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러 이론을 살펴보면, 성찰은 인지적 또는 메타인지적 과정이며, 자기와 상황 모두에 대한 검토examination를 요구하고, 목표는 학습과 개인적, 전문직업적 효과성 향상에 있다.
2
성찰과 비판적 성찰의 정의를 구분해볼 수 있다.
성찰: 무언가를 돌아보고, 고려하는 것(looking back at something, considering it)
비판적 성찰: 경험을 분석하고, 재고하고, 질문하는 프로세스. 학습을 위해 성찰되는 것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 것(the process of analysing, reconsidering and questioning experiences and of making an assessment of what is being reflected upon for the purposes of learning)
3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성찰의 정의만 제공할 때보다 가이드라인을 사용한 경우 성찰점수가 더 높다. 다르게 말하면, 가이드라인이 없는 성찰 활동은 학습자의 성찰 능력을 개발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내용과 성찰능력 모두에 대해서 피드백 받은 경우에 내용에 대해서만 피드백을 받은 경우보다 더 성찰점수 높다.
• 단, 가이드 라인과 피드백 모두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 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 크기는 상당히 차이가 있어서, 피드백의 효과 크기는 매우 작았다.
4
성찰 교육에 관하여 다음을 권고한다.
(i) 성찰은 의과 대학의 시작부터 배워야한다. 성찰은 복잡한 기술이며, 시간과 연습이 필요하다.
(ii) 피드백은 성찰 내용뿐만 아니라 성찰 기술에 대해서도 제공되어야 한다. 성찰의 문화를 수립하고, 학생에게 성찰의 중요성을 전달하고, 배울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해야한다.
(iii) 이미 교육과정이 꽉 차 있음을 고려하면, 다른 커리큘럼 목표를 달성하는 동안 성찰 기술을 학습하는 것이 가장 좋을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떤 맥락에서든 성찰을 교육하든, 성찰 기술 자체를 기르는 데 명시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iv) 성찰을 교육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성찰이 자기 모니터링과 평생 학습의 기초가되는 중요한 기술이라면) 그것을 어떻게 효과적이고 비용 효과적인 방법으로 성찰을 교육할 수 것인가를 알아내는 것은 필수적이다.
출처:
Aronson, L., Niehaus, B., Hill‐Sakurai, L., Lai, C., & O’Sullivan, P. S. (2012). A comparison of two methods of teaching reflective ability in Year 3 medical students. Medical education, 46(8), 807-814.
'논문을 읽고 씁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과대학생은 프로페셔널리즘(전문직업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0) | 2022.02.15 |
---|---|
프로페셔널리즘(전문직업성)에 관한 네 가지 담론 (0) | 2022.02.14 |
의학교육 리더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0) | 2022.02.13 |
자기조절(self-regulation)의 세 단계 (0) | 2022.02.13 |
교육 연구의 7대 죄악 (0)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