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가 학습자를 평가할 때, 우리는 주로 '숫자'를 생성한다. 그러나 숫자는 중간과정일 뿐이다. 우리가 진짜로 원하는 것은 그 학습자에 대한 '판단decision'이며, 예컨대 '합격인가?' 하는 것이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보았을 때, 타당화validation라는 것은 결국 '최종 판단의 방어가능성defensibility를 지지하는 근거'를 수집하는 것이다. 2 임상적 예시를 들어볼 수 있다. PSA검사가 전립선암 진단에 유용한가? 근거를 살펴보면, 재검사에 대한 결과가 reproducible하고 매년 측정한 결과도 그렇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 결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남성에 대해서는 검사를 권고하지 않는다. 불일치의 원인은 PSA에 뒤따르는 추가 검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