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연구 4

질적 연구에서 결과(Results)작성의 세 가지 원칙: 스토리텔링, 진실성, 논증

괜찮은decent 연구 논문은 [연구study]를 보고하지만, 훌륭한great 연구 논문은 [이야기story]를 들려준다. 여기서 ‘이야기’에 해당하는 부분은 주로 도입과 고찰, ‘연구’에 해당하는 부분은 주로 방법과 결과라고 볼 수 있으나, 이 구분을 너무 엄격하게 적용하지는 말아야 한다. 질적 연구에서 좋은 결과 섹션은 (1)결과를 보고할 뿐만 아니라, (2)독자가 결과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즉, 좋은 결과 섹션은 연구적 요소와 이야기적 요소가 모두 필요하다. 그렇다면 질적연구에서 결과 보고의 원칙에는 무엇이 있을까? 1 첫째, 과학적 스토리텔링(Scientific storytelling)이다. 어쩌면 "이야기"라는 단어는 ‘과학’이라는 단어를 함께 두는 것이 불편할지 모른다. 이것의..

질적 연구에서 숫자(정량화) 사용의 가이드

1 질적 연구를 정의하는 특징 중 하나는 ‘숫자의 부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적 연구자들은 데이터를 작성할 때 숫자나 반정량화(예: '많이' 또는 '가장 많이'와 같은 용어)를 자주 사용한다. 만약 숫자의 사용이 표본 특성(예: 참가자 수 및 주요 인구 통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면, 숫자 사용은 필수적이며 논란의 여지가 없다. 2 반정량화란 연구참여자를 지칭하며 '소수의', '일부의', '몇몇의', '다수의' 같은 표현을 쓰거나, 사건/경험/주제를 지칭하면서 '드물게', ‘가끔’, '공통적으로', '일반적으로'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숫자를 모호하게 암시하는 것이다. 신중하게 사용한다면, 반정량화는 데이터의 규칙성, 독특성, 특이성(regularities, peculiarities and id..

질적연구를 위한 인터뷰 준비하기

1 인터뷰는 질적 연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며, 사람들과 말하고 듣는talking and listening 체계적인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인터뷰는 설문조사를 구성할 주제를 식별하기 위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Exploratory design), 조사된 결과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Explanatory design) 2 좋은 인터뷰는 무엇일까? 당연하지만, 연구 질문에 대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좋은 인터뷰는 철저한 분석과 설명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를 생성해야 하고, 연구 목표와 이론적 틀과 잘 정렬align되어있어야 한다. 또한 좋은 인터뷰는 사람들의 경험, 의견, 생각, 감정에 대한 통찰력을 풀어unlock주어야 한..

질적 연구를 읽을 때 생각해야 할 핵심 질문

1 질적 연구에 대한 평가는 해석적인 행위이며, 평가 기준의 단순한 적용이 아닌, 정보에 입각 한 성찰적 사고가 필요하다. 질적 연구를 읽을 때 생각해야 할 핵심 질문은 다음과 같다. 2 첫째, 연구에 사용 된 표본이 연구 질문에 적합했는가? 질적연구는 경험과 의미의 구성에 토대를 두고 있다. 따라서 표본은 현상의 여러 측면을 포착 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어야하며, 표본을 제한한다면 명확하게 정당화되어야 한다. 사회적 소속(문화, 종교, 사회 경제적 그룹, 직업 등)에 따라 경험과 의미가 달라지기에 이러한 맥락을 인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3 둘째, 데이터가 적절하게 수집 되었는가? 호손 효과(Hawthorne effect) 같은 특정한 방법론적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관찰자의 존재가 참가자의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