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읽고 씁니다.

의과대학생은 프로페셔널리즘(전문직업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Meded. 2022. 2. 15. 05:25

고정된(static) 것들, 즉 정책 문서, 핸드북, 강의만으로 전문직업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키워주기는 어려울 것이다. 더 중요하게는 비공식 교육과정과 잠재 교육과정이 프로페셔널리즘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완화하지 못한다. 공식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에게 능동적으로 의미를 형성할sense-making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신의 경험에 대해 토론하고 탐구하는 경험) 프로페셔널리즘을 이해할 때 잠재교육과정이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 학생들은 환경으로부터 전달받는 불완전하고 때로는 상충되는 메시지를 이해하기 위해, 동료 및 임상 교육자와의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자신의 경험을 탐색 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 받아야 한다.

 

이러한 활동을 하면, 학생들은 상호작용에서 새롭게 나타난 이해를 기존의 이해에 통합하기 위해 자신이 가진 이상을 재조정recommit or reconfigure 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프로페셔널리즘이 무엇인지 '가이드guidance'만을 받거나 듣기만 한다면 그렇지 못할 것이다. 전문직업성을 이해할 기회과 관찰과 모방으로 한정되면, 자신이 속한 환경에서 더 많은 단서를 찾으려 할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학생들은 프로페셔널이 '되려하기becoming'보다는, 겉으로만 프로페셔널하게 보이기 위해 행동하거나, 전문직을 표방하는(들은 것을 반복하는) 것에 그치고 만다.

 


 

1 개인의 속성(attributes of the individual)으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프로페셔널리즘은 자연스러운 상식을 지칭한다. 시간엄수, 위생, 예절, 성실, 정직 등이다. 이 개별 행동-지향적 해석은 표면적( : 예의) 요소, 가치-지향적 요소, 행동과 가치의 조화(: Integrity)로 구성되었다.

 

2 발달(development)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프로페셔널리즘의 형성적 측면(미래의 의료를 위한 태도, 기술, 지식 및 행동의 개발)과 관련된다. 유년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따라서 프로페셔널리즘을 가르칠 수는 있지만, 올바른 양육upbringing 없이 가르치기 어렵다. 이것은 학생들이 "스스로 완전히 형성되었다고 느끼지 않는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 학생은 아직 명찰 뒤에 숨을 수 있는 기회로 간주하거나, 학생에게 요구되는 수준의 프로페셔널리즘에 있고, 어떤 책임은 자신의 수준을 넘어선다는 합법적 인정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3 고정된 것(stasis)으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이 차원은 발달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과 대조된다. 프로페셔널리즘은 처음 시작할 때 학생들이 채택adopt하는 모든 책임, 규칙 또는 속성으로 시작됩니다. 비록 학생의 역할이 의사의 역할과 다를 수 있지만, 학생의 프로페셔널리즘은 의사의 그것과 동일합니다.

 

4 내면화 된 자기(internalised self)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이 차원은 1번과 2번의 아이디어를 한층 발전시켜서, 프로페셔널리즘이 자신에게 내면화되는 것이라고 본다. 이것은 학생들이 종종 자신 혹은 타인의 전문적이지 못함unprofessional '을 느낄 때의 불편함의 감정과 관련이 있다.

 

5 외양(presentation)으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이 차원은 내면화 된 자아로서 프로페셔널리즘과 반대되며, 프로페셔널리즘의 enactment과 관련된다. 가장단순하게 표현한 것은 옷가짐에 중점을 둔다. 조금 더 나아가면 전문직처럼 말하거나 행동하는 것이 모두 포함된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being" 하기보다는 "acting" 하며, 전문직의 페르소나라는 개념에 대해 언급한다.

 

6 특별함(special)으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특권층에 속하는 특별한extraordinary 속성에 초점을 둔다. 전문직이 전문직이 복무하는 사회와 맺은 사회적 계약의 개념을 강조한다. '일반인을 뛰어 넘는 행동'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프로페셔널리즘의 여러 요소들은 전문직 내에서 발달하며, 전문직은 자율규제를 수행한다는 것도 포함된다. 이것의 대가로 학생들은 높은 지위와 힘status and power를 기대한다. 더 단순화하자면, 학생들은 선배 의사들과 공통된 목표를 공유하며, 선배 의사들을 실망시키지 않으려는 욕망을 강조한 것일 뿐이다.

 

7 지식(knowledge)으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프로페셔널리즘은 지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한 사람에게 주어진 일과 자신의 전문성expertise를 얼마나 잘 하는가와 동치이다. 또한 지식을 최신의 상태로 유지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8 능력(competence)으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모든 순간에 적절한 수준으로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역량을 갖추는 것과 관련된다. 자신의 한계를 아는 것과 한계를 넘어섰을 때를 제대로 표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환자 안전'에 대한 더 넓은 담론과 연결되어 있었다.

 

9 프로네시스(phronesis)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전문직업성은 실천적 지혜이다.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협상하는 능력, 언제 윤리적 및 도덕적 원칙을 엄격하게 준수하며, 언제 환자의 최선의 이익을 위해 '원칙을 유연하게 적용할지여부에 대한 것이다. 궁극적으로, 프로네시스는 어떤 선택을 내리는지와 관련되며,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지의 문제이다. 이러한 선택은 자기 내면의 대화 및 타인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이뤄지며, 이를 통해 최선의 선택에 도달해야 한다.

 

10 분리(segregation)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개인으로서의 삶과 견해로부터 전문직으로서의 삶을 분리 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학생에게 있어 분리라는 것은 개인적 의견과 판단으로 환자의 치료와 행동을 흐리게 만들지 않는 것’, ‘집에서의 문제를 직장으로 가져오지 않는 것’, ‘개인과 전문직으로서 자신의 경계를 설정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해당하였다.

 

11 통합(integration)으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이것은 10(분리)의 반대되는 개념이다. , 개인 생활과 직업 생활을 완전히 분리 할 수 ​​없다는 개념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학생들은 애초에 자신들이 학교 밖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에 주의해야 한다.

 

12 맥락(contextual)으로서 프로페셔널리즘

이것은 전문직업성의 맥락적 성격을 강조한다. 자신이 속한 환경(: 시간 압박, 위계적 관계)은 언제든지 전문직업적으로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는 생각이다.

 

13 규칙(rule)으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이 차원의 전문직업성은 규칙과 규정에 의해 관리되고, 규칙과 규정을 준수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때의 규칙과 규정은 학생의 개인적 방침codes와 다를 수도 있다. 규칙과 규정의 출처(come from)은 정책입안자, 임상환경, 의과대학 등이 될 수 있다. 사회, 환자, 동료의 기대치와 관련된 규칙, 의학 및 의학교육의 암묵적 규칙도 여기에 포함된다.

 

14 환자 중심성(patient-centeredness)의 프로페셔널리즘

전문직답기 위해서는, 학생은 환자를 자신의 관심concerns의 중심에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단순하게 말하면, 환자를 존중하고, 예의 바르게 대하고, 환자 존엄성 중시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환자의 질병 경험을 탐색하는 것, 환자를 한 명의 인간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 치료에 대한 의사 결정을 공유하는 것, 환자를 위한 건강 증진 활동(: 환자 교육) 수행 등도 이 차원의 의미를 담고 있다.

 

15 롤모델(role models)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전문직업성을 롤모델링 하는 대인관계를 강조한다. 선배 의사는 학생들에게 롤모델이되고, 학생들은 서로에게 롤모델이 된다. 또한 학생은 선배 의사의 롤 모델로서 행동하는 것도 여기에 포함된다.

 

16 위계(hierarchy)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이 차원에서 전문직업성이란 위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아는 것이다. 위계의 상위-하위superordinate-subordinate 관계란 학생이 자신의 자리를 지키고 자신의 '계급rank'을 선넘지overstep 않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의사/의학medicine이 다른 보건의료()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위 계급rank이라는 생각도 담고 있다.

 

17 팀 플레이(team playing)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여기서는 팀원 간의 프로페셔널한 관계를 강조한다. 단순하게 보면, 학생들이 동료collegiate 관계에 대해서어떻게 평가받고assessed 있는지에 중점을 둔다. 더 미묘하게 보면, 팀 플레이란 명확한 의사 소통을 필요로 하는 역동적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팀 개발에 대한 책임을 갖는 것이다.

 

18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여기서는 전문직이 환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개념과 관련이 있으며, 환자는 종종 고객, 소비자, 손님으로 불린다.

 

19 자기돌봄(self-care)으로서의 프로페셔널리즘

전문직업성이란 정서적, 법적으로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다.

 

 

출처:

Monrouxe, L. V., Rees, C. E., & Hu, W. (2011). Differences in medical students’ explicit discourses of professionalism: acting, representing, becoming. Medical education, 45(6), 585-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