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son Centre

[Contemporary Theorists for Medical Sociology] Ch. 5 Bourdieu and the impact of health and illness in the life world

Meded. 2025. 1. 19. 12:09

5. 부르디외와 삶의 세계에서 건강과 질병의 영향

저자: Sasha Scambler

서론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1990a; 1999; Bourdieu & Wacquant, 1992)의 작업이 기반을 두고 있는 전제는, 사회적 세계는 가족이나 문화와 같은 ‘상식적인’ 집단이나 모델로 이해할 수 있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적 세계를 구성하는 현상들은 문화적, 역사적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시간적 성격을 띤다. 더 나아가, 이러한 현상들은 사회적이고 권력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적 네트워크 내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된다(Jenkins 2002). 부르디외의 '장(field)'과 '아비투스(habitus)' 개념은 행위(agency)와 반성(reflexivity)구조(field)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거나 내재화되는지를 설명하려 한다. 그가 제시한 이 틀은 일상생활 경험의 복잡성을 구조와 행위로 통합하여 사고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공하며, 우리가 삶의 세계와 그 안에서 우리의 위치를 협상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자산(capital)을 분류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종종 사회 이론가로 분류되곤 하지만, 부르디외는 자신의 작업이 우리가 살고 있는 경험적 세계를 해석하는 수단이라고 주장하며, 경험적 탐구와 분리된 이론 생성의 개념을 거부한다. Jenkins는 부르디외가 ‘사회생활의 복잡성과 관련된 연구 기반의 관여를 통해서만 이론화하려는’ 그의 주저함을 설명한다(2002: 176). 또한, 사회적 세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그 자체가 ‘현실’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해당 설명이 구성된 방식의 산물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이를 통해 연구자와 독자를 반성적 입장으로 몰아넣는다.

 

이러한 이유로 부르디외가 제시한 이론적 틀은 의학 사회학에서 질병, 특히 만성 질환이나 장애를 경험하며 살아가는 복잡성을 탐구하고 설명하는 데 큰 잠재력을 가지며, 구조/행위 논쟁과 연구자의 역할을 생각하게 한다.

 

이 장은 부르디외의 '장(field)', '자본(capital)', '아비투스(habitus)' 개념에 대한 개요로 시작하여 구조/행위 논쟁에 대한 부르디외적 접근을 비판적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이 틀이 의학 사회학의 경험적 데이터를 재고하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로 결론을 맺는다.


5. Bourdieu and the Impact of Health and Illness in the Lifeworld

By Sasha Scambler

Introduction

The premise upon which the work of Pierre Bourdieu (1990a; 1999; Bourdieu & Wacquant, 1992) is built is that the social world is not a naturally occurring phenomenon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common sense’ groupings or models such as that of family or culture. The phenomena that make up the social world in which we live are culturally and historically bounded and temporal in nature. Furthermore, they are socially constructed within a structural network of social and power relations (Jenkins 2002). Bourdieu’s concepts of field and habitus seek to address the ways in which agency and reflexivity (habitus) are shaped by or embedded within structure (field). The framework he outlines offers a novel way of thinking about the complexities of the everyday experiences of life, incorporating structure and agency and providing a way of categorising the different forms of currency or capital that we use to negotiate the lifeworld and our place within it.

 

Whilst often categorised as a social theorist, Bourdieu claims his work is a means of interpreting the empirical world in which we live and rejects the notion of creating theory divorced from empirical enquiry. Jenkins explains Bourdieu’s ‘reluctance to theorise other than through a research based engagement with the complexities of social life’ (2002: 176). Furthermore, he notes that the results of research into the social world produce an account of reality that is not ‘reality’ per se and is merely a product of the ways in which the account has been constructed, thus forcing the researcher and reader into a position of reflexivity.

 

These are just some of the reasons why the theoretical framework outlined by Bourdieu has such potential within medical sociology in helping to explore and explain the complexities of living with illness, and particularly long-term illness or disability, and in forcing us to think about both the structure/agency debate and the role of the researcher.

 

This chapter starts then with an outline of Bourdieu’s concepts of field, capital and habitus before providing a critical exposition of the Bourdieuian take on the structure/agency debate. It concludes with an example of how this framework could be used to rethink empirical data within the field of medical sociology.

 

 

장(Field)과 자본(Capital)

장(Field)

 

장은 경험적 맥락에서 한정된 사회적 무대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 안에서 행위자는 자기 자신 또는 주어진 상황에 주의를 기울인다. 장은 어떤 상황에서든 행위가 수행되는 곳에서 생성된다. 장 내부에는 구조적 구성, 권력, 사회적 관계가 존재하며, 이는 해당 장에 들어오는 모든 이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특정한 유형의 행동을 유도한다. 이러한 행동은 다양한 형태의 자본의 분배와 교환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자본은 특정 장에서만 적용될 수도 있고 여러 장을 가로질러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부르디외와 와캉(Bourdieu & Wacquant)은 장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장]은 객관적 관계의 네트워크 또는 구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는 그 존재와 점유자의 결정, 즉 행위자와 기관에 부과되는 영향을 통해 객관적으로 정의되며, 이는 해당 장에서 쟁점이 되는 특정 이익에 접근하기 위해 요구되는 권력(또는 자본)의 유형 분포 구조 내에서 현재와 잠재적 상황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이 관계는 다른 위치들과의 객관적 관계를 포함한다 …”
(1992: 94)

 

따라서 장은 사람들이 행동하는 구조적 공간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의 행동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그러한 행동에 제약을 가하는 공간이다. 자본장에서 협상하고 행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이다. 자본은 장 간에 전이될 수 있지만, ‘맥락 특정적’이기 때문에 각 장에서 다른 가치를 가질 수 있다(Behague et al., 2008). 따라서 자본은 새로운 장에 맞게 변환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가치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장(field)은 자본에 대한 권력 투쟁과 해당 장에서의 정당한 행동과 부당한 행동의 판단에 대한 싸움의 장소이다.”
(ibid.: 492)

 

자본(Capital)

 

부르디외는 네 가지 구체적인 형태의 자본을 정의했다: 경제적 자본, 사회적 자본, 문화적 자본, 상징적 자본. 이들은 장을 통과하거나 장 간에 작용한다.

  1. 경제적 자본(Economic Capital)
    1. 경제적 자본은 과 같은 상품 형태로 직접 전환될 수 있으며, 재산권 관련 법률과 같은 제도를 통해 제도화된다. 예를 들어, 질병이나 장애의 맥락에서 경제적 자본은 개인 자산, 소득, 복지 혜택, 국가 개입을 통해 질병에 적응하고 대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금전을 의미한다. 이 경제적 자본은 건강 및 복지 시스템, 그리고 노동 및 임금 조건에 대한 법률을 통해 제도화된다.
  2. 문화적 자본(Cultural Capital)
    1. 문화적 자본은 사회적으로 ‘정당화된’ 지식과 관행에 기반하며, 특정 상황에서는 경제적 자본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는 학위나 전문 기관 회원 자격과 같은 제도를 통해 제도화된다. 건강의 맥락에서는 의료 직업군의 정당화된 권력이나 치과의사 및 간호사와 같은 관련 그룹의 전문화와 관련된 논의에서 이 형태의 자본이 중요하다.
  3.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1. 사회적 자본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와 관련이 있으며, 친족, 우정, 기타 네트워크와 같은 소속감과 사회적 의무를 포함한다. 사회적 자본은 경제적 자본으로 전환될 수도 있으며, 사회 네트워크를 통해 제도화된다. 이러한 자본은 다양한 질환, 장애 또는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식적 및 비공식적 지원 네트워크에서 발견되며, 지난 10년 동안 등장한 가상 자조 그룹과 포럼의 증가로 나타난다.
  4. 상징적 자본(Symbolic Capital)
    1. 부르디외가 정의한 마지막 자본 유형은 상징적 자본으로, 이는 중요한 제도, 집단, 사회적 관계에 부여된 명성, 지위, 명예와 관련된다. 특정 상황에서 상징적 자본은 경제적 자본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자본은 귀족제(peerage system)나 부모 권위, 부족이나 가족 내에서의 연공서열과 같은 지위를 부여하는 시스템을 통해 제도화된다.

 

예를 들어, 의료 분야에서는 개별 성인이나 부모의 상징적 자본이 건강 정책이나 의료 직업군의 정당화된 문화적 자본과 충돌할 때 흥미로운 역동성이 발생한다. 이는 해당 분야에서 사람들이 자본을 활용하는 데 장애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의학 사회학에서 부르디외의 틀을 사용할 때, Williams(1995)는 여기에 신체적 자본(Physical Capital) 개념을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신체적 자본은 배우자들이 장 내에서 아비투스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신체의 건강, 목적에 적합한 상태, 심미적 특질과 관련이 있다. 부르디외의 '신체적 헥시스(Bodily Hexis, 1977)' 개념은 배우자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태도와 스타일을 나타내며, 신체적 자본의 개념과 부분적으로 겹친다. 부르디외에게 있어 이는 **개인적(아비투스)**과 **사회적(장과 자본)**이 결합되는 지점이다.

 

건강과 질병이라는 영역에서 신체의 건강, 심미적 및 기능적 특성을 자본으로 간주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식은 매우 유용할 수 있다.


Field and Capital

Field
The field can be defined as a social arena or space, bounded in an experiential context, in which actors attend to the self and/or a given situation. Fields are generated in any circumstances where practices are performed. They have within them a series of structural configurations, power and social relations, which influence the actions of all those who enter a given field and prompt certain types of behaviour, influenced by the distribution and transaction of various forms of capital, which may be field specific or cut across multiple fields. In the words of Bourdieu and Wacquant:

“[A] field may be defined as a network, or a configuration, of objective relations between positions. These positions are objectively defined, in their existence and in the determinations they impose on their occupants, agents and institutions, by their present and potential situation in the structure of the distribution of the species of power (or capital) whose possession commands access to the specific profits that are at stake in the field, as well as their objective relations to other positions …”
(1992: 94)

Thus the field can be seen as a structured space in which people act, and which is both shaped by the actions of those within it and imposes constraints on those actions, and capital is the resource used to negotiate through and act within the field. Capital may be transferred between fields, but is ‘context-specific’ and so may hold different values in different fields (Behague et al. 2008). Thus, capital must be transformed to fit into each new field and may, in the process, gain or lose value.

“Fields, then, are the sites for power-struggles over capital and over the determination of legitimate and illegitimate actions of that field.”
(ibid.: 492)

Capital
Bourdieu identifies four specific forms of capital: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symbolic. These operate throughout and across fields.

  1. Economic Capital
    1. Economic capital is directly convertible to commodity forms such as money and is institutionalised through laws such as those concerning property rights. Within the fields of disease and disability, for example, economic capital may be used to refer to the money available to adapt to and combat a disease, through personal wealth, income, benefits and state intervention. This economic capital is institutionalised through the health and welfare systems and through legislation on work and pay conditions.
  2. Cultural Capital
    1. Cultural capital is based on socially ‘legitimated’ knowledge and practices, which in certain circumstances is convertible to economic capital and is institutionalised through educational qualifications and membership of professional bodies. In a health context, the accumulation and ability to mobilise this form of capital is relevant to debates around the legitimated power of the medical profession or the professionalisation of allied groups such as dentists or nurses.
  3. Social Capital
    1. Social capital is linked to relations with others, incorporating affiliations and social obligations as well as familial, friendship and other networks. Social capital may also be convertible to economic capital and is institutionalised through social networks. This type of capital can be found in the formal and informal support networks available to people living with a broad range of conditions, diseases, disabilities or experiences, as represented by the proliferation of virtual self-help groups and forums that have emerged over the past decade.
  4. Symbolic Capital
    1. The final type of capital Bourdieu identifies is symbolic capital, which relates to the prestige, status, and honor ascribed to significant institutions, groups, and social relations. In certain circumstances, symbolic capital is convertible to economic capital. This form of capital is institutionalized through systems that ascribe status, such as the peerage system, parental authority, or seniority within a tribe or family.

In the health field, for example, interesting dynamics occur when the symbolic capital of individual adults or parents is challenged by or clashes with health policy or the legitimated cultural capital of the medical profession. This can create barriers to the mobilization of capital for people within the field.

When using Bourdieuian frameworks in medical sociology, Williams (1995) suggests adding the concept of physical capital. Physical capital relates to the health, fitness for purpose, and aesthetic quality of the body through which actors embody habitus within the field. Bourdieu’s ‘bodily hexis (1977)’, referring to the manner and style in which actors carry themselves, partly captures this idea of physical capital. For Bourdieu, this is the point where the personal (habitus) and the social (field and capital) combine.

In the context of health and illness, it may be particularly useful to consider the body’s health-related, aesthetic, and functional qualities as capital that can be mobilized and transacted within the field.

 

장의 본질과 구조의 영향

 

장 내의 힘의 구성을 결정하는 것은 장의 본질과 구조이다. 장과 자본의 종(species) 내외의 권력 균형도 이에 의해 좌우된다. 자본의 축적은 권력을 가져오지만, 자본은 작동할 장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 내 행위자들의 주요 목표는 자신의 위치를 유지하고 개선하거나, 가치 하락을 방지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문화적 공통점, 반복되는 사회적 위계질서, 그리고 신체적 형태와 자세의 패턴은 실천을 통해 재생산되고, 장 내 작동하는 구조에 따라 차등적인 지위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가치를 부여받는다.

 

의료 맥락에서 McDonnell et al.(2009)은 개인이 건강에 유리한 방식으로 자본을 축적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불평등의 구조적 영향에 크게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사회적 자본‘상호 인식과 관계를 기반으로 한 더 안정적이고 제도화된 네트워크의 소유와 연결된다’(Bourdieu, 1986: 248). 따라서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고 활용하는 것은 사회적 권력에 의존하며, 이는 다시 더 넓은 사회경제적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부르디외가 언급한 사회적 네트워크는 **‘집단 구성원이 영향력과 물질적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McDonnell et al., 2009: 20). 따라서 사회적 자본은 경제적, 문화적, 상징적 자본과 함께 계급 형성의 역학과 본질적으로 연결되며, 개인이 선택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구조화한다.

 

비록 사람들이 건강에 해로운 방식으로 행동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지만, 이러한 선택은 선택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맥락과 그 맥락 내의 구조적 역학에 의해 제한된다.

 

주체성과 선택: 아비투스(Habitus)로 연결되는 두 번째 틀

개인의 주체성, 선택, 행동의 역할은 부르디외 이론적 틀의 두 번째 부분인 아비투스(habitus) 개념에서 다룬다.


 

The Nature of the Field and Structural Influence

 

The nature of the field and its structure determines the configuration of forces within it, as well as the inter and intra-balances of power between different species of capital and fields. While the accrual of capital yields power, capital requires a field in which to operate. Thus, the primary aims of agents in the field are to maintain and improve (or prevent the devaluation of) their position.

 

Similarly, cultural commonalities, repeated social hierarchies, and even patterns of bodily form and deportment are reproduced through practice. These are evaluated and accorded differential status and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values within a pre-existing field according to the structures at work within that field.

 

In a health context, McDonnell et al. (2009) suggest that the capacity of individuals to accumulate and transact capital in ways beneficial to health is largely dependent on the structural impact of inequalities. For example, social capital is “linked to possession of a durable network of more or less institutionalized relationships of mutual acquaintance and recognition” (Bourdieu 1986: 248). Thus, the accumulation and mobilization of this capital is dependent on social power, which, in turn, is determined by broader socio-economic structures.

 

The social networks Bourdieu alludes to can “work exclusively by giving group members access to influence and material resources” (McDonnell et al. 2009: 20). Therefore, social capital, along with economic, cultural, and symbolic capital, can be seen as intrinsically linked with the dynamics of class formation, structuring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exercise choice.

 

While people have the choice to behave in ways that may be detrimental to their health, these choices are constrained by the social context in which they are made and the structural dynamics within that context.

Agency and Choice: Connecting to Habitus

The role of agency, choice, and individual action is the concern of the second part of Bourdieu’s theoretical framework, namely his concept of habitus.

 

아비투스(Habitus)

아비투스는 부르디외 이론의 행위적 측면을 나타내며,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무의식적이거나 반사적으로 행동하는 방식을 반영한다. 이러한 행동은 **사회화 과정(Layder 1994)**을 통해 습득한 지식아비투스가 실행되는 **사회적 맥락(장)**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아비투스는 **‘특정한 방식으로 사고하거나 행동하려는 사회적 영향을 받은 성향’**으로 정의된다(McDonnell et al., 2009: 43).

건강 맥락에서 아비투스

건강의 맥락에서, 우리의 신체가 행동하는 방식은 일상적인 무의식적 실천’을 통해 형성되며, 이는 사회 내에서 작동하는 계급, 성별, 민족성과 같은 사회적 관계와 연결된다(ibid.: 43). 따라서, 사람들이 건강을 증진하거나 해치는 행동을 선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더라도, 이 선택은 그들이 살아가는 사회적 환경의 물질적, 문화적 제약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약된 선택(bounded choice)**이다(McDonnell et al., 2009).

아비투스의 구성

부르디외에 따르면, 아비투스는 내재화된 성향의 집합으로, 이 성향의 매개 변수는 장에 의해 설정되며, 이는 개인의 행동과 사회적/개인적 기대를 형성한다. 장, 아비투스, 자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행위는 구조를 생산하고 재생산한다고 할 수 있다. 구조는 **구성적 실천(constructive practices)**을 통해 존재한다(Adams, 2006).

장 내에서의 움직임과 암묵적 이해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장을 이동하지만, 부르디외는 사람들이 주로 자신이 속한 사회 집단과 공통된 장 내에서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장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암묵적 이해(tacit understanding)**를 발전시킨다. 부르디외(1990)는 이를 **‘독사적(doxic) 경험’**이라고 지칭하며, 이 경험에서는 내부 구조와 외부 구조가 서로 상호 구성적(mutually constitutive)이 되어 무의식적인 실천을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우리는 **‘게임의 감각’**을 갖추게 되며, 주어진 장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된다.

의도적 행동과 독사적 아비투스

이는 모든 행동이 무의식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독사적 아비투스(doxic habitus)’**는 의도적이거나 의식적인 행동을 가리키며, 이러한 행동도 사회적 맥락 내에서 현실 경험의 논리와 연결되어 나타난다. 부르디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각 행위자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본의든 아니든, 객관적 의미의 생산자이자 재생산자이다. … 행위자들이 엄밀히 말해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들이 하는 일은 그들이 아는 것보다 더 큰 의미를 갖는다.”
(Williams 1995: 582에서 인용)

 

따라서 구조적으로 위치된 효과는 자율적 행동에 선행하거나 최소한 공존한다고 할 수 있다. 부르디외는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사람들의 의지는 자신의 가능성에 맞추어진다. 그들이 ‘어쨌든 자신에게 운명처럼 부여된 것’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Bourdieu, 1990: 216; Williams 1995: 594에서 인용)

개인 선택과 구조의 상호작용

위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개인적 선택의식적 행동의 여지가 존재하지만, 이는 구조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부르디외가 설명한 것은 행동을 안내하며, 중요한 것은 개인에게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본을 생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으로 무의식적인 문화적 성향 또는 템플릿이다. 그는 이러한 문화적 템플릿을 계급을 기준으로 유형화했으며, 그 템플릿의 특성이 계급 간 권력 관계를 강화하고 건강 행동과 같은 측면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한 사람의 아비투스와 장이 일치하면, 그들은 삶의 자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자본을 발전시킨다. 그러나 그 일치가 방해받는 경우, 그러한 자본을 발전시킬 능력이 손상된다.”
(Forbes and Wainwright, 2001: 806)

 

===

Doxic Habitus란?
→ 무의식적인 습관이 아니라, 의도적인 행동까지 포함하지만, 여전히 사회적 구조의 논리 안에서 형성되는 행동 방식을 의미합니다.
→ 즉, 우리가 의도적으로 내리는 결정조차도 사회적 구조에 의해 형성되고 제한됩니다.

개인의 선택과 사회 구조는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 사람들은 스스로 선택을 내린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 선택지는 이미 사회 구조가 정해 놓은 틀 안에서 이루어집니다.
→ 특정한 계층이나 환경에서 자란 사람들은 그 환경이 제공하는 선택지 안에서만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Habitus와 Field의 관계
Habitus와 Field가 일치하면 개인이 자본을 축적하기 쉬운 반면, 불일치하면 적응이 어렵고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 결국, Bourdieu의 이론은 우리가 ‘자유롭게 선택하는 것처럼 보이는 행동’이 사실은 사회적 구조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


Habitus

Habitus is the agentic aspect of Bourdieu’s theory and reflects the unthinking or unconscious ways in which people act on a day-to-day basis. These actions are shaped by the knowledge acquired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isation (Layder 1994) and the social context (field) in which habitus is exercised.
Thus, habitus is defined as a ‘socially influenced disposition to think or act in particular ways’ (McDonnell et al., 2009: 43).

Habitus in the Context of Health

In the context of health, the ways our bodies act are ‘shaped through daily unconscious practices’, which are nonetheless connected to social relations such as class, gender, and ethnicity operating in society (ibid.: 43). Therefore, while people have choices regarding health-promoting or detrimental behaviors, these choices are tied to the material and cultural constraints of their social milieu, making them bounded choices (McDonnell et al., 2009).

Structure of Habitus

According to Bourdieu, habitus consists of embodied dispositions, the parameters of which are set by the field, shaping behavior and personal/social expectations.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field, habitus, and capital, action produces and reproduces structure, which exists through constructive practices (Adams 2006).

Movement Within Fields and Tacit Understanding

Actors move through various fields in daily life but tend to stay within fields common to their social groupings, according to Bourdieu. This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a tacit understanding of how to act in these fields. Bourdieu (1990) describes this as a ‘doxic experience’, where internal and external structures are mutually constitutive, leading to unconscious practices. This provides actors with a ‘feel for the game’ and knowledge of how to act in a given field.

Intentional Actions and Doxic Habitus

Not all actions are unconscious. The term ‘doxic habitus’ refers to deliberate or intentional actions that still emerge within the logic of experiences in a given social context. Bourdieu explains:

“Each agent, wittingly or unwittingly, willy nilly, is producer and reproducer of objective meaning … it is because the subjects do not, strictly speaking, know what they are doing that what they do has more meaning than they know.”
(cited in Williams 1995: 582)

Structurally positioned effects can, therefore, be said to precede or at least coexist alongside autonomous actions. As Bourdieu states:

“…people’s wills adjust to their possibilities because ‘they have a taste for what they are anyway condemned to.’”
(Bourdieu, 1990: 216; Williams 1995: 594)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Choice and Structure

While individual choice and conscious actions are possible, these are shaped by structural factors.

“[W]hat Bourdieu described are subconscious culturally determined templates or dispositions which inform behavior and, importantly, generate different forms of capital for an individual in different settings. He also typologized these cultural templates on the basis of class and argu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templates inform and reinforce inter-class power relations together with facets such as health behavior. When a person’s habitus and field are congruent, they develop important soci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capital that provides the resources of life. If, however, something interferes with that congruence, their capacity to develop such capital is compromised.”
(Forbes and Wainwright, 2001: 806)

 

 

우리의 자본을 축적하고 거래하는 능력은 **habitus(습관적 성향)**와 field(장) 간의 일치 정도에 의해 완화된다. 이는 장기적이고 심각한 장애 상태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연구에서 흥미로운 함의를 가진다. 이들은 행동 방식을 알지 못하고, ‘게임의 감각’을 갖지 못하는 비독사적(non-doxic) 장에 놓이게 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장 안에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이 속한 장에서 성공적으로 협상하기 위해 필요한 자본을 축적하고 거래하는 능력도 저해한다.

 

Bourdieu의 이론이 장기적이고 심각한 장애 상태의 진단을 통해 비독사적 장에서 자신을 발견한 사람들의 경험을 탐구하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예시는 이 장의 마지막 부분에서 제시된다.

 

비독사적 장을 이동하며 적응하고 자신의 habitus를 조정해야 한다는 인식을 Bourdieu는 **reflexivity(성찰성)**이라고 언급한다. 개인의 성찰적 사고 능력은 변화된 형태의 habitus로서, 또는 특정 장의 요구되는 구성 요소로서 발전할 수 있다. Bourdieu는 학문적 연구라는 장을 예로 들어, 이곳에서 성찰성이 적극적으로 장려된다고 설명하며, 그의 사회 연구에 대한 인식론적 비판에서 ‘참여적 객체화(participant objectification)’와 ‘객체화의 객체화(objectification of objectification)’라는 핵심 개념을 통해 연구자의 성찰성이 사회 연구에서 중심적 역할을 한다고 제안한다(Jenkins, 2002).

 

===

🔹 Doxic Field vs. Non-Doxic Field

Doxic Field

  • 우리가 이미 익숙한 환경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자연스럽게 알고 있는 공간입니다.
  • 여기서는 **“게임의 감각(Feel for the game)”**을 가지고 있어, 필요한 자본(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자본)을 쉽게 축적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 의사가 병원에서 일할 때, 교수와 학생이 대학에서 연구할 때 → 이미 익숙한 시스템 속에서 자연스럽게 행동 가능.

Non-Doxic Field

  • 우리가 익숙하지 않은 환경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모르고 불안감을 느끼는 공간입니다.
  • 기존의 habitus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규칙을 익히지 않으면 자본을 축적하거나 활용하기 어려움.
  • 예)
    • 장애를 진단받은 사람이 기존과 전혀 다른 환경에서 살아가야 할 때
    • 사회적·경제적 지위가 급격히 변했을 때
    • 낯선 문화에서 생활해야 할 때 (이민, 유학 등)

===

 

성찰성은 구조화된 환경 안에서 실행된다는 점도 중요하다. 따라서 드문 질환을 가진 아이를 최선으로 돌볼 수 있는 의료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려는 부모는 자신들이 가진 지식과 기술이 그들이 속한 지배적 생의학적 구조 안에서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 싸워야 한다(Scambler and Newton, 2011). 마찬가지로, 아이들의 교육에 대한 참여를 통해 지배적 문화적 가치를 전수하려는 부모들은 학문적 장이 비독사적일 경우 더 큰 도전에 직면할 수 있다(Reay, 1998). 따라서 ‘중산층 여성은 주로 habitus를 복제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반면, 노동계층 여성은 훨씬 더 어려운 과제인 habitus를 변형시키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녀의 학교 유형이나 특정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킬 병원과 관련된 선택이 사람들에게 주어지더라도, 그러한 선택을 의미 있게 만드는 자원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선택이 무의미하게 여겨질 수 있다. 이는 보수당 및 자유민주당 연립 정부가 추진한 NHS 개혁과 관련해 ‘선택’의 중심성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특히 의미를 갖는다.

 

===

✅ Reflexivity란?

  • Reflexivity(반성적 사고)란 자신이 속한 필드에서 자신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성찰하고, habitus를 조정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 쉽게 말해, **“내가 있는 환경이 기존과 다르다는 걸 깨닫고, 이에 맞게 내 행동 방식을 조정하는 능력”**입니다.

===

💡 Non-Doxic Field에서의 Reflexivity

  • 장애를 진단받은 사람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기존 habitus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새로운 필드에 맞춰 변화해야 합니다.
  • 이 과정에서 Reflexivity가 필수적이며, 개인이 reflexive(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다면 새로운 환경에서의 자본 축적과 활용이 수월해집니다.
  • 즉, Reflexivity는 Habitus의 변화를 촉진하는 핵심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보건의 장에서 habitus는 수동성과 순응성으로 특징지어진다. 보건 habitus가 실행되는 장의 권력 구조는 의료 및 관련 전문가들이 권력을 가진 채 상호작용을 통제하는 구조이다. Lumme-Sandt와 Virtanen(2002)의 연구에 따르면, 기본 habitus가 수동적이고 순응적인 것이 사실이지만, 많은 환자들이 다른 장, 특히 고용에서 축적된 자본을 활용해 보건 habitus를 협상하고 변화시켰다. 마찬가지로 Angus et al.(2005)은 만성 질환 문헌(예: Bury, 1982)에서 나타난 생애적 및 생물학적 위기가 habitus와 사회적 위치 모두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Behague et al.(2008)은 Bourdieu의 이론적 틀을 사용하여 심각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산과적 사건의 맥락에서 비난과 책임의 협상을 탐구했다. 심각한 산과적 사건을 경험한 74명의 여성에 대한 연구에서, 3분의 1만이 광범위한 부실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만을 제기했다. 환자 피드백이 의료 서비스 품질 변화를 초래하는 데 실패한 원인을 분석한 결과, 자본 자원의 부족과 장 내 위계에서의 낮은 지위(권력 부족,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여성으로서의 정체성)가 환자가 부실 사례에도 불구하고 의료 행위를 비판하지 못하게 만드는 요인임이 드러났다. 이로 인해 수동성은 구조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성들은 건강의 장에서 낮은 지위에 있으며, 문제 있는 결혼생활, 가족 네트워크, 물질적 자원의 부족 등 복잡한 사회적 장에서의 협상을 동시에 겪었다. 결과적으로 낮은 건강 habitus를 가진 여성들은 낮은 품질의 의료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사건에 대한 비난과 책임을 스스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반면, 불만을 제기할 수 있었던 소수의 여성들은 강력한 사회적 지원과 환자를 강화시킬 수 있는 옹호자를 가지고 있었다. 이로 인해 외상 사건은 의료 서비스 개선의 촉매제가 되었으며, 환자의 소외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았다.

 

===

4. 결론: Habitus, Field, Reflexivity의 관계

Habitus와 Field의 일치 여부에 따라 개인이 자본을 축적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결정된다.
Non-Doxic Field(익숙하지 않은 환경)에 처하면, 기존의 Habitus가 작동하지 않아 자본 축적이 어렵다.
이때 필요한 것이 Reflexivity(반성적 사고)이며, Reflexivity가 있다면 Habitus를 변화시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하지만 Reflexivity조차도 구조적 요인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 결국, 우리가 특정 환경에서 얼마나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는가는 개인의 능력뿐만 아니라, 사회적 구조와 환경이 제공하는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 즉, 단순히 "개인이 열심히 노력하면 된다"는 접근은 한계를 가질 수 있으며, 구조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원문 (영어)

Thus our capacity to accumulate and transact with capital is mitigated by the degree of congruity between habitus and field. Again this has interesting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people living with long-term, profoundly disabling conditions where they may find themselves in a non-doxic field where they do not know how to act, they do not have the ‘feel for the game’. Not only does this affect their actions within the field but it also inhibits their ability to accumulate and transact with the capital needed to successfully negotiate the field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

 

An example of how Bourdieu’s theory can be us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eople who find themselves in non-doxic fields through the diagnosis of a long-term, profoundly disabling condition is given in the final part of the chapter.

 

Awareness of moving through a non-doxic field and the need to adapt and moderate habitus within the field is referred to by Bourdieu as reflexivity. An individual’s capacity for reflexive thought may develop as an altered form of habitus or as a required constituent of a particular field. Bourdieu uses the example of academia as a field where reflexivity is actively encouraged, in his epistemological critique of social research – and in particular the key notions of ‘participant objectification’ and the ‘objectification of objectification’ – he suggests that the reflexivity of the researcher is central to social research (Jenkins 2002).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reflexivity is exercised within a structured environment.

 

Thus the parent who seeks to develop medical knowledge and skills to enable them to best care for a child with a rare condition must fight to get their knowledge and skills legitimated within the dominant biomedical structure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 (Scambler and Newton 2011). Similarly, parents seeking to transmit dominant cultural values through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may face a greater challenge if the field of academia is non-doxic (Reay, 1998). Thus ‘middle class women are predominantly engaging in a process of replicating habitus while their working class counterparts are attempting a much harder task; that of transforming habitus’. In this way ‘choices’ given to people, whether concerning the type of school that their children attend, or the hospital which best meets their particular needs, may be rendered meaningless to those who lack the resources to make a meaningful choice. This has a particular resonance if one considers the changes to the National Health Service orchestrated by the Conservative and Liberal Democrat Coalition government, which trumpet the centrality of ‘choice’.

 

In the field of health, habitus has been characterised as one of passivity and compliance. The power structure of the field within which health habitus is enacted is one in which medical and allied professionals take the position of power and control the interactions. In their work on the use of medication in old age, Lumme-Sandt and Virtanen (2002) showed that, whilst the default habitus is passive and compliant, many patients actively used capital accumulated within other fields, particularly employment, to negotiate and change health habitus. Similarly, Angus et al. (2005) suggest that biographical and biological crises, such as those that are represented in the chronic illness literature (see Bury 1982), may lead to changes in both habitus and social position.

 

The role of capital and habitus is explored in Behague et al.’s work (2008) in which they used Bourdieu’s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ore the negotiation of blame and responsibility in the context of severe or near-death obstetric events. In their study of 74 women who experienced severe obstetric events, only one-third made a complaint despite evidence of widespread poor practice. Examination of the role of patient feedback in changing quality of care suggested that a lack of capital resources combined with low status in the hierarchy of the field itself (lack of power, low socioeconomic status, being female) made patients reluctant to criticise healthcare practices even in the face of poor practice. Thus the passivity is structural. For these women, low status in the health field was often combined with negotiation of a range of complex social fields, with problematic marriages, family networks and a lack of material resources. This resulted in women with low health habitus being assigned and accepting blame and responsibility for the event, even where care was of poor quality.

In contrast, the minority of women who were able to complain had strong social support and advocates who were able to reinforce the patient. This resulted in traumatic events becoming catalysts for improving care rather than increasing the estrangement of the patient.

 

Habitus와 Bodily Hexis

Habitus는 단순히 행위 주체적(agentic)일 뿐만 아니라 Bourdieu에게는 체현된 개념이기도 하다. Habitus는 행위자들의 머릿속에 존재하는 만큼만 존재한다. 그것은 행위자들의 행동 속에서, 행동을 통해, 행동 때문에 존재하며, 움직이는 방식, 말하는 방식, 신체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드러난다. 따라서 habitus는 추상적인 것이 아니다. 또한 단순히 행동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체현된 행동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Bourdieu는 사람들이 행동을 조직화하는 데 사용되는 **실천적 분류(practical taxonomies)**를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행동한다고 제안한다. 여기에는 남성/여성, 앞/뒤, 뜨겁다/차갑다, 위/아래와 같은 분류의 이해가 포함된다. 그는 이러한 실천적 분류가 신체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감각에 의해 결정된다고 강조한다. Habitus의 체현된 본질은 Bourdieu에 의해 bodily hexis라고 불린다. Bodily hexis는 행위자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과 스타일로, 개인적인 요소와 사회적인 요소가 결합하는 지점이다. 또한 질병, 장애 또는 신체적 비정상성이 행위자에게 영향을 미치고 가시화되거나 명백해질 수 있는 영역이기도 하다.

 

사회학적 관점에서 bodily hexis 또는 habitus의 체현된 본질은 질병과 장애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된다. Bodily hexis는 만성적 또는 장기적 상태, 또는 장애로 인해 근본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Jenkins는 bodily hexis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정치적 신화가 실현되고 체현되며, 영구적인 성향, 내구성 있는 자세, 말투, 그리고 따라서 감정과 사고방식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체현된 원칙들은 의식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하며, 따라서 자발적이고 의도적인 변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없으며, 명시적으로 표현될 수도 없다... Bourdieu에게 있어 신체는 사회화 또는 학습 과정에서 초기 아동기부터 가장 기본적인 habitus가 새겨지는 기억 장치이다." (2002: 75–76)

 

만약 bodily hexis가 우리의 사회적 양육에서 기인한 것으로 의식할 수 없거나 알 수 없는 것이라면, 신체가 손상되었을 때 무의식적인 bodily hexis는 어떻게 되는가? 신체가 사회화될 수 없는 경우 bodily hexis가 의식으로 떠오르는가? 이는 새로운 변형된 형태의 bodily hexis가 나타나는지, 아니면 손상된 bodily hexis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이것이 habitus 및 자본의 축적과 거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질문은 장애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할 잠재력을 가지며, 억압에 포괄된 장애 이론의 구조적 측면과, 낙인과 대처로 요약된 만성질환 및 장애의 사회학적 경험적 측면을 통합하는 새로운 이론을 개발할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

 

===

1. Habitus는 신체적 개념이다 (Embodied Habitus)

Habitus는 단순한 정신적 개념이 아니라 몸을 통해 나타남

  • Habitus는 우리의 몸짓, 말투, 움직임, 신체 사용 방식 등에 반영됩니다.
  • 예를 들어, 귀족처럼 보이는 사람이 특정한 방식으로 걷고 말하는 이유는 그들의 Habitus가 신체적으로 표현되었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Habitus는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몸을 사용하고 세상을 경험하는지와 깊이 연결된 개념입니다.

실용적 범주(Practical Taxonomies)와 신체적 감각

  • 우리는 신체적으로 남성과 여성, 앞과 뒤, 차가움과 뜨거움, 위와 아래 같은 범주를 직관적으로 이해합니다.
  • 이러한 **실용적 범주(Practical Taxonomies)**는 우리의 감각(senses)을 통해 형성되며, 우리가 사회적으로 학습한 것들이 몸에 각인된 결과입니다.

💡 예시

  • 높은 지위를 가진 사람들은 흔히 똑바로 서 있고, 당당한 자세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음.
  • 반대로,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에 속한 사람들은 구부정하게 서거나 움츠린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음.
  • 이는 단순한 개인 습관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학습된 **Bodily Hexis(신체적 습관)**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입니다.

2. Bodily Hexis란 무엇인가?

Bodily Hexis는 Habitus가 신체를 통해 표현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Bourdieu는 신체적 태도, 움직임, 말투, 몸을 사용하는 방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보았습니다.

Bodily Hexis의 특징

  1. 사회적 배경과 연결됨
    • 우리가 어린 시절부터 학습한 사회적 경험이 우리의 신체적 습관으로 형성됩니다.
    • 즉, 우리의 몸이 특정한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사회적으로 훈련됨.
  2. 정치적·사회적 의미를 가짐
    • Jenkins(2002)는 Bodily Hexis를 **“정치적 신화가 신체화된 형태”**라고 설명합니다.
    • 즉, 특정한 신체적 태도와 행동 방식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사회적·정치적 구조 속에서 형성된 것입니다.

💡 예시

  • 엘리트 교육을 받은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특정한 방식으로 말하고 행동하는 경향이 있음.
  • 군대에서 훈련받은 사람들은 똑바로 서 있고 절도 있는 움직임을 보임.
  • 특정한 계층의 여성들은 다리를 모으고 앉는 것이 ‘예의’라고 배움.
  • 반대로 노동 계층에서 자란 사람들은 신체를 보다 자유롭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

===

2. Bourdieu의 Bodily Hexis: 신체적으로 체화된 사회적 습관

부르디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Hexis 개념을 사회적 차원에서 확장하여 Bodily Hexis(신체적 헥시스) 개념을 만들었습니다.

Bodily Hexis의 핵심 개념

  1. 사회적으로 학습된 신체적 태도
    • Bodily Hexis는 사람들이 사회 속에서 경험하며 자신도 모르게 몸으로 체득한 행동 방식을 의미합니다.
    • 이는 단순한 ‘자세’나 ‘말투’가 아니라, 사회 계층, 문화적 배경, 성별 등에 의해 형성된 행동 방식입니다.
  2. Habitus와 연결됨
    • **Habitus(아비투스)**는 사회적으로 학습된 태도와 행동 패턴을 의미하며, Bodily Hexis는 이를 신체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 즉, Habitus는 정신적·문화적 요소를 포함하지만, Bodily Hexis는 신체적 표현에 집중된 개념입니다.

💡 예시 (Bodily Hexis)

  • 사회적 계층과 태도
    • 상류층 출신의 사람들은 몸을 곧게 펴고, 여유로운 태도를 보이며, 자신감 있는 말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
    • 노동 계층 출신의 사람들은 좀 더 활동적이고, 직접적인 말투를 사용하며, 거친 몸짓을 보일 수도 있음.
    • 이는 단순한 ‘개인적 습관’이 아니라, 사회적 위치에서 비롯된 신체적 습관(Bodily Hexis)의 차이입니다.
  • 권위와 신체 언어
    • 군대에서 훈련받은 사람들은 똑바로 서고, 명확한 목소리로 말하는 것이 익숙함.
    • 교수들은 강연장에서 특정한 제스처와 말투를 자연스럽게 사용함.
    • 이 모든 것은 개인이 선택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경험을 통해 몸에 배어 있는 것.
  • 젠더와 신체적 습관
    • 전통적으로 여성들은 다리를 모으고 앉는 것이 예의라고 학습함.
    • 남성들은 다리를 넓게 벌리고 앉거나, 권위를 강조하는 손짓을 하는 경우가 많음.
    • 이러한 차이 역시 사회적 규범이 몸에 배어 형성된 Bodily Hexis입니다.

===


Habitus and Bodily Hexis

Not only is habitus agentic, it is also an embodied concept for Bourdieu. Habitus only exists in so much as it is in the heads of those who act. It exists in, through and because of the actions of the actors and is apparent in ways of moving, talking and using the body. Habitus, therefore, is not abstract. Neither is it simply manifest in behaviour; it is an integral part of embodied behaviours. Bourdieu suggests further that people act through an understanding of practical taxonomies that give order to actions. These include an understanding of male/female, front/back, hot/cold, up/down. Again he stresses that these practical taxonomies are rooted in the body, they are determined by the senses. The embodied nature of habitus is referred to by Bourdieu as bodily hexis. Bodily hexis is the manner and style in which actors carry themselves and is where the personal combines with the social. It is also where illness, disability or bodily abnormality affects the actors and may become visible or obvious.

From a sociological perspective, bodily hexis or the embodied nature of habitus is a useful tool for exploring the impact of illness and disability on everyday life. Bodily hexis can be fundamentally affected by chronic or long-term conditions or by disability. Jenkins describes bodily hexis as:

"a political mythology realised, embodied, turned into a permanent disposition, a durable manner of standing, speaking and thereby of feeling and thinking … the principles embodied in this way are placed beyond the grasp of consciousness, and hence cannot be touched by voluntary, deliberate transformation, cannot even be made explicit … for Bourdieu the body is a mnemonic device upon or in which the very basics of the habitus are emprinted in a socialising or learning process which commences during early childhood."
(2002: 75–76)

 

If bodily hexis is unknowable or beyond consciousness as it emerges from our social upbringing, this raises the question as to what happens to unconscious bodily hexis when the body is impaired. Does the body’s inability to be socialised raise bodily hexis into consciousness? This raises further questions about whether a new altered form of bodily hexis emerges or whether an impaired bodily hexis emerges. And what is the impact of this on habitus and the accumulation and transaction of capital? This has the potential to give us a new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nd potentially a way to develop a new theory that incorporates both the structural facets of disability theory encapsulated in oppression, and the experiential facets of the sociology of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encapsulated in stigma and coping.

 

구조/행위 논쟁

Bourdieu는 1990년 저서 **‘In Other Words’**에서 자신의 작업을 ‘유전적 구조주의(genetic structuralism)’라고 언급한다. Jenkins는 구조와 행위 논쟁에서 Bourdieu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 ‘객관적’이고 개인을 초월한 사회적 현실(문화적 및 제도적 사회 구조)개인이 문화적 존재이자 사회적 행위자로서 내면화한 ‘주관적’ 정신 세계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각각이 서로에게 기여하고, 더 나아가 서로의 한 측면이다.”
(2002: 19–20)

 

Bourdieu는 그의 저서 **‘The Logic of Practice’(1990a)**에서 주관주의(subjectivism)와 객관주의(objectivism) 사이의 선택을 초월하려고 시도한다. 그는 Marx의 작업을 기반으로 모든 사회적 삶이 본질적으로 실천적이며, 실천공간시간 안에 위치한다고 제안한다. 따라서 실천은 3차원에서 관찰될 수 있으며, 시간 속에서 그 위치에 의해 정의된다. 그는 우리가 이해하는 시간은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지만, 낮과 밤, 계절과 같은 자연적 주기에 의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Jenkins, 2002). 만약 이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사회적 현상은 시간과 공간 밖에서 이해될 수 없으며, 실천에 대한 모든 분석은 시간성을 그 본질의 중심적 특징으로 간주해야 한다.

 

Bourdieu는 실천이 전적으로 의식적으로 조율되지도 않으며 단순히 일어나는 것도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는 이를 **‘게임의 감각(feel for the game)’**라고 부르며, 이를 “게임의 논리 또는 내재적 필연성을 실천적으로 숙달하는 것 – 게임의 경험을 통해 얻어진 숙달로, 의식적 통제와 담론 밖에서 작동한다”고 설명한다(Jenkins, 2002: 70). 이는 또한 Marx의 “인간은 자신의 역사를 만들어 가지만 자신이 선택한 상황에서 그렇게 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주장과 연결된다(Jenkins, 2002: 70).

 

우리는 이미 대부분 무의식적이지만 완전히 무의식적이지는 않은 행동 방식사회화 과정을 통해 배우며, 우리의 신체 또한 비슷하게 무의식적으로 우리 habitus에 적합하거나 공명하는 방식으로 행동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게다가, 우리는 사회적 정체성이나 공간에서 우리가 차지하는 위치에 대한 감각을 포함해 일련의 실천적 문화적 역량을 학습하며 성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사회적 현실을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경험에 필수적인 ‘그 자체로의 당연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는 것은 매우 어렵다.

 

Jenkins(2002)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자신과 자신이 속한 사회적 세계를 당연하게 여긴다고 제안한다. 이들은 그것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데, 이는 생각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독사적 경험(doxic experience)**이다. 구조는 Bourdieu에 의해 권력 구조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본의 분포와 축적에 의해 정의되고, 특정 유형의 habitus를 생성하거나 형성하도록 돕는 불균등한 위치 집합으로 묘사된다. Williams(1995)는 이를 **‘주관적 기대’**가 **‘객관적 확률’**과 어떻게 정렬되는지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건강 정책이 사회경제적으로 불리한 사람들을 건강한 삶으로 해방시키기 위한 열쇠로 선택(choice)과 행동 변화(behaviour change)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선택과 행동의 구조적 제약을 고려하지 못하는 것이다.


The Structure/Agency Debate

In his 1990b work, ‘In Other Words’, Bourdieu refers to his work as ‘genetic structuralism’. Jenkins describes his place in the structure agency debate as:

“… the attempt to understand how ‘objective’, supra-individual social reality (cultural and institutional social structure) and the internalised ‘subjective’ mental worlds of individuals as cultural beings and social actors are inextricably bound up together, each being a contributor to – and, indeed, an aspect of – the other.”
(2002: 19–20)

 

In his book The Logic of Practice (1990a), Bourdieu attempts to transcend the choice between subjectivism and objectivism. Drawing on the work of Marx, he suggests that all social life is essentially practical, and that practice is located in space and time. Practice can be observed, therefore, in three dimensions and is defined by its place in time. Time, he suggests, in our understanding of it, is socially constructed. It is, however, socially constructed out of natural cycles – day and night, seasons and so forth (Jenkins 2002). If this is accepted, then social phenomena cannot be understood outside of time and space and any analysis of practice must, therefore, treat temporality as a central feature of its very nature.

 

Bourdieu goes on to suggest that practice is not wholly orchestrated consciously, but nor does it just happen. We have what he calls a ‘feel for the game’, “the practical mastery of the logic or of the imminent necessity of a game – mastery acquired by experience of the game, and one that works outside conscious control and discourse” (Jenkins, 2002: 70). Again, this links to Marx’s idea that men make their own history but do not do so in circumstances of their own choosing (cited in Jenkins 2002: 70).

 

We have already established that we are socialised into a way of acting that is largely, although not wholly, unconscious, and that our body acts in ways appropriate or resonant with our habitus in a similarly unconscious manner. In addition, we grow up learning a set of practical cultural competencies, including a social identity or a sense of the position that we occupy in space. If you accept these arguments, this makes it very difficult to perceive social reality as anything other than the way things are, necessary to our own experience of who we are.

 

Jenkins (2002) suggests that most people, most of the time, take themselves and their social world somewhat for granted. They do not think about it because they do not have to. This is doxic experience. Structure is portrayed by Bourdieu as an uneven set of positions within a power structure, which are defined by the spread and accumulation of various forms of capital and which produce or help to shape a particular type of habitus. Williams (1995) sees this as a way of explaining how ‘subjective expectations’ are aligned with ‘objective probabilities’.

 

Again the implications for health policy – which focuses on choice and behaviour change as keys to the emancipation of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into a life of health – are not taking into account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choice and behaviour if viewed in this way.

 

Bourdieu의 작업에서 기대와 자본 및 자원의 접근성이 일치하는 이유에 대한 잠재적 설명

Bourdieu의 작업은 기대와 자본 및 자원의 접근성이 일치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 **환상(illusion)**과 **상징적 폭력(symbolic violence)**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 환상(illusion):
    • 이는 사람들이 자신이 살고 있는 규칙을 이해하고 이러한 규칙의 경계 내에서 자신을 정의하게 되는 독사적(doxic) 관계를 내면화하는 것을 의미한다(Newton, 2009). 따라서 사람들의 기대는 물리적 환경이 아니라 사고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 상징적 폭력(symbolic violence):
    • 이는 자본의 불평등한 접근성과 분배로 인해 발생하는 위계와 불평등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사람들이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무의식적으로 내면화한다는 Marx의 ‘허위의식(false consciousness)’ 개념과 유사하다. Wainwright(1996)는 이것이 개인 행동이나 심지어 불평등 자체에 대한 개별적 또는 병리학적 설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제안한다.
  • 상징적 자본(symbolic capital):
    • 이는 서로 다른 형태의 자본이 충돌하여 개인에게 열려 있는 가능성(예: 교육적 기대와 성취, 또는 건강과 관련된 계급적 정의)에 영향을 미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Newton, 2009). Williams(1995)는 이러한 Bourdieu의 분석이 생활방식, 건강 행동, 웰빙에 대한 이해와 같은 건강 개념의 구조적 본질을 명확히 하며, 이러한 구조적으로 차별화된 개념이 차별적 행동, 서비스 이용, 건강 결과로 이어지는 방식을 설명한다고 제안한다.

사회적 위계의 최상위에 있는 사람들은 특정 장(field) 내에서 미적 판단과 구별의 기준을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Newton은 이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는 맥락적(field) 메커니즘에 의해 전파되는 성찰성(reflexivity) 개념과 결합하여, 가치의 전파와 문화적 형태의 모방적 체현, 그리고 불균등하고 계급 기반의 결과와 관련된 성향의 구조적 결정 방식을 설명한다.”
(Newton, 2009: 123)

 

비독사적(non-doxic) 장에서는 사람들이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고, 성공적으로 장을 협상하기 위해 어떤 자본을 축적해야 하는지를 의식적으로 결정할 때, habitus에 얽매이지 않은 성찰성의 가능성이 나타난다.


Bourdieu 작업에 대한 비판

Bourdieu의 작업에 대한 비판은 다양하다.

  • 그의 스스로의 비판:
    • 1988년에 그는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요점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언어 사용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인정했다.
  • 객관주의와 주관주의 간의 분열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지적(Jenkins, 2002):
    • 그의 작업이 불필요하게 구조적 결정론적(structurally deterministic)이라는 비판을 받는다(Adams, 2006). Bourdieu는 행위를 논의하지만, 행위가 구조적으로 제한된 개념으로 발전되었다고 본다.

Jenkins(2002)는 habitus를 권력 관계, 사회적 계급, 자본의 차별적 접근성에 의해 구조화된 무의식적 행동으로 간주하며, 의식적 사고, 행위,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다고 지적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세상에 대해 생각하고, 자신이 살아가는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미리 결정된 선택지 내에서만 행동한다는 것이다.

  • Archer(2007)의 비판:
    • 사회화에 대한 Bourdieu의 의존도가 높아, 삶이 그가 제안한 것보다 덜 구조적이며, 우리는 정기적으로 낯선 상황에 직면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행동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Thompson(1991)의 비판:
    • 객관주의와 주관주의 논쟁을 극복하려는 과정에서 Bourdieu가 객관주의가 주관주의보다 ‘덜 부적절하다’는 믿음을 버리지 못했으며, 결과적으로 결정론적 관점에 기울었다고 평가한다.
  • habitus 개념에 대한 불명확성:
    • Bourdieu가 habitus의 개념이나 그것이 문화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있다(Jenkins, 2002).

Bourdieu 작업의 의도

Bourdieu의 작업은 철학적이거나 ‘대서사(grand narrative)’로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는 자신의 작업을 경험적 데이터를 탐구하고 설명하려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를 의도했다. 즉, 그의 작업은 세상을 이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이 장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Bourdieu의 ‘사회 이론’을 경험적 데이터를 탐구하고 설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한 가지 가능성을 예시한다.


원문 (영어)

Bourdieu’s work also contains potential explanations for why expectations appear to match access to capital and resources. These he terms illusion and symbolic violence.

  • Illusion:
    This relates to the internalisation of the doxic relationship whereby people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rules by which they are living and define themselves within the bounds of these rules (Newton 2009). Thus their expectations are shaped by their circumstances, albeit through thought rather than physically.
  • Symbolic violence:
    This relates to the idea that the hierarchy and concomitant inequalities resultant from the unequal access to and distribution of capital are naturalised. This is similar to Marx’s concept of false consciousness, whereby people internalise the dominant ideology without being aware that they do so. Wainwright (1996) suggests that this can lead to individualised or even pathological explanations for individual behaviours or even for inequalities themselves.
  • Symbolic capital:
    This occurs at the point where different forms of capital collide and impact on the possibilities open to individuals, whether in relation to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achievements or class-related definitions of health (Newton 2009). Williams (1995) takes this a step further to suggest that a Bourdieuian analysis can elucidate the structured nature of health concepts such as lifestyle, health behaviour and understandings of wellbeing and how these differentially structured concepts lead to differential behaviours, service utilisation and health outcomes.

Those at the top of the structural hierarchy within a field are in a position to determine the criteria through which judgements of taste and distinction are made. As Newton suggests:

“This, when combined with a notion of reflexivity as driven by contextual (field) mechanisms of propagation, explains the transmission of values and the mimetic embodiment of cultural forms and a structural determination of proclivity and its relation to uneven, class based outcomes.”
(Newton, 2009: 123)

It is only in a non-doxic field that the potential for non-habitus bound reflexivity becomes apparent in the conscious decisions that people make about how they need to act and the capital that they need to accumulate to negotiate themselves successfully through a non-doxic field.


Criticisms of Bourdieu’s Work

Criticisms of Bourdieu’s work range widely.

  • Self-criticism:
    In 1988, Bourdieu acknowledged his own struggle to use language effectively to communicate his points.
  • Failure to resolve the objectivism/subjectivism divide (Jenkins, 2002):
    His work is often criticised for being unnecessarily structurally deterministic (see Adams 2006). While he discusses agency, his concept of agency is viewed as being structurally bounded.

Jenkins (2002) argues that habitus can be seen as unconscious actions structured by power relations, social class, and differentiated access to capital, with little room for conscious thought, agency, or choice. People think they are making choices about how they live, but in fact, they are only acting within a set of predetermined options available to them.

  • Archer (2007):
    Archer critiques Bourdieu’s reliance on socialisation, suggesting that life is less structured than Bourdieu posits, and that people frequently encounter unfamiliar situations that require conscious thought about how to act.
  • Thompson (1991):
    Thompson argues that Bourdieu fails in his quest to overcome the subjectivism/objectivism debate because he cannot let go of his belief that objectivism is “less inadequate” than subjectivism, ultimately leaning towards determinism.
  • Lack of clarity in the concept of habitus:
    Bourdieu is criticised for not clearly explaining the nature of the concept of habitus or its relationship to culture (Jenkins, 2002).

Intent of Bourdieu’s Work

Bourdieu did not intend his work to be taken as philosophy or a “grand narrative.” He aimed for his work to serve as a means to explore and explain empirical data rather than as a social theory per se. His work provides tools to think about the world. The final part of the chapter illustrates one way in which Bourdieu’s “social theory” can be used to explore and explain empirical data.

 

보르디외의 실천: 배튼병의 영역 탐구

Bourdieu의 이론은 이전에도 언급된 바와 같이 건강, 질병, 장애의 함의를 탐구하는 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활용되어 왔습니다(Williams 1995, Behague et al., 2008, Ming-cheng and Stacey 2008, Huppatz 2009 참조). 이러한 연구 중 하나는 Bourdieu의 장(field), 아비투스(habitus), 자본(capital)의 개념을 사용하여 배튼병(Batten disease)에 걸린 아동의 가족들이 비도식적(non-doxic), 생물학적으로 제한된 장에 진입하는 경험을 탐구했습니다(Scambler and Newton 2010, 2011).

 

배튼병에 걸린 아동의 가족들과의 질적 인터뷰에서 수집한 실증적 데이터를 Bourdieu의 이론적 틀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는 배튼병이라는 장에서 생물학적 요인이 생활세계(lifeworld)를 압도하는 원인을 포착하는 동시에 자본의 흐름과 개인적 행위 능력(agency)을 인정하려는 시도였습니다.

 

배튼병은 생물학적으로 '압도적'이고, 희귀하며, 만성적이고 퇴행적인 질환군으로 특징지을 수 있습니다(Siintola et al. 2006). 전 세계적으로 이 질환군의 유병률은 약 1:12,500으로 추정되지만(Hofmann and Peltonen 2001), 이는 많은 국가에서 기록이 부실하여 과소평가된 수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전체 리소좀 저장 질환(lysosomal storage disorders)의 유병률을 그룹으로 고려할 경우 약 1:5,000에 가까워지며, 이는 이 질환군에 속한 사람들의 경험이 상당히 널리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배튼병은 전 세계적으로 성인과 아동 모두에게 발생하는 희귀한 유전성, 신경퇴행성, 대사 질환군의 일반적인 이름입니다. 배튼병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발병 연령에 따라 분류되며, 영아형(생후 6개월~2세), 후기 영아형 및 변형 후기 영아형(24세), 소아형(5~9세), 성인형으로 나뉩니다. 발병 연령, 기대 수명, 증상의 진행, 유전적 원인은 질환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공통적인 증상으로는 간질, 시각 장애, 인지 및 운동 퇴행(걷기, 먹기, 말하기 능력의 상실 포함)과 단축된 기대 수명이 있습니다(Scriver et al. 2001).

 

현재로서는 신체 기능의 점진적 악화를 유의미하게 완화할 수 있는 치료법이나 치료제가 없습니다. 배튼병은 그 영향을 받은 모든 사람의 생활세계에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영향은 질병의 생물학적 속성에 기인할 수 있지만, 그 영향은 생물학적, 사회적, 심리적 측면을 포함합니다. 질병의 생물학적 영향은 질병 증상과 진행 특성을 결정하는 데 직접적이며, 일상생활의 거의 모든 측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심지어 질병의 직접적인 생물학적 영향도 영향을 받은 개인을 넘어 확산됩니다. 배튼병의 유전적 특성은 형제자매와 확대 가족 구성원, 잠재적으로는 후대까지도 직접적인 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며, 이는 보인자(carrier) 검사, 출산 전 및 출산 후 검사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됩니다.


Bourdieu in Practice: An Exploration of the Field of Batten Disease

The work of Bourdieu, as previously acknowledged, has been utilis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health, illness and disability by a number of researchers (see Williams 1995, Behague et al., 2008, Ming-cheng and Stacey 2008, Huppatz 2009). One such study utilised Bourdieu’s concepts of field, habitus and capital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Batten disease on entering a non-doxic, biologically bounded field (Scambler and Newton 2010, 2011).
Empirical data taken from qualitative interviews with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Batten disease were analysed, using a Bourdieuian framework, in an attempt to encapsulate the causal swamping of the lifeworld by the biological within the field of Batten disease whilst acknowledging both capital flows and individual agency.

Batten disease can be characterised as a biologically ‘overwhelming’, rare and chronically disabling, degenerative group of diseases (Siintola et al. 2006). The global prevalence of the group of diseases is thought to be approximately 1:12.500 (Hofmann and Peltonen 2001), although this is likely to be an underestimation owing to poor recording in many countries. When considered as a group, however, the prevalence of the lysosomal storage disorders as a whole is closer to 1:5000, giving the experiences of people living with diseases within this group considerably wider application.

Batten disease is the common name for a group of rare, genetic, neurodegenerative, metabolic diseases that are found in both adults and children across the world.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Batten disease that are usually classified by age of onset into infantile (six months to two years); late infantile and variant late infantile (two to four years); juvenile (five to nine years); and an adult onset type. Age at onset, life expectancy, progress of symptoms and genetic causes vary by disease type; however, common symptoms include epilepsy, visual impairment, cognitive and motor degeneration (including the loss of the abilities to walk, eat and talk) and a shortened life expectancy (Scriver et al. 2001).

At present there is no cure or treatment that make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gressive decline in bodily functions and inevitable early death. Batten disease has a multifaceted and multilayered effect on the lifeworlds of all those it touches. This can be causally attributed to the biological attributes of the disease, but it is biolog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in its impact. The biological impact of the disease is both direct in its determination of the disease symptoms and the nature of the disease progression, and indirect in its impact on every, or almost every, aspect of daily life. Even the direct biological impact of the disease spreads far beyond the affected, diagnosed individual. The hereditary nature of Batten disease spreads the direct biological impact to siblings and extended family members and, potentially, to future generations through a network of carrier, post- and prenatal testing.

 

 

보르디외의 실천: 복잡한 경험과 배튼병의 장

우리는 다른 곳에서(Scambler and Newton 2010) 복잡하게 얽힌 경험, 선택, 행동의 망을 해체하는 데는 장의 한계와 함께 그 일시적이고 투과적인 특성, 그리고 그 안에서 발생하는 권력 관계와 기존 위치를 포괄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보르디외의 작업은 배튼병의 장 내에서 생물학적 요인이 생활세계를 압도하는 원인을 포착하면서도, 자본의 흐름과 이 사회적 장 안에서 가용한 다양한 역할과 위치를 인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배튼병을 생물학적으로 규정된 매개변수를 가진 장으로 상상함으로써, 우리는 질병과 그에 따른 모든 것이 장 안에 놓인 행위자들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할 수 있습니다. 장의 매개변수는 질병의 유전적 구성과 기전에 대한 생물학적 및 생물의학적 연구와, ‘치료’ 또는 돌봄을 위한 잠재적 치료법의 개발이라는 변화하고 발전하는 영역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시간적이고 일시적입니다.

 

우리는 증상이 발현되는 시점에서 장에 들어선 가족들이 보이는 행동의 변화하는 본질을 추적합니다. 이후, 장 내 관계적 구성은 대체로 자본의 흐름이 생물학적 영향을 어떻게 나타내고 상응하는지에 의해 정렬됩니다. 장에서의 퇴출 지점은 절박한 시간성, 즉 죽음을 향한 되돌릴 수 없는 진행으로 나타납니다. 장은 공식적인 진단 과정을 통해 진입되며, 여기서 영향을 받은 아동은 해당 레이블을 받고 가족은 장 안에서의 위치를 정당화받습니다.

 

몇 달 또는 몇 년간의 검사, 불확정적 증상 및 오진은 가족이 장의 주변부에 머무르게 할 수 있으며, 이는 때로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습니다. 가족들은 장에 정식으로 진입하고 인정받기 위한 정당성을 기다리는 동안, 주변부에 머물 권리조차 도전받을 가능성에 직면합니다. 부모들은 본인이 속하고 싶지 않은 장에 진입하기 위해 싸워야 하는 위치에 놓이며, 일단 들어서면 가능한 한 오래 머물고자 합니다.

 

더 나아가, 장 내에는 다양한 자본 유형의 상호작용과 분포에 의해 형성된 사회적 위치와 권력 관계의 구조화된 시스템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이 위치들은 장 내에서 차지한 위치가 장 내 자원의 분배에 접근할 수 있거나 이를 부인하기 때문에 발전합니다. 장의 매개변수는 생물학적이며, 문지기의 영향은 생물의학적 본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생물학의 활용과 표현이 더 넓은 사회의 기존 자본 모드에 따라 권력을 생성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됨에서 기인합니다.

 

보르디외는 장에서 작동하는 네 가지 주요 형태의 자본(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상징적 자본)을 구별합니다. 이에 더해, 우리는 생물학적 매개변수를 가진 장 내 존재하는 사람들과 특히 관련된 Williams(1995)의 ‘신체 자본’ 개념을 활용합니다. 이 다섯 가지 자본 형태는 배튼병의 장에 진입함으로써 방해, 소모, 가치 하락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를 요약하면:

 


Bourdieu in Practice: Unpacking the Complexities of the Field of Batten Disease

We have argued elsewhere (Scambler and Newton 2010) that unpicking the complex web of interrelated experiences, choices and actions that occur require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encapsulates both the bounded, and yet transient and permeable, nature of the field itself as well as the power relations and extant positions that occur within it. The work of Bourdieu can be used to encapsulate the causal swamping of the lifeworld by the biological within the field of Batten disease, while acknowledging both capital flows and the array of roles and positions available within this social arena.

By envisaging Batten disease as a field with biologically determined parameters, we can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disease and all it entails imposes on agents who find themselves within it. The parameters of the field are temporal and temporary in that they are dependent on the changing and developing realms of biological and biomedical research into both the genetic makeup and mechanisms of the disease itself,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potential therapies for ‘treatment’ or care.

We chart the changing nature of behaviour exhibited by families on entering the field, occurring at the point of symptom onset. Following this, relational configurations in the field are largely arranged through how capital flows can represent and correspond to the impact of the biological. The exit point of the field is pressingly temporal – the irreversible progression towards death. The field is entered through the formal process of diagnosis, in which affected children receive the requisite label and families receive the legitimation of their place within the field.

Months or years of tests, indeterminate symptoms and misdiagnoses can lead to families lingering on the periphery of the field, sometimes for extended periods of time, while awaiting the legitimation required to enter the field and be formally recognised, and in the interim facing potential challenges to their right to even linger on the periphery. Parents find themselves in the position of fighting for entrance into a field to which they would rather not belong, but once entered, wish to remain in as long as possible.

Further to this, inherent within a field is a structured system of social positions and power relations formed by the interplay and distribution of various species of capital, which may cut across multiple fields. These positions develop because of the fact that positions occupied within the field afford or deny access to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within a field. The parameters of the field are biological. The gatekeepers’ influence is, thus, biomedical in nature, stemming from the utilis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biological to generate and maintain power in accordance with existing modes of capital in wider society.

As already outlined, Bourdieu distinguishes four key forms or species of capital that operate throughout fields: economic, cultural, social and symbolic. In addition, we draw on Williams’ (1995) concept of ‘physical capital’, which is of particular relevance to those existing within a field with biologically determined parameters. These five forms of capital are open to disruption, depletion and devaluation on entry into the field of Batten disease. To summarise:

  • Economic capital: In the field of Batten disease, economic capital can refer to the money available to families to adapt to and combat the disease, through personal wealth, benefits and state intervention. This economic capital is institutionalised through the health and welfare systems, and wider social patterning through employment, taxation, entitlement and so on. Empirical evidence suggests that the disease process impacts upon the ability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accumulate economic capital while requiring increasing economic capital outlay.

 

배튼병의 장에서의 자본 형태: 도전과 변화

  • 경제적 자본:
    • 배튼병의 장에서 경제적 자본은 가족이 질병에 적응하고 대처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돈을 의미합니다. 이는 개인의 재산, 복지 혜택 및 국가의 개입을 통해 나타납니다. 경제적 자본은 의료 및 복지 시스템, 고용, 과세, 권리 등 사회 전반의 구조화된 패턴을 통해 제도화됩니다. 실증적 증거에 따르면, 질병 과정은 장애를 가진 아동의 부모가 경제적 자본을 축적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동시에 점점 더 많은 경제적 자본 지출을 요구합니다.
  • 문화적 자본(Cultural Capital):
    • 배튼병의 장에 진입하면 기존의 문화적 자본과 새로운 자본을 축적할 능력은 생물의학적 전문 지식에 크게 의존하게 됩니다. 이전의 문화적 참조와 레퍼토리는 전문적이고 특화된 지식이 가장 적합한 지침으로 간주되는 장에서는 가치가 하락하거나, 탈가치화되거나, 단절될 수 있습니다. 부모는 질병의 발현에 매일 대응해야 할 뿐 아니라, 질병 과정에 관한 새로운 지식과 실천을 습득하는 능력을 개발해야 합니다.
    • 또한, 자본이 주로 생물의학적 능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부모들은 사회적 장 내 역할 배열에서 모순적이고 혼란스러운 위치를 부여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는 제공자, 양육자, 간병인, 대리 환자 등의 역할을 오가며, 각각의 사회적 네트워크 가장자리에서 관계와 관련된 제도적 자원을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 사회적 자본은 사회적 의무와 타인과의 관계의 질에 관련된 관계 속의 연계와 의무를 의미하며, 이는 경제적 자본으로 전환될 수도 있습니다. 사회적 자본은 가족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식적 및 비공식적 지원 네트워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전 지원 형태의 상실이나 반복되지 않는 지원은 이 자본 형태에 도전할 수 있습니다.
  • 상징적 자본(Symbolic Capital)
    • 부모의 권위 형태로 나타나는 상징적 자본은 배튼병의 장에서 생물학적으로 정당성을 부여받은 더 높은 수준의 상징적 자본을 가진 전문가들에 의해 도전받을 수 있습니다. 부모들은 생물의학적 의사결정, 실천 및 전문가적 지위를 대신할 새로운 유형의 상징적 자본을 축적하고 확장해야 합니다. 이는 부모가 ‘전문가 환자의 대리인’으로서 제한적이고 장 특정적인 새로운 형태의 자본, 즉 개인 자본(personal capital)을 획득할 수 있게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주로 다른 장으로 전환되지 않습니다.
  • 신체 자본(Physical Capital)
    • 부모의 신체 자본은 간병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고통의 영향을 견디는 데 중요합니다. 이 장에서 또 다른 관련된 신체 자본 형태는 대리 신체 자본(proxy physical capital)입니다. 이는 배튼병을 앓는 아동과 청소년의 삶에 대한 질병 과정의 영향, 즉 질병의 끊임없이 변화하는 결과와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헌신되는 물리적, 심리적, 시간적 자원을 의미합니다.

 

배튼병의 장에서 자본의 역학

 

배튼병의 장 내에서 힘의 구성은 생물학을 대표하고 그 영향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배치됩니다. 전문가들은 장 내에서 정당성을 부여받은 대리자, 자본의 보유자 및 관리자로 자리 잡습니다. 따라서 가족이 장에 진입하면 단순히 자본을 축적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 내 지배적인 자본 형태를 가진 사람들로부터 자신의 자본 자원이 정당성을 부여받도록 경쟁해야 합니다. 자본의 축적은 힘을 제공하지만, 자본은 작동할 장이 필요합니다.

 

결과적으로, 장 내 행위자의 주요 목표는 자신의 위치를 유지 및 개선하거나 위치의 평가 절하를 방지하는 것입니다. 이는 가족들이 자본을 얻고 그 자본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싸우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전문가들은 자신의 기존 위치와 권력을 위협하는 자본 유형의 정당화를 방지하려고 싸우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Baxter 1989, Case 2000 참고). 또한, 부모의 자본 축적물은 아동의 ‘개인’으로서의 이익을 대표한다고 주장하는 전문가들에 의해 이용되거나 무시될 수 있습니다.


Forms of Capital in the Field of Batten Disease: Challenges and Transformations

Cultural Capital
Cultural capital may be challenged on entering the field of Batten disease as both existing cultural capital reserves and the ability to build more capital hinge on biomedical expertise. Moreover, previous cultural referrals and repertoires become devalued, devalorised or disjunctive in an arena where expert, specialised knowledge is seen to be the most appropriate wayfarer, and where parents must be able to respond on a day-to-day basis to the manifestations of the illness, as well as develop the ability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practices around the disease process.
In addition, as capital is determined largely in a biomedical capacity, parents are frequently ascribed contradictory and confusing positions in the circumstantial role array of the social arena – flitting, for example, from provider to parent to carer to proxy patient, and having to manage relations and concomitant institutional resources (usually) in the margins of each social network impacting on existing social capital.

Social Capital
Social capital refers to affiliations and obligations in relations pertaining to social obligations and quality of relations with others, which may also be convertible to economic capital, and is institutionalised through social networks. This type of capital can be found in the formal and informal support networks available to and drawn on by families, and may be challenged by the loss or non-repetition of previous forms of support.

Symbolic Capital
Symbolic capital in the form of parental authority may be challenged by a multitude of professional experts with higher levels of biologically legitimated symbolic capital within the field of Batten disease. New avenues for collecting this type of capital are needed as parents develop and extend their parental authority into biomedical decision making, practice and potentially an altogether new status as an expert patient by proxy. This opens the door to a different, limited and field-specific form of capital, personal capital, into which, while allowing bounded entrance into the relations within the Batten disease field, these skills are predominantly non-transferable.

Physical Capital
Physical capital is only relevant to the parents in this argument in so much as it holds up to the strain of providing care (seen in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morbidity as discussed earlier). We suggest that another relevant form of physical capital in this field is the loss or challenge to physical capital by proxy, by the impact of the disease process on the lives of the children and young adults living with Batten disease, that is, the sheer amount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temporal impact, which is devoted to meet the everchanging ramifications and effects of the disease.

Dynamics of Capital in the Field of Batten Disease
In Batten disease the configuration of forces within the field are positioned in relation to representing biology and responding to its impact – with professionals being positioned as legitimate delegates, holders and keepers of capital within the field. Thus, for families entering the field they must compete not just to accrue capital but to have their capital resources legitimated by those who hold dominant forms of capital within the field. Although the accrual of capital yields power, capital requires a field in which to operate.
As such, primary aims of agents in the field are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their position (or prevention of its devaluation). This may lead to a position where families fight to gain capital and legitimation for that capital, and professionals fight to prevent legitimation of types of capital that threaten their pre-existing positions and power within the field (for examples, see Baxter 1989, Case 2000). Parental capital stores can also be co-opted or bypassed by professionals claiming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the child as an ‘individual’.

 

 

보르디외 이론의 마지막 구성 요소: 아비투스와 반성성

아비투스(Habitus)

 

아비투스는 장 내에서 취해진 행동이나 경험에 대한 반응과 관련됩니다. 부모들은 진단을 받음으로써 지금까지의 경험에 대한 일종의 관점을 얻게 되며, 잠시 동안 명확성을 느낄 수 있지만, 생물학적 요인의 '원인적 압도(causal swamping)'는 이전의 무지에서 오는 불확실성 대신, 더 많은 불확실성에 대한 확신을 남깁니다. 부모들은 새로운 장에 들어서며 기존의 아비투스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렴(convergence), 합류(confluence), 유용성(utility) 및 적응 가능성을 찾아야 합니다.

 

반성성(Reflexivity)

 

반성성은 그들이 겪은 경험의 맥락을 찾는 과정입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배튼병의 장은 가족들이 속한 사회적 세계를 변화시키고, 단순히 자본을 생산하는 능력을 일시적으로 파괴할 뿐 아니라, 더 일관된 장에서 축적된 자본을 공격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자본의 손실: 친구 지원 네트워크의 상실
  • 경제적·상징적 자본의 손실: 경력 중단이나 종료 및 그로 인한 지위 손실

결과적으로, 부모들은 필요한 자원이나 그것을 축적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미지의 장을 탐색해야 합니다. 이들은 이미 축적된 자본과 함께 장에 가져온 ‘획득된 지식(acquired knowledge, Layder 1994)’을 활용하여 장 내에서 효과적으로 행동하기 위해 필요한 자본을 이해하고, 그것을 축적하는 방법을 개발합니다.

 

반성성을 실행할 수 있는 부모들

 

반성성을 실행할 의지와 능력이 있는 부모들은 진단 시점 또는 그 이전부터 이러한 과정을 시작하며, 그들이 장을 경험하는 내내 이를 유지합니다. 이 과정은 자본과 관련된 협상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생물학의 침투(permeation)가 장 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가 명백해집니다.

 

생물학의 침투

 

생물학의 침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1. 장의 매개변수 결정 및 감독
  2. 부모들의 행동 가능성 통제: 돌봄, 지식, 의사결정 등 질병의 영향에 대한 반응 요구
  3. 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거래 통제: 무엇이 유효(valid)하고, 가치가 있으며(available), 접근 가능한지를 결정

보르디외 이론의 유용성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르디외 이론을 사용하는 것은 가족들이 경험하는 복잡성을 구조적, 실질적, 감정적 수준에서 포괄합니다. 또한, 가족들이 겪는 일상적인 경험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합니다(자세한 분석과 실증 데이터는 Scambler and Newton 2010, 2011 참조).


Final Components of Bourdieu’s Framework: Habitus and Reflexivity

Habitus
Habitus relates to actions taken or responses to experiences within the field. Diagnosis puts some perspective on experiences to date, providing a brief sense of clarity, but the ‘causal swamping’ of biology leaves them with a certainty of more uncertainty rather than their previous (uninformed) uncertainty. Parents are also impelled to examine their existing habitus to find convergence, confluence, utility and room for adaptation in light of entry to the new field.

Reflexivity
Reflexivity is a process of seeking a context for the content of their experiences. This is particularly relevant here as we present a field that changes the social world in which families find themselves and not only destroys, albeit temporarily, their capacity to produce capital but also assaults reserves built up in other more congruent fields. This can include:

  • Loss of social capital: through the loss of friendship support networks
  • Loss of economic and symbolic capital: through the curtailment or cessation of careers and the status they ascribe

Thus, parents have to find a way of negotiating an unknown field with little knowledge about the resources that are needed or how they might accumulate them. Parents use the ‘acquired knowledge’ (Layder 1994) that they have brought into the field to shape the ways in which they respond, drawing on the capital that they have already accumulated while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the capital that they are going to need in order to ‘act’ effectively within the field, and of how that capital might be accrued.

Parents Willing and Able to Exercise Reflexivity
For those willing and able to exercise reflexivity, this process started at or before the point of diagnosis and would carry them throughout their visit to the field. It is in the negotiation that takes place around capital that the permeation of the biological becomes apparent in this field.

The Permeation of Biology
The permeation of biology moves from:

  1. Determination and policing of the parameters of the field itself
  2. Control of their potential to act: requiring responses to its effects and ramifications through care, knowledge, decision making, and so forth
  3. Control of the transactions that take place within the field: determining what is valid, valorised, available, and so forth

Utility of Bourdieu’s Theory
Using Bourdieu’s theory in this way encapsulates the complexity of the experiences of these families at a structural, practical and emotional level and provides a framework through which the day-to-day experiences of the families can be understood and interpreted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is framework, illustrated with empirical data, see Scambler and Newton 2010, 2011).

 

 

결론

보르디외는 자신의 이론을 연구자들이 실증적 데이터를 탐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로 묘사하며, 개인의 경험을 맥락화하고, 개인의 행동과 구조를 통합하여 개인의 선택과 행동뿐만 아니라 이를 형성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요인을 탐구할 수 있는 실용적 틀로 제시합니다. 이 장에서는 보르디외의 틀이 건강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정교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논증합니다. 이는 의료 경험을 분석하거나(Behague et al., 2008), 건강과 약물의 협상을 탐구하거나(Lumme-Sandt and Virtanen, 2002), 만성 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일상을 추적하는(Scambler and Newton, 2010, 2011)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특정 장(field)을 정의할 수 있는 능력은 질병, 의료 환경 또는 건강이나 장애와 같은 포괄적인 범주를 통해, 장의 경계를 살펴보고 사람들이 장에 진입하거나 퇴출하는 메커니즘, 그리고 장 내 구조와 권력 관계가 사람들의 행동, 경험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게 합니다. 하나의 장에 초점을 맞추되, 우리가 일상적으로 활동하는 다수의 다른 장을 배제하지 않는 가능성은, 장의 구조가 자본의 흐름, 축적 및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진단을 받는 것이 개인의 자본 축적 또는 사용 능력에 영향을 미쳐 일상생활에 변화를 초래하는 방식에 주목할 수 있습니다.

 

보르디외가 제시한 자본 유형과 건강 간의 상관관계

 

의료사회학 연구에서 보르디외가 정의한 자본 유형들이 건강, 질병, 노화, 사회적 계급, 장애 등과 같은 영역에서 영향을 받는다는 많은 증거가 있습니다.

  •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비장애인 또래보다 평균적으로 더 낮은 소득을 얻습니다.
  • 만성 질환은 사회적 관계, 가족 관계, 직업 유지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 사회 계급은 의료 경험에 영향을 미칩니다.

명확히 정의된 장 내에서 자본 흐름을 탐구하는 것은 이러한 패턴을 문헌에서 맥락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새로운 방식으로 오래된 질문 탐구하기

 

이 틀은 기존의 질문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검토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 장애를 가지고 생활하는 것이 자본 축적, 거래 및 정당화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 이 영향 중 얼마나 많은 부분이 개인적인 경험(통증, 신체적 한계 또는 손상)에서 기인한 것인가?
  • 얼마나 많은 부분이 학습된 행동과 자신 및 타인의 기대(낮은 자존감, 의사소통 어려움, 제한된 기대)로 인해 발생한 것인가?
  • 얼마나 많은 부분이 장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발생한 것인가?

장 구조와 자본 흐름, 아비투스와 신체적 습성(bodily hexis)을 함께 분석하면, 이러한 질문들을 개별적이거나 이분법적으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적인 방식으로 탐구할 수 있습니다.

 

구조와 행위의 상호작용

 

보르디외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행동하지만, 그 선택은 사회화 과정에 의해 크게 형성된다고 제안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장 내 위치에 적합한 선택을 학습하게 됩니다. 이는 비도식적(non-doxic) 또는 낯선 장(예: 만성 질환이나 장애로 정의된 장)에 놓인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신체적 습성과 비규범적 신체

 

신체적 습성이 우리가 몸을 사용하는 방식과 관련된다면, 기능적으로나 미학적으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신체를 가진 사람들에게 어떤 함의가 있을까요? 이와 같은 다층적 분석은 의료사회학자와 장애 이론가가 동일한 틀 안에서 협력하면서도 학문적 접근 방식의 차이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보르디외 이론의 한계와 가능성

 

구조와 행위의 관계를 밝히는 순수 이론으로 보르디외의 작업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가 의도한 대로 실증적 데이터를 탐구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면, 오래된 논쟁과 논의를 새로운 방식으로 탐구할 수 있는 막대한 잠재력을 제공합니다.


Conclusions

Bourdieu describes his theory as a tool to help researchers to think about their empirical data, a practical framework through which individual experiences can be contextualised, incorporating individual action and structure in a way that allows us to explore both individual actions and choices and the structural factors that shape or influence these actions. In this chapter, I make the case that Bourdieu’s framework can offer us a sophisticated way of exploring the impact of health on daily life, whether through examining healthcare encounters (Behague et al., 2008), exploring the negotiation of health and medication (Lumme-Sandt and Virtanen, 2002), or charting the daily lives of people living with long-term conditions (Scambler and Newton, 2010, 2011).

The ability to define a specific field, whether it be a medical condition, a healthcare setting, or an overarching category such as health or disability, allows us to look at the boundaries of the field and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people enter or leave the field, as well as the impact of the structures and power relations within that field in relation to the actions, experiences, and daily lives of people within it. The possibility of focusing on one field without excluding the multiple other fields within which we act on a daily basis also enables us to look at the impact of the structure of a field on capital flows, accumulation, and legitimation. This is of interest where, for example, the receipt of a diagnosis impacts on an individual’s ability to accumulate or use capital, affecting daily life.

Correlation Between Capital Types and Health
There is plenty of evidence that the types of capital outlined by Bourdieu are affected by health, illness, old age, social class, disability, and many other areas of interest to medical sociologists.

  • Disabled people earn less, on average, than their non-disabled peers.
  • Some chronic conditions have been shown to affect social relations, family relations, and the ability to hold down a job.
  • Social class affects healthcare encounters.

An exploration of capital flows within and across clearly defined fields allows us to contextualise the patterns that have been apparent in the literature for many years.

Revisiting Old Questions in a New Way
This framework gives us the means to look at some old questions in a new way:

  • What is the impact of living with a disability on capital accumulation, transaction, and legitimation?
  • How much of this impact is due to personal experiences of disability (e.g., pain, physical limitations, or impairment)?
  • How much is due to learned behavior and expectations (e.g., low self-esteem, communication difficulties, or limited expectations)?
  • How much is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inherent within the field?

An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field and capital flows, along with habitus and bodily hexis, allows us to look at these questions symbiotically, not just individually or dichotomously.

Interplay of Structure and Agency
Bourdieu suggests that while we may act in ways that we choose, our choices are largely shaped by socialization. Thus, we learn to make choices that fit with our position in the field. Thi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eople who find themselves in a non-doxic or unfamiliar field, such as one defined by a long-term condition or a disability.

Bodily Hexis and Non-Normative Bodies
If bodily hexis relates to learned and accepted ways of carrying ourselves, what are the implications for people performing bodily hexis with bodies that do not fit the norms, whether functionally or aesthetically? A multi-level analysis of this type has the potential to allow medical sociologists and disability theorists to work together within the same framework without losing the thrust of the disciplinary differences in approach.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Bourdieu’s Theory
There are clearly limitations to Bourdieu’s work if seen as a pure theory that seek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 and agency. If, however, it is used as he intended, as a tool for the exploration of empirical data, there is huge potential for examining old arguments and debates in new 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