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edback 5

피드백 고리(feedback loop)를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

1 피드백 기법에 관한 무수한 글이 있고, 그보다 더 많은 교수개발 워크샵이 있음에도 왜 의대생과 전공의는 교수가 주는 피드백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부족하다고 느끼는가? 이에 대한 답을 ‘피드백 루프’를 통해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루프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처음 만난 그 순간부터 시작된다. 2 첫째, 학습환경이 중요하다. 긍정적 학습환경이 필요하다. 긍정적 학습 환경이란 학습을 촉진conducive하고, 실수를 한 뒤 실수에서 배우며,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한계를 솔직하게 인정하고, 모든 단계에서 배우는 환경이다. 긍정적 학습환경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 신뢰를 구축하고, 신뢰는 피드백이 양방향 교류two-way exchange가 되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교류는 강점과 약점을 모두 논의할 수 있..

긍정적 피드백과 부정적 피드백은 언제 효과적일까? (feat. 조절초점)

1 긍정적 피드백과 부정적 피드백의 효과는 차이가 있을까? 메타 분석에 의하면 긍정적 피드백과 부정적 피드백 사이에 효과의 차이가 있다는 어떠한 증거도 발견되지 않았다. 즉, [성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긍정적 피드백]과 [실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부정적 피드백]이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없었다 2 한편, 어떤 피드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지, 부정적으로 받아들일지 여부는 조절초점regulatory focus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조절초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성취초점promotion focus은 포부와 성취에 중점을 둔다. 목표는 희망이나 열망의 달성이며, 보상을 얻고자 하는 것에 의해 동기부여된다. 즉, 성취초점은 ‘우리가 하고 싶은 것’과 관련되어 있다. 예방초점preven..

피드백 문해력(feedback literacy)을 길러주는 교육 방법

1 피드백 문해력을 키워주기 위한 방법(활성화 활동, Enabling activity)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첫째, 동료로부터 피드백을 받고, 동료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이다. 동료들의 작업을 평가해보고 판단해보는 것을 말하며, 이 과정에서 학생은 자신의 작업물과 다른 이들의 것을 비교하기 때문에 자신의 것을 자기평가할 때 더 효과적이 될 수 있다. 둘째, 모범 사례(exemplars) 분석이다. 모범 사례란 신중하게 선정된 학생 과제물 표본으로서, ‘잘 된 과제물’의 다양한 차원(측면)을 보여주고, 평가에 대한 기대치assessment expectation를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러 가지 모범 사례를 사용함으로써 ‘잘 된 과제’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학생들은 자신의..

피드백 문해력을 갖춘다는 것은? 학생을 위한 조언

1 피드백은 “학습자가 다양한 출처에서 얻은 정보를 이해make sense하고, 이를 사용하여, 학습 전략을 강화하는 과정”정의할 수 있다. 이 정의는 주로 “강점, 약점, 개선 방법에 대해 학생들에게 정보를 주는 것”과 같이 교수자 중심의 피드백 개념을 넘어, 코멘트를 이해 및 의미부여sense-making하여, 후속 활동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학생의 중심적 역할을 강조한다. 2 피드백 문해력을 갖춘 학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피드백 인식(Appreciating feedback) (1) 업무 개선에 있어 피드백의 역할과 적극적인 학습자 역할을 이해하고 인식한다. (2) 피드백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출처에서 온다는 것을 인지한다. (3)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피드백에 접근, 보관, ..

피드백이 잘 안 되는 이유: '공손함' 때문만은 아니다.

1 피드백 탐색 행동(Feedback-seeking behavior, FSB)은 자기 동기 (자기 평가, 자기 개선, 자기 향상, 자기 검증), 개인 및 대인 관계 요소 (피드백 제공자의 의도 및 특성, 피드백 탐색자와 제공자 간의 관계), 자존감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에 달려있다. 2 교수들은 서면평가에서 모호하고 일반적(generic)인 표현을 쓴다. 학생 또는 전공의를 충분히 알지 못해서 일수도 있고, 조직 문화 때문에 자기-이미지에 위협이 되는 표현을 쓰기 어려웠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결국 비특이적이고 도움되지 않는 의견을 주는 결과를 낳았다. 3 예절(공손)이라는 개념에 따르면, "관습적 간접성(conventional indirectness)"이 존재한다. 이는 [어떤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