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 3

수업의 점진적 개선(2020년 10월 24일의 기록)

많은 시간은 아니지만 매 학기 조금씩이나마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의학교육을 '과학'적으로 하는 것에 신경쓰고 있다. 다른 사람의 경험에 관심을 기울이고, 논문을 읽고, 나에게 적용가능한 더 나은 방법을 찾고, 내 수업에 적용한다. 당연히 그 과정에서 실패하고, 실수하고, 실패와 실수로부터 문제를 찾는다.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해서, 내가 고칠 수 있는 것은 고치고, 나 혼자 고칠 수 없는 것은 시스템 개선을 모색한다. 그렇게 ver.1.00에서 ver.1.01로, ver.1.02로 조금씩 나아간다. 그러다보니 아직까지는 매 학기 학생들에게 미안한 마음과 고마운 마음이 크다. 왜냐하면, 지금의, 올해의 수업과 평가 방법은 내가 알고 있고 할 수 있는 것 중에 최선이지만, 앞으로 개선될 것을 고려하면 가..

실패의 종류(2020년 7월 17일의 기록)

1. 논문 심사를 하다보면, 의도하지 않은 성공을 보고하는 논문일지라도 무조건 '게재가(accept)'판정을 내릴 수는 없다. 하물며 별다른 개선이 없는데, 심지어 별다른 시도조차 없었을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모든 출판되는 논문이 긍정적인 결과만을 보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publication bias!). 하지만 변화가 미미했거나, 변화의 방향이 부정적인 경우에 저자는 - 결과야 어쨌든 - 적어도 그 실패는 '명확한 의도에 기반한 교육적 시도'에도 불구하고 발생했다고 설득해야 한다. 2. 그렇다면 '실패'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 Young(2019)에 따르면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혁신 지향적 실패(innovation-oriented failure)이다. 새로운 무언가를 구현하기 ..

세 가지 실패: 혁신적, 발견적, 우연적

1 학술 프로젝트의 건전한 실패는 보건의료전문직교육HPE에서의 성공적인 학술활동의 중요한 요소이다. 실패는 ‘성공의 결여’로 정의될 수 있지만, '기대, 요구 또는 예상된 무언가의 비발생'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실패가 없다면 발견도, 새로운 이론도, 사상에서의 새로운 혁명도 없을 것이다. 가설과 이론의 반증falsification은 현대과학의 특징이며, 반증이란 ‘어떤 아이디어가 실패하는 때가 언제인지’에 달려있다. 변칙적이거나 예상치 못한 발견이 누적된다는 것은, 어떤 현상에 대한 [현재의 사고방식이 실패하였음]의 마커이며, 쿤은 이것이 패러다임 변화의 시작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2 실패는 사고의 진보에 필요하지만, 과학 공동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대중에게 연구에는 일정 빈도의 실패가 필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