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9

전문직 규범의 비판적 재검토: 내면을 들여다봐야 하는 의학계의 시급한 필요성 (Med Educ, 2024)

Sternszus, R., Snell, L., & Razack, S. (2024). Critically re‐examining professional norms: Medicine's urgent need to look inwards. Medical Education, 58(7), 775-777.   지난 수년간, 의사들이 반억압적(anti-oppressive), 반인종차별적(anti-racist), 문화적으로 안전하며(culturally safe), 사회 정의(social justice)의 옹호자가 되어야 한다는 중요한 목소리들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1,2 이러한 광범위한 영역들은 건강 형평성(health equity)이 건강의 중심 원칙이라는 관념과, 의료 시스템 내에서 소수자(minoritized)..

의학교육에서의 전문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스코핑 리뷰와 이론 기반 개념 모델 (Med Educ, 2024)

👩‍⚕️의사의 정체성은 어떻게 형성될까?- 전문직 정체성 형성(PIF)을 이론적으로 탐색한 스코핑 리뷰 소개📘 "A scoping review and theory-informed conceptual model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Sarraf-Yazdi et al., 2024, Medical Education)1. 왜 전문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이 중요한가요?의과대학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 중 하나는 학생들이 '의사답게 생각하고(think), 행동하고(act), 느끼는(feel)' 사람이 되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걸 바로 **전문직 정체성 형성 (Professional ..

건강전문직 교육 연구의 균열: 연구 기획 단계에서의 비판적 성찰 실천(Critical Reflexive Praxis) 안내서

📚 건강전문직 교육 연구를 혁신하기 위한 필수 지침: Critical Reflexive Praxis를 중심으로 📚오늘은 최근에 발표된 흥미로운 논문을 소개하려고 해요. 건강전문직 교육(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연구를 계획할 때 필요한 중요한 태도와 실천법을 다룬 논문이에요. 논문의 제목은 바로 『Disrupting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Research: A Guide to Critical Reflexive Praxis during Research Planning』입니다. 연구자인 Danica Sims와 Paul Saunders는 연구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비판적으로 자기 성찰적 실천(Critical Reflexive Praxis, CR..

인증 연구를 통한 의학교육 인증의 발전(Acad Med, 2024)

의료 교육에서의 인증(Accreditation): 그 역할과 연구의 필요성 🏥📖의료 교육(Medical Education)에서 **인증(Accreditation)**은 단순한 절차적 요구사항이 아니라, 교육의 질을 보장하고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논문에서는 인증이 어떻게 교육의 우수성을 촉진하고 의료 시스템의 전반적인 결과를 향상시키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At its best, accreditation aligns the best evidence in medical education with accreditation standards, drives excellence in teaching and learning across the continuum of medica..

카리브해 지역의 국경을 넘는 인증: 인증 절차의 신뢰성을 위협하는 잠재적 요인? (Adv Med Educ Pract. 2024)

🌎 카리브해 의대 인증 시스템, 무너지는 신뢰?국경을 넘나드는 인증이 의료 교육의 질을 위협하고 있다✍️ 글쓴이: Kati Reddy, Mashal Unar, Hira Unar & Sateesh B Arja📖 출처: Advances i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2024)📌 원문 링크: DOI: 10.2147/AMEP.S447269🏥 카리브해 의대는 어떤 상황일까?의료 교육(⚕️ medical education)의 질을 유지하려면 인증(📜 accreditation) 절차가 필수적입니다. 그런데 최근 카리브해(Caribbean) 지역의 의과대학들이 증가하면서 인증 제도의 신뢰성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 카리브해에는 약 100개의 의과대학이 존재하며, 대부분의 졸업생..

Mediverse의 탄생: 가상 클리닉이 의료 공간을 어떻게 재구성하는가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5)

🌍 가상 클리닉의 탄생: Mediverse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가상 진료 시대,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의료 시스템은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대면 진료에서 가상 진료(virtual care, VC)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우리는 의료 공간의 개념 자체가 변화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 연구는 바로 그 변화에 대한 것이다. 단순히 "어떻게" 가상 진료가 이루어지는지를 연구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가상 클리닉이 의료 경험과 의료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본격적으로 탐구한다. 연구진은 캐나다 토론토 및 유럽의 마스트리히트 대학병원(Maastricht UMC)에서 진행된 3년간의 연구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진료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새로운 의료 공간을 형성하고 있음..

훈련 중인 의료 전문가들의 (비)동기부여적 상호작용 스타일 이해: 프로파일 접근법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5)

의료 전문가의 상호작용 스타일이 환자의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오늘은 의료 전문가(Healthcare Professionals, HCPs)들의 상호작용 스타일이 환자의 **자기관리(Self-management)**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주제는 특히 만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중요한데요, 연구에서는 동기부여(Self-determination Theory, SDT) 관점에서 의료 전문가들이 보이는 다양한 상호작용 스타일이 환자의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환자의 자기관리(Self-management)란?요즘 만성 질환(Chronic diseases)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 사망 원인의 70%**를 차지한다고 합니다(WHO, 20..

시스템 엔지니어링은 보건의료 교육 프로그램 평가 방법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Med Educ, 2017)

🎯 시스템 엔지니어링(Systems Engineering)으로 바라본 보건의료 교육 평가안녕하세요! 오늘은 보건의료 교육(Health Professions Education, HPE)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흥미로운 논문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기존의 평가 방식에서 한 걸음 나아가 시스템 엔지니어링(Systems Engineering)의 개념을 적용하면 어떻게 달라질까? 이 논문은 바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있습니다. 🤔1️⃣ 기존의 평가 방식, 한계가 있다?보건의료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이유는 이 프로그램이 효과적인가? 가치를 갖고 있는가?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전통적인 평가 방식은 주로 **감소주의적 접근(Reductionist Approach)**을 사용해 개별적인 요소들을 평..

불확실성 수용력은 부수적 현상인가? (Med Educ, 2022)

🚑 의료에서 '불확실성 수용력(Uncertainty Tolerance)'이란?👨‍⚕️ 의사들은 환자의 이야기를 듣고, 진찰하고, 진단을 내리는 과정에서 늘 불확실성(uncertainty) 속에서 일합니다. 완벽한 정보를 갖고 모든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상황은 현실적으로 거의 없죠. 따라서 의료 교육에서는 학생들이 이런 불확실한 상황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 중요한데요. 그런데! 🤔 의료 교육에서 강조하는 '불확실성 수용력(uncertainty tolerance, UT)'이라는 개념이 과연 독립적인 능력일까요? 아니면 단순히 경험과 역량이 쌓이면서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결과일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Ilgen 외 연구진이 발표한 “Is uncertainty tolerance an ep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