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0 6

[교수개발] 조직 차원의 변화를 촉진하는 교수개발의 역할

출처: Steinert, Y., O’Sullivan, P. S., & Irby, D. M. (2023). The Role of Faculty Development in Advancing Chang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cademic Medicine, 10-1097. https://journals.lww.com/academicmedicine/abstract/2024/07000/the_role_of_faculty_development_in_advancing.8.aspx 교수 개발(Faculty Development, FD) 프로그램은 전통적으로 정의되기를 개별 교원의 발전에 중점을 두고, 교원들이 교사 및 교육자로서, 리더 및 관리자, 연구자 및 학자로서 뛰어나게 활동할 수..

Wilson Centre 2024.09.20

[교수개발] 교수개발자의 경험 탐색을 통한 교수개발 역량에 대한 이해 증진

출처: Baker, L., Leslie, K., Panisko, D., Walsh, A., Wong, A., Stubbs, B., & Mylopoulos, M. (2018). Exploring faculty developers’ experiences to inform our understanding of competence in faculty development. Academic Medicine, 93(2), 265-273. https://journals.lww.com/academicmedicine/fulltext/2018/02000/exploring_faculty_developers__experiences_to.34.aspx  의과대학 교수들의 역할과 책임은 의료 시스템, 교육 시스템, 그리고 사회의..

Wilson Centre 2024.09.20

[전문직정체성] 교차성이 과소대표 약대생들의 직업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출처: Rockich-Winston, N., Robinson, A., Arif, S. A., Steenhof, N., & Kellar, J. (2023). The influence of intersectionality on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among underrepresented pharmacy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87(8), 100108.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02945923001092 1. 서론1. Introduction 전문가 정체성 형성(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은..

Wilson Centre 2024.09.20

[전문직정체성] 의학교육에서 '나'에 대해 다시 생각하기: 계보와 존재와 존재가 될 수 있는 가능성

출처: Schrewe, B., & Martimianakis, M. A. (2022). Re-thinking “I” dentity in medical education: Genealogy and the possibilities of being and becoming.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27(3), 847-861.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459-022-10095-w 서론Introduction 의과대학의 기능은 의학의 문화를 전수하고 그 문화를 발전시키는 것이다. 의과대학의 과제는 초보자를 효과적인 의학 실무자로 양성하고, 그에게 최고의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며, 그가 의사로서 생각하고, 행동하며, 느낄..

Wilson Centre 2024.09.20

[전문직정체성] 약학 교육에서 약사 정체성에 대한 역사적 담론 분석

출처: Kellar, J., Paradis, E., van der Vleuten, C. P., oude Egbrink, M. G., & Austin, Z. (2020). A historical discourse analysis of pharmacist identity in pharmacy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 84(9), ajpe7864. https://www.ajpe.org/article/S0002-9459(23)01749-7/fulltext 서론 INTRODUCTION 전문 직업 정체성 형성은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가치, 행동, 그리고 열망을 발전시키는 과정으로, 보건 전문직 교육 개혁의 중요한 움직임으로 주목받고 있다.1..

Wilson Centre 2024.09.20

[피드백&코칭] "당신이 가져갈 수 있는 것": 직장에서 학습자의 피드백 문해력 형성

출처: Noble, C., Billett, S., Armit, L., Collier, L., Hilder, J., Sly, C., & Molloy, E. (2020). “It’s yours to take”: generating learner feedback literacy in the workplace.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25(1), 55-74.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07/s10459-019-09905-5 효과적인 피드백은 실제 수행과 원하는 수행 사이의 격차를 줄임으로써 학생의 학습에 기여한다(Hattie and Timperley, 2007, p. 2). 의료 분야에서 피드백은 환자 안전에 기여하는 중요..

Wilson Centre 2024.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