들어서 《의학교육 기초》라는 동영상을 만들어 올리..

건축물과 교육과정(2019년 7월 18일의 기록)

1. "건축물을 만들 때 우리는 건축물 자체에 초점을 맞춰서는 안 된다. 그 건축물이 담아내는 ‘삶’을 바라보아야 한다. 우리는 차를 선택할 때 자동차의 디자인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외관 디자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자동차를 누구와 함께 타고 어디를 가느냐이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건축과 도시를 만들 때 건축물 자체보다는 그 공간 안에서 이루어질 사람들의 삶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어서 생각해야 한다." 2. 교육과정도 마찬가지다. 교육과정의 외형보다 그 안에서 이뤄질 학생들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3. 그러고보니 "우리는 건물을 만들고, 그 건물은 다시 우리를 만든다"는 말을 "우리는 교육과정을 만들고, 그 교육과정이 다시 우리를 만든다."라는 말로 바꿔서 썼던 논문을 읽은 적이 있었던게 떠올..

학교에서 - 현장에서

1. 잘 가르치고 있고, 잘 하고 있다. 2. 잘 가르치지 않고 있고, 잘 하고 있다. 3. 잘 가르치고 있고, 잘 안/못 하고 있다. 4. 잘 가르치지 않고 있고, 잘 안/못 하고 있다. 1은 대체로는 기존의 방식을 지속하게 된다. 대표적으로 임상(진료)과 관련된 교육이 해당할 것이다. 현재 잘 하고 있으니 전반적으로는 "If it ain't broke, don't fix it" 이겠으나, 하던대로"만" 해서는 곤란하다. 취약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고쳐나가고, 무엇보다 효율화 할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 그래야 2, 3, 4를 위한 공간과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2는 가르칠 가르치고 배울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예를 들면 연구에 대한 교육일 것이다. 여러 의과대학에서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할 수 있는 기..

We make our curriculum and then our curriculum makes us (2019년 5월 14일의 기록)

1. 강의평가 점수(그닥 좋지 않은)와 몇몇 학생들의 코멘트(할많하않)를 보며 멍...해지던 찰나, 알림을 받은 #어쩌다걸린트윗 "다음을 해결하기 전까지, 아마 우리(의학교육자)에게 의학교육에서의 learning과 well-being은 늘 어려운 문제로 남을 것이다. 《학생들은 무언가를 더 배우고자, 또는 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 자기자신을 밀어붙이지 않는다. 그저 교육과정의 여러 '문지기'들이 요구하는 것을 그냥 해넘기는(check of boxes) 모습만을 보여줄 뿐이었다.》" 2. 그리고 여기에 한 마디를 덧붙이는데, "제가 보기에, 이들은 그저 의학교육시스템에 내제된 인센티브에 반응하는 것일 뿐입니다. 그래서 저는 학생들을 비난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비난받을 사람은 우리 자신입니다. 《Every s..

의예과 1학년이 제안한 의과대학 교육과정 (2021년 4월 2일의 기록)

【Q. 만약 여러분이 ‘아무런 제약 없이’ 의과대학 교육과정을 만든다면, 어떻게 만들고 싶나요?】 아래는 "의예과 1학년(!!!)" 학생들의 응답 중 일부 발췌, 정리한 내용이다. 내가 수업에서 (주입/강의식으로) 가르친 것은 하나도 없고, 의학교육의 미래를 다룬 외국 교과서의 한 챕터를 간단히 번역, 요약해서 제공한 뒤, 조별로 읽어보고, 토론하고 논의결과만 제출해달라고 했다. 틀린 말이 없다. 이런 의견을 반영한다면 보다 '학생 중심 교육'으로 다가가는 것일텐데, '아무런 제약 없이'라는 단서가 현실로 오면 '온갖 현실적 제약을 달고'로 완전히 달라지는 것이 함정이겠지. ● 사회적 변화 빠르게 반영 (서울대학교 의대 성소수자 의료 수업) ● 우리나라 의사들은 아시아 쪽 교류가 많다. 그쪽 집단에 대한..

하버드 의대 교육과정 표를 보고(2015년 2월 27일의 기록)

하버드의대가 교육과정 개편중에 있다는 이야기는 얼핏 들은 적은 있는데, 한동안 잊고 있다가 다른 자료를 찾던 중 발견하게 되었다. 당장 올해부터 도입될 시간표라는데, 이전 교육과정(왼쪽)과 비교해도 말도 안되게 바뀌었을 뿐더러, 현 서울의대 시간표하고는 비교가 무색할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굳이 서울의대와 비교하자면..서울의대 기준으로... ▷본1 내내 가르치는 내용을 반년 내에 가르친 후, ▷본2 내내 가르치는 내용 역시 반년이 안되는 기간 내에 가르친다. ▷대신, 본3때 서울의대에서 도는 임상실습을 본2때(!!!) 거의 다 한 뒤 ▷본3~본4는 사실상의 'elective'로 운영된다. 기존 교육과정과 결정적으로 다른 부분은 바로 마지막 부분이고, 여기에 담긴 신념은 이렇다. "1, 2학년때 수업만 하..

의과대학 통합교육(교육과정 수준, 과목 수준)의 한계

1 플렉스너 보고서(Flexner Report, 1910)는 기초과학basic science 교육을 의학교육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규정하였고, 이후 기초과학 교육과 임상의학 교육의 통합은 중요한 문제였다. 하지만 통합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의학교육은 프로그램, 코스, 세션 수준에서 어떻게 통합되고 있는가? 프로그램, 코스, 세션은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프로그램(교육과정): as the superstructure of the curriculum that organizes all the formal education activities • 코스(과목): a discrete component within the program focusing on specific units of knowled..

교육과정 개발과 변화의 교훈

현재 상태를 바꾸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저항하는 사람을 어떻게 이겨내야 하는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다. 의과대학 교육과정에 주는 교훈은 다음과 같다. ① 전문가를 조심하라: 모두가 자기 세부전공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② 사람들은 늘 앓는 소리를 하기 마련이다: 교육과정을 크게 바꾸려고 하다보면 많은 사람들로부터 말을 들어야 하는데, 대부분은 부정적인 내용이다. ③ 학부교육은 50년짜리가 아니다: 중요한 것을 우선순위에 두어야 한다. ④ 영원한 것은 없다: 우리는 교육과정은 그 시대의 아이child이며, 맥락이 모든 것임을 안다. ⑤ 상향식 방법도 가끔은 도움이 된다: 의과대학생, 주니어 닥터, 학부모를 참여시켜서 얻은 통찰력이 유용하고, 실용적이며, 관련성이 높은 일이 종종 생긴다. ⑥ 모두..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관점

1 교육과정 변화에서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학생들은 저항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지점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대규모 개편 시 학생은 주로 소수의 실무그룹 구성원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2 밴더빌트 대학 의과대학(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에서는 교육과정을 개편하며 다음의 핵심 요소를 포함시켰다: 매주 임상업무 수행, 능동적이고 팀 기반의 학습 방식, 전임상 코스웍 단축, 임상 로테이션과 종단적 과정(HSS, 연구, 의료인문학 및 윤리)의 병행, 당면 과제의 해결 3 학생-중심적 교육과정 전환 시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1) Rationale의 소통: 변화가 일어나는 이유에 대한 충분한 정보 제공, 온라인 오리엔테이션 모듈 개발 등 (2) 불안..

의과대학 교육과정 혁신의 연속체

1 현재 의과대학 교육은 의과대학생이 미래 의사로서 필요한 능력을 충분히 갖추게 해줄 능력이 있는가? Donald Schon에 따르면, 의료행위가 이뤄지는 환경이 끊임없는 변화(기술, 정책, 규제, 문화)하기 때문에, 새로운 의사를 양성하는 과정도 끊임없는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의학교육 자체의 진화가 교육의 리뉴얼과 변화를 견인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Cook 등은 "한 시대의 문제를 해결해준 바로 그 행위가 종종 다음 세대의 딜레마를 발생시켰다”고 지적한다. 2 2010년 이후의 개편은 다음의 세 가지 차원의 통합이라는 주제를 따르고 있다. 첫째, 기초의학 학제 간 통합이다. 1980~1990년대 교육과정은 선 정상 생리normal physiology 후 질병 생리disease phy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