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읽고 씁니다.

교육과정 변화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관점

Meded. 2022. 1. 15. 06:31

1

교육과정 변화에서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학생들은 저항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지점이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대규모 개편 시 학생은 주로 소수의 실무그룹 구성원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2

밴더빌트 대학 의과대학(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에서는 교육과정을 개편하며 다음의 핵심 요소를 포함시켰다: 매주 임상업무 수행, 능동적이고 팀 기반의 학습 방식, 전임상 코스웍 단축, 임상 로테이션과 종단적 과정(HSS, 연구, 의료인문학 및 윤리)의 병행, 당면 과제의 해결

 

3

학생-중심적 교육과정 전환 시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1) Rationale의 소통: 변화가 일어나는 이유에 대한 충분한 정보 제공, 온라인 오리엔테이션 모듈 개발 등

(2) 불안을 유발하는 다양한 요소 인정: 변화에는 다양한 불안정, 불편이 수반된다. 첫째, 새로운 학습 방식을 익히고, 새롭게 배우고 일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은 처음에는 비효율적일 수 밖에 없음. 이것이 정상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안심시켜야 한다. 둘째, 과제가 복잡해지면서 학생은 제대로 배우는 것보다 과제에 더 신경쓰게 되었다. 셋째, USMLE 시험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전통적으로 선후배간에 주고받던 조언과 교류의 채널이 교란되었다. 후배들은 알아서 살 길을 찾아야 한다고 느꼈다. 금요일 오후의 소셜 라운지등을 통해서 여러 학년이 모일 수 있는 자리를 만들었다.

(3) 교육과정 외 활동에서의 리더십 조정과 참여 독려: 교육과정이 바뀌면서, 학생들은 전공의 매칭을 위해 준비하고자 했던 extracurricular activity를 할 수 있는 유연성이 떨어졌다. 학교 내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줄어들었다.

(4) “The Bulge(갑작스런 실습학생의 증가)를 관리: 전임상실습 단계가 단축됨에 따라 동시에 임상실습을 하고 있는 학생의 수가 증가할 것이고, 임상 팀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두 가지 해결책을 고려해볼 수 있다. 한 가지 해결책은 학생들이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 점검하여 활용도가 낮은 임상 팀을 고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 해결책은 피어멘토십을 위한 기회를 수용하는 것이다. 코스 책임자들은 학년별로 분리하는 것보다 다른 학년 학생을 함께 배치하는 것을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한다.

(5) 학생과 학교의 지속적 협력 촉진: 새로운 커리큘럼으로의 전환은 초기 큰 변화 이후 많은 작은 조정이 있는 긴 과정이다. 각각의 후속 조정은 학생들에게 중요하다. 작은 변화는 불가피하겠지만, 그 조차도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으면 학생들의 자신감을 잠식할 수 있다. 모드 수준의 교육과정 검토에 학생 대표단을 참석하게 하는 것도 오너십에 기여할 것이다.

 

4

Kotter는 변화에 관한 원래 저작을 2014년에 업데이트하며 다음을 강조했다.

(1) 변화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지속적인 피드백

(2) 넓은 참가자 기반participant base에서 "buy-in"을 모집한다recruit.

(3) 전통적인 위계의 안과 밖을 오가며 유연하게 작동

(4) 끊임없이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고 활용

 

5

교육과정의 변화과정에서 학교는 학생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고, challenge가 발생한다면 역동적으로 대응할 것을 조언하고자 한다. 우리의 경험에 따르면, 대규모의 커리큘럼 변화과정에서 학생 중심적인 전략은 학생들 스스로는 이러한 전환을 돕는 생산적인 자원이 되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출처:

Yengo-Kahn, A. M., & Baker, C. E. (2017). Medical students’ perspectives on implementing curriculum change at one institution. Academic Medicine, 92(4), 455-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