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체계 이론과 역학적 전환
마틴 하이드 & 앤서니 로지
서론
미국의 사회학자 이매뉴얼 월러스틴(1930~)은 세계 체계 이론 및 연구의 창립적 인물이다. 그는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정치 체계를 연구하며 1950년대 후반 서아프리카의 정치 체제에 관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에도 아프리카에 관한 연구를 지속했지만, 점차 아프리카가 더 넓은 세계적 맥락에서 어떻게 자리 잡고 있는지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문명과 자본주의를 분석한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1993; 2002a; 2002b; 2002c)의 연구는 월러스틴에게 세계 체계 수준에서의 분석과 역사적 데이터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가 필요하다는 확신을 심어주었다. 이는 그의 연구 방향에 대한 급격한 변화라기보다는, 단일한 세계 체계 내에서 삶이 어떻게 조직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1970년대까지 그가 수행한 연구를 맥락화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다. 그 이후로 그의 연구 성과는 광범위하고 방대하지만, 현대 세계 체계에 관한 세 권의 저서(1974년, 1980년, 1989년 출판)는 그의 가장 지속적인 학문적 유산으로 꼽힌다. 이 저서들은 15세기 후반부터 형성된 단일 자본주의 세계 체계의 부상을 설명하고 있으며, 월러스틴은 이를 통해 세계 체계가 기존의 세계 제국(world-empires)을 대체했음을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제국주의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 여전히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7 World systems theory and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Martin Hyde and Anthony Rosie
Introduction
The American sociologist Immanuel Wallerstein (1930–) is a founding figure in world-system theory and research. Educated at Columbia University he completed a PhD on political systems in West Africa in the late 1950s. While he continued to write about Africa thereafter his attention moved to how Africa fitted into a larger world picture. The work of the historian Fernand Braudel (1993; 2002a; 2002b; 2002c), whose major study included an analysis of civilisation and capitalism, convinced Wallerstein of the need for both an analysis at the world-system level and a deep engagement with historical data. Rather than marking a radical change of direction, the emerging analysis of how lives are organised under a single world-system sought to contextualise all that Wallerstein had undertaken to the 1970s. His output since has been extensive and wide-ranging. However, his three volumes on the modern world-system are perhaps the most enduring part of his legacy. Published in 1974, 1980 and 1989, they chart the rise of a single, capitalist world-system from the late fifteenth century onwards. Through this work he argued that world-systems had replaced world-empires. However, he was keen to stress that imperialism has not disappeared and that it remains relevant to the lives of many people around the globe.
월러스틴의 세계 체계 연구는 마르크스의 생산 방식 분석을 기반으로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마르크스주의 이론은 아니다. 그는 브로델의 문명 분석을 주요한 동력으로 삼았으며, 1979년 빙엄턴 대학에 설립한 연구소의 이름도 브로델을 기리기 위해 붙였다. 1974년 첫 번째 저서를 출판할 당시, 월러스틴은 근대화 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에 합류했다. 근대화 이론은 '저개발' 국가들이 서구 국가들의 성공적인 모델을 모방하면 발전할 수 있다는 관점을 기반으로 하지만, 1970년대에는 이러한 견해에 대한 의존 이론(Dependency Theory) 학자들의 비판이 점점 더 영향력을 얻고 있었다. 예를 들어, 브라질의 34대 대통령이 된 페르난도 카르도소와 안드레 귄더 프랑크 같은 학자들은 근대화 이론을 비판하며, 중심부(core) 국가들이 무역 및 생산 수단을 통해 주변부(periphery) 국가들을 통제한다고 주장했다.
Wallerstein’s research into world-systems drew on Marx’s analyses of production without being a Marxist theory. Braudel’s civilisational analyses provided a mainspring and the Centre Wallerstein went on to found at Binghampton in 1979 was named in honour of Braudel. By the time he published the first volume of the history in 1974, Wallerstein was joining others in a critique of modernisation theory, the idea that if only ‘less developed’ countries did certain things borrowed from successful Western nations then they could have a brighter future. By 1974 the critiques of modernisation by dependency theorists such as Andre Gunder Frank and Fernando Cardoso, later the thirty-fourth president of Brazil, were becoming well known. Dependency theory posits that metropoles, or core areas, exert control through trade and other practices on peripheral nations through both the means of production and the cost of commodities.
월러스틴이 이러한 분석에 기여한 중요한 점은 중간 주변부(semi-periphery)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중간 주변부는 중심부와 주변부 사이에서 중개자로 작용하며, 중심부는 중간 주변부 및 주변부를 직접적으로 통제하지만, 확장되는 분업 구조 속에서 중간 주변부가 주변부에 직접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중심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중심부 국가들 중 일부가 쇠퇴할 경우, 중간 주변부 국가 중 일부는 중심부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최근 20년 동안 중국과 인도의 부상은 이러한 구조적 이동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One contribution Wallerstein made to this analysis was to point to the role of the semi-periphery, which acts to keep the other two components in place. The core areas act directly on both semi-periphery and periphery, but the expanding division of labour draws largely on the ways in which regions in the semi-periphery act directly on the periphery while also supporting the core. Of course, if there is downward movement from countries in the core, there is always a potential upward mover from the semi-periphery. The rise of China and India in the last 20 years provides an example.
월러스틴은 다소 아쉬운 듯이 학생들이 그의 연구를 제대로 읽지 않고, 1974년 출판된 저널 논문만 읽는 경우가 많다고 언급한 바 있다. 물론 그 논문은 그의 핵심 논지를 요약하고 있지만, 세계 체계 속에서 특정 지역이 어떻게 통합되었는지를 이해하려면 적어도 그의 세 번째 저서를 읽어야 한다. 예를 들어, 서아프리카는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유럽 자본주의 체계에 포함되지 않은 외부 지역이었지만, 노예 무역을 통해 점차 주변부로 편입되었고, 이후 단일 세계 체계의 일부가 되었다. 월러스틴의 연구는 세계 체계 분석의 출발점이 되었으며, 전 세계 연구자들의 폭넓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페르낭 브로델 연구소에서 연구자들을 맞이하며 학문적 교류를 촉진했으며, 이후 세계 체계 연구 저널(Journal of World-Systems Research)이 출판됨으로써 학문적 지평이 확장되었다. 또한 그는 국제사회학협회(ISA)의 조직자로 활동하며, 세계 사회과학 연구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연구를 공유하는 데 힘썼다.
Wallerstein remarked somewhat ruefully that students often read only the journal article he published in 1974 alongside the first volume of the history of the world-system. Certainly, the journal article encapsulates the key arguments found across the three volumes, but a reader interested in how parts of the world were incorporated into the single world-system would need to read at least volume three of the history. Here, the reader will find how West Africa was an external zone to the rising European capitalist system from the sixteenth to the eighteenth centuries, and how it was first peripheralised through the slave trade before becoming part of the periphery in the ever-strengthening single world-system.
세계 체계 이론과 역학적 전환 이론
우리의 목표는 세계 체계 이론(World Systems Theory, WST)과 역학적 전환 이론(Epidemiological Transition Theory, ETT)을 연계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연계가 상호 유익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두 이론은 각각의 학문 분야에서 핵심적인 이론으로 자리 잡았으며, 방대한 연구와 논문을 생산해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두 이론을 결합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이는 다소 놀라운 일인데, 두 이론 모두 거시적 관점에서 역사적 접근 방식을 취하며, 근대화 이론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각의 이론이 갖지 못한 요소를 서로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비록 WST가 다학제적 성격을 가지며 다양한 주제를 포괄하고 있지만, 국가 간 불평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인구 건강, 특히 출산율과 사망률 패턴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따라서 우리는 세계 체계 이론 연구자들이 경제적, 정치적 요인과 함께 건강이 세계 체계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인식하도록 하고자 한다. 한편, ETT 역시 다양한 다학제적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으며, 건강사회학 및 사회역학(Social Epidemiology) 분야에서도 점점 중요한 개념이 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사회학 이론과 마찬가지로, ETT는 국가 중심적이며 방법론적으로 내셔널리즘적 접근 방식을 취한다. 심지어 국가 간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더라도, 국가들은 여전히 개별적인 분석 단위로 다루어지며 상호 연결된 전체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 WST는 본질적으로 이러한 접근 방식에 대한 중요한 수정점을 제공한다.
이 장에서 우리는 ETT가 인구 건강의 변화를 탐색하는 중요한 틀을 제공하지만, 국가 간 상호 연결성과 이들이 역학적 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함으로써 심각한 한계를 가진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우리의 핵심 주장은 비교적 단순하다. 즉, 국가들이 개별적으로 다양한 역학적 단계들을 거친다는 전통적인 관점과 달리, 인구 건강은 관계적(relational)이며, 이를 결정하는 요인들은 세계 체계의 일부라는 것이다. 우리는 무역과 사망률 패턴에 대한 거시적 데이터를 활용하고, 서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간략한 논평을 통해 이러한 개념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자 한다. 그러나 두 이론을 결합하기 전에, 각각의 주요 구성 요소와 비판점에 대해 먼저 설명할 필요가 있다.
World systems theory and epidemiological transition theory
Our aim in this chapter is to present an engagement between world systems theory (WST) and epidemiological transition theory (ETT). We believe that such an engagement has the potential to be mutually beneficial. Both are key theories in their field and have generated a vast amount of studies and reviews. However, there has been no previous attempt to bring them together. This is surprising as both theories share a similar, macro-level, historical approach and take modernisation theory as their point of departure. Moreover, each lacks what the other has to offer. Despite its interdisciplinary nature and the breadth of issues addressed by WST,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attention paid to population health, in particular fertility and mortality patterns, as a constituent part or expression of inequalities between states. Thus, we hope to be able to draw world systems theorists’ attention to the role that health might play, alongside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within a world system. ETT is also the focus of a host of varied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It has also become an increasingly key concept within the sociology of health and social epidemiology. However, like classic sociology in general, ETT suffers from a state-centric, methodologically nationalist approach. Even when cross-national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nation-states are still represented as discreet units for comparison rather than being seen as interconnected parts of a whole. By definition, a WST approach offers a crucial correction to this. This is the principal focus of our chapter. We wish to argue and to demonstrate that whilst the ETT offers an important framework to explore changes in the health of a population, it is severely hampered by its neglect of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states and the impact that they have on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Ultimately, our central argument is relatively simple. It is that, contrary to the classic view of national trajectories through different epidemiological phases, population health is relational, insofar as the factors that determine it are part of a world system. We aim to show this through a mixture of macro-level data on trade and mortality patterns and a few brief comments on how the ideas might apply to the region of West Africa. However, before we can bring these two theories together, it is necessary to describe their main components and criticisms for those who might be less familiar with either or both of them.
역학적 전환 이론
역학적 전환 이론(Epidemiological Transition Theory, ETT)은 처음 제안되었을 때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현재는 학계에서 광범위하게 인용되는 고전적인 이론이 되었다. 1971년 압델 옴란(Abdel Omran)이 발표한 원 논문은 현재까지 약 600회 이상 인용되었으며, 대부분 1990년대 이후의 연구에서 활용되었다. 다만, 이러한 인용 중 비교적 적은 수가 역학(Epidemiology) 저널에서 발견되었다(Weisz & Olszynko-Gryn, 2010).
옴란은 그의 기념비적인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역학적 전환 이론은 인구학자들의 개념을 반영하며, 전환 과정이 초래하는 인구학적, 생물학적, 사회학적, 경제적, 심리적 영향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개념적으로, 이 이론은 건강과 질병 패턴의 복합적인 변화를 연구하며, 이러한 패턴과 그 인구학적, 경제적, 사회학적 결정 요인 및 결과 간의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것이다."
(Omran, 1971: 510)
이 이론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와 지지를 받아왔다. 하퍼(Harper)와 아르멜라고스(Armelagos, 2010: 667)는 이 이론이 "연구 단위를 개별 환자가 아니라 인구 전체로 확장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이러한 변화는 인구생물학(Population Biology)이 인간 질병 생태학(Human Disease Ecology)에 미친 영향을 반영한 것이며, 이를 통해 질병을 임상적 관점이 아닌 보다 넓은 생물학적 및 사회적 맥락에서 고찰할 수 있게 되었다.
Epidemiological transition theory
Despite being largely overlooked when it was first proposed, Abdel Omran’s (1971) epidemiological transition theory (ETT) has become something of a citation classic. The original paper has been cited nearly 600 times, although most of these are from the 1990s onwards and relatively few are found in epidemiology journals (Weisz and Olszynko-Gryn 2010). In this seminal paper, Omran sought to set out:
"[A] theory of epidemiologic transition [that is] sensitive to the formulations of population theorists who have stressed the demographic, biologic, sociologic, economic and psychologic (sic) ramifications of transitional processes … Conceptually, the theory of epidemiologic transition focuses on the complex change in patterns of health and disease an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patterns and their demographic, economic and sociologic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mran 1971: 510)
This theory has generated a great deal of research and support from around the world. Harper and Armelagos (2010: 667) applaud it for its:
"Focus on the population as the unit of study rather than the individual. This modification represents an important change in perspective that resulted from the influence of population biology on human disease ecology. Using the population as the unit of study allows us to move beyond the clinical perspective in order to consider diseases in their broader biological and social context."
역학적 전환 이론에 대한 비판
이 이론은 여러 분야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우리는 이후에 이러한 비판들을 다루면서, 우리의 입장을 함께 제시할 것이다. 그러나 이 이론의 주요 약점 중 하나인 모호성(ambiguity)은 동시에 그것의 강점이 되기도 한다. 옴란은 전환이 발생한 시기와 그 원동력에 대해 명확하게 서술하지 않았으며, 다양한 이론과 학자들을 다소 절충적인 방식으로 차용하였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ETT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Weisz와 Olszynko-Gryn(2010: 287)은 이 이론이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미국 및 국제 보건 기관들이 인구 통제 정책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보다 광범위한 노력의 일부였다"**고 주장했다. 다른 연구자들은 이를 **"18세기 이후 산업화 국가에서 이루어진 보건 의료의 획기적인 발전을 설명하려는 시도"**로 보며, 특히 최대 기대수명을 산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Caselli et al., 2002).
이러한 다양한 해석에도 불구하고, 옴란의 연구는 현재 사회 간,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요 사망 원인의 차이를 설명하는 틀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감염병에서 만성 및 퇴행성 질환으로의 변화가 핵심적인 전환점으로 간주된다. 마켄바흐(Mackenbach, 1999: 329)는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역학적 전환 이론은 개념적으로 다소 모호하지만, 인구 집단에서의 질병과 사망률을 연구하는 강력한 틀을 제공하며, 특히 역사적 및 국제적 변동성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다."
이 장에서는 이러한 해석을 중심으로, WST와의 관계 속에서 ETT를 평가할 것이다.
Criticism of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Theory
It has also attracted criticism from a number of quarters. We will address these later along with our own. However, one of the main weaknesses of the theory, its ambiguity, is also its strength. Omran’s often frustrating lack of precision about dates and the drivers of the transitions, and his rather eclectic use of theories and theorists, means that the ETT is open to multiple readings.
Weisz and Olszynko-Gryn (2010: 287) argue that it was "part of a broader effort to reorient American and international health institutions towards the pervasive population control agenda of the 1960s and 1970s." Others see it as an attempt to account for the "extraordinary advances in health care made in industrialized countries since the 18th century", and focused on calculating maximum life expectancy (Caselli et al., 2002).
Notwithstanding these interpretations, Omran’s work is now probably best known and employed as a way to explain the differences in the main causes of death, notably in the shift away from infectious diseases to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between societies and over time. Mackenbach (1999: 329) observes that, despite its conceptual ambiguity,
"[T]he epidemiologic transition theory provides a potentially powerful framework for the study of disease and mortality in populations, especially for the study of historical and international variations."
It is this interpretation and the focus on the main causes of mortality that we will be using to assess the ETT in relation to the WST.
옴란이 제시한 역학적 전환 이론의 다섯 가지 명제
옴란은 역학적 전환 이론을 뒷받침하는 다섯 가지 주요 명제를 제시했다.
- "역학적 전환 이론은 인구 역학에서 사망률(mortality)이 근본적인 요소라는 주요 전제로부터 시작한다." (Omran, 1971: 511)
- "전환 과정에서 사망률과 질병 패턴에 장기적인 변화가 일어나며, 감염병 대유행이 점차 퇴행성 질환 및 인간이 초래한(man-made) 질환으로 대체된다." (Omran, 1971: 516)
- "역학적 전환 과정에서 건강과 질병 패턴의 가장 극적인 변화는 어린이와 젊은 여성 사이에서 나타난다." (Omran, 1971: 521)
- "역학적 전환을 특징짓는 건강 및 질병 패턴의 변화는 근대화 복합체(modernization complex)를 구성하는 인구 및 사회경제적 전환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Omran, 1971: 527)
- "인구 변화의 패턴, 속도, 결정 요인 및 결과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변이는 역학적 전환의 세 가지 기본 모델을 구분한다: 고전적 또는 서구형 모델, 가속화된 모델, 그리고 현대적 또는 지연된 모델." (Omran, 1971: 532)
결론적으로, 옴란은 사회가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주요 사망 원인이 감염병에서 만성 및 퇴행성 질환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기대수명이 증가하며 출산율이 감소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건강과 질병의 역학적 전환은 인구 및 사회경제적 전환과 밀접하게 연결되며, 생활 방식과 근대화 과정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 이에 따라, 각 시대는 특정한 사망률 패턴을 가지며, 기대수명과 주요 사망 원인을 기준으로 인간 역사의 시대 구분(periodization)을 설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Omran’s Five Propositions Underpinning the ETT
Omran set out five propositions that underpin the ETT:
- "The theory of epidemiologic transition begins with the major premise that mortality is a fundamental factor in population dynamics." (Omran, 1971: 511)
- "During the transition, a long-term shift occurs in mortality and disease patterns whereby pandemics of infection are gradually displaced by degenerative and man-made diseases as the chief forms of morbidity and primary cause of death." (Omran, 1971: 516)
- "During the epidemiologic transition, the most profound changes in health and disease patterns obtain among children and young women." (Omran, 1971: 521)
- "The shifts in health and disease patterns that characterize the epidemiologic transition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transition that constitute the modernization complex." (Omran, 1971: 527)
- "Peculiar variations in the pattern, the pace, the determinants, and the consequences of population change differentiate three basic models of the epidemiologic transition: the classical or Western model, the accelerated model, and the contemporary or delayed model." (Omran, 1971: 532)
In sum, he argues that as societies pass through successive stages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the main causes of mortality shift from infectious to chronic and degenerative diseases, which results in an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nd a decrease in fertility.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in health and diseases is therefore closely associated with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transition, and with changes in lifestyle and modernization. As such, periods of human history ought to have a distinct mortality profile, and in turn, one ought to be able to construct a periodization of human history based on differing life expectancies and main causes of death.
역학적 전환의 세 단계
옴란은 역학적 전환 과정에서 세 가지 연속적인 단계를 식별했다. 표 7.1은 각 단계의 주요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역학적 특성을 개괄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역병과 기근의 시대(The Age of Pestilence and Famine)’**이다. 옴란은 이 시기를 사망률과 출산율이 모두 높고 변동성이 크며, 감염병이 주요 사망 원인인 시기로 규정했다. 초기 인간 사회는 다양한 치명적인 병원체,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었다.
예를 들어, **말라리아(malaria), 요충(pinworms), 몸니(body lice)**와 같은 일부 기생충 및 감염병은 영장류 조상으로부터 유전되었으며 인간과 함께 진화해왔다(Armelagos et al., 2005). 옴란은 이 시기가 정확히 언제 시작되었는지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자들은 신석기 혁명(Neolithic Revolution)이 인간이 경험하는 감염병의 종류와 영향을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다고 주장한다(Caspari & Lee, 2004; 2006; Hill et al., 2007; Harper & Armelagos, 2010).
동물의 가축화(domestication of animals)와 농업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 사회는 점점 더 밀집된 정착지를 형성하게 되었다.
"주요 식량 생산(농업)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면서 질병 발생률과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농경 정착 생활(sedentism)은 인간 배설물과 접촉을 통해 기생충 질병을 확산시켰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동물의 가축화는 질병 매개체(vectors)의 지속적인 공급원이 되었으며, 인수공통감염병(zoonotic diseases)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켰다. 염소, 양, 소, 돼지, 가금류와 같은 가축뿐만 아니라 쥐, 참새와 같은 원치 않는 동물들도 질병 확산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다."
(Armelagos et al., 1996: 2–3)
피츠패트릭(Fitzpatrick, 2008)은 이 시기에 주요 사망 원인이 된 네 가지 유형의 질병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 공기 매개 감염병(Airborne diseases): 결핵(TB), 인플루엔자(Influenza)
- 수인성 감염병(Waterborne diseases): 콜레라(Cholera), 람블편모충증(Giardia), 장티푸스(Typhoid), 보툴리누스 중독(Botulism)
- 식품 매개 감염병(Food-borne diseases): 이질(Dysentery)
- 매개체 감염병(Vector-borne diseases): 흑사병(Black Death)
아이러니하게도, 농업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기근(Famine)은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였다.
Three Successive Stages of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He identifies three successive stages of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Table 7.1 outlines the main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se phases.
The first is ‘The Age of Pestilence and Famine.’ Omran characterizes this period as one with high, fluctuating mortality (and fertility) rates, where infectious diseases are responsible for the majority of deaths. Early human societies were exposed to a battery of lethal pathogens, viruses, and bacteria.
Some of these, such as malaria, pinworms, and body lice, were inherited from primate ancestors and have evolved with us (Armelagos et al., 2005). Although Omran is rather vague about when this period starts, a number of writers argue that the Neolithic Revolution brought an explosion in the number, range, and impact of infectious diseases encountered by humans (Caspari & Lee, 2004; 2006; Hill et al., 2007; Harper & Armelagos, 2010).
With the domestication of animals and the development of farming technology, human society became increasingly concentrated in larger settlements.
"The reliance on primary food production (agriculture) increased the incidence and the impact of disease. Sedentism, an important feature of agricultural adaptation, conceivably increased parasitic disease spread by contact with human waste … The domestication of animals provided a steady supply of vectors and greater exposure to zoonotic diseases. The zoonotic infections most likely increased because of domesticated animals, such as goats, sheep, cattle, pigs, and fowl, as well as the unwanted domestic animals such as rodents and sparrows."
(Armelagos et al., 1996: 2–3)
Fitzpatrick (2008) identifies four types of diseases that were responsible for the major causes of death during this period:
- Airborne diseases: TB, Influenza
- Waterborne diseases: Cholera, Giardia, Typhoid, Botulism
- Food-borne diseases: Dysentery
- Vector-borne diseases: Black Death
Ironically, given improvements in farming, famine was also a main cause of death during this period.
역학적 전환의 두 번째 단계: ‘퇴조하는 전염병의 시대(The Age of Receding Pandemics)’
옴란이 정의한 두 번째 단계는 **‘퇴조하는 전염병의 시대(The Age of Receding Pandemics)’**이다. 이 시기에는 감염병이 점차 줄어들고 비감염성 질환(non-communicable diseases, NCDs)이 주요 사망 원인이 되는 전환 과정이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사망률이 감소하고, 인구 증가 속도가 가속화되며, 기대수명이 상승하고 안정화된다.
옴란은 이 단계의 역사적 시기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지만, 그는 이를 초기(early)와 후기(late) 두 시기로 나누었다.
- 초기 단계는 18세기 **영국과 유럽에서 일어난 농업 혁명(Agricultural Revolution)**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Overton, 2002). 이 시기에는 **씨앗 파종기(seed drill)와 철제 쟁기(iron plough)**와 같은 새로운 농업 기술이 도입되면서 식량 생산량과 품질이 증가했다.
- 후기 단계는 (제1차) 산업 혁명(Industrial Revolution)의 초기 단계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 이 시기에는 **소규모 공장 생산, 가내수공업(cottage industries), 외주 생산(putting-out system)**이 발전했으며, 방적기(spinning jenny)와 같은 여러 기술적 혁신이 등장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기대수명과 인구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했지만, 결핵(TB)과 같은 감염병은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이었다. 그러나 이 시점부터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s)이 부유층 사이에서 점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The Second Stage: The Age of Receding Pandemics
Omran’s second stage is ‘The Age of Receding Pandemics.’ As the name suggests, during this phase, infectious diseases steadily give way to non-communicable diseases as the main cause of death. Consequently, mortality rates decline and population growth accelerates. Life expectancy also increases and becomes more stable.
Again, Omran is rather vague on the historical periodization of this transition. However, he does divide this stage into its early and late phases.
- The early phase could well describe the Agricultural Revolution in Britain and Europe in the 1700s, which saw the introduction of new farming methods and technologies, such as the seed-drill and iron plough (Overton, 2002). This led to an increase in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food available.
- The later phase appears to correspond to the early stages of the (first) Industrial Revolution. This saw the growth of small-scale factory production, in cottage industries and the putting-out system, driven by a number of technological advances such as the spinning jenny.
Life expectancy and populations continued to increase. However, infectious diseases, like TB, remained major killers. But now, cardiovascular diseases became more prominent, especially amongst the richer sections of society.
역학적 전환의 세 번째 단계: ‘퇴행성 및 인간이 초래한 질병의 시대(The Age of Degenerative and Man-Made Diseases)’
옴란이 정의한 마지막 단계는 **‘퇴행성 및 인간이 초래한 질병의 시대(The Age of Degenerative and Man-Made Diseases)’**이다. 이 단계에서는 감염병이 거의 완전히 사라지고, 대신 만성 질환(예: 심혈관 질환) 및 생활 습관 관련 질병(예: 알코올 중독)이 주요 사망 원인이 된다.
이로 인해 사망률과 출산율이 감소하고 일정한 수준에서 안정되며, 인구 증가율이 급격히 둔화된다. 옴란은 이 단계에 대해서 가장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1880년대 이후 여러 국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제시하며 이를 뒷받침했다.
옴란은 이러한 전환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고도 자본주의(advanced capitalism)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본다. 그는 이 단계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특징으로 생산 과정의 점점 더 기술화된 성격과 서비스업(tertiary sector)의 성장을 꼽았다. 옴란의 모델에 따르면, 이러한 변화는 물질적 생활 수준의 향상과 성별 평등의 확대를 동반한다.
표 7.1을 보면, ETT는 사회경제적 변화와 특정 사회에서의 주요 사망 원인 사이에 명확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옴란이 사회경제적 변화가 역학적 변화를 주도한다고 주장했다는 것이다. 그의 네 번째 명제와 일치하게,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과학의 발전과는 무관하게, 흑사병과 다른 많은 팬데믹이 유럽에서 감소한 것은 생태학적 및 사회경제적 요인 때문이었다. 19세기 동안 유럽과 대부분의 서구 국가에서 사망률이 감소한 것은, 역학적 전환의 고전적 모델이 설명하는 것처럼, 주로 생태생물학적(ecobiologic) 및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었다."
(Omran, 1971: 520)
이는 ETT가 기술적 결정론(technological determinism)이나 인구학적 결정론(demographic determinism)과 차별화되는 중요한 특징이며, 동시에 사회경제적 변화의 속도와 본질에 대한 다양한 사회학적 질문을 불러일으킨다.
The Final Stage: The Age of Degenerative and Man-Made Diseases
Omran’s final stage is ‘The Age of Degenerative and Man-Made Diseases.’ Following the transition to this phase,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all but eliminated as causes of death. In their place, chronic diseases, such as CVD, and lifestyle illnesses, such as alcoholism, have become the major causes of mortality.
As a result, mortality and fertility rates decline and then level off, and population growth slows dramatically. This is the stage about which Omran is the most clear. He suggests that these changes began around the middle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gives data from a number of countries from the late 1880s onwards to illustrate his argument.
The socio-economic correlates of this transition are clearly linked to advanced forms of capitalism. He identifies the increasingly technological nature of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growth of the tertiary sector as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is stage. According to his model, these bring with them improvements in material living standards and greater gender equality.
From Table 7.1, one can see that in the ETT there is a clear connection between socio-economic change and the main causes of death in any given society. However, and this is key for our argument, Omran argues that, although the relationship is complex, it is socio-economic change that drives epidemiological change. In line with his fourth proposition, he argues that
"It is relatively certain that, with the possible exception of smallpox, the recession of plague and many other pandemics in Europe was in no way related to the progress of science … The reduction of mortality in Europe and most western countries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as described by the classical model of the epidemiologic transition, was determined primarily through ecobiologic and socioeconomic factors."
(Omran, 1971: 520)
This is a crucial aspect of ETT and separates it from other, more demographically or technologically determinist, approaches. However, it also invites a host of sociological questions about the nature and pace of these socio-economic changes.
역학적 전환의 세 가지 모델
옴란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변화의 속도를 설명하기 위해 역학적 전환의 세 가지 모델을 제시했다.
- 고전적 또는 서구형 모델(Classical or Western Model)
- 가속화된 모델(Accelerated Model)
- 현대적 또는 지연된 모델(Contemporary or Delayed Model)
표 7.1에서 볼 수 있듯이, 옴란이 가장 자세히 설명한 모델은 서구형 모델로, 국가들이 여러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전형적인 경로를 따른다. 미국과 영국과 같은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긴 1단계와 2단계를 거쳤으며, 3단계로의 진입이 비교적 이른 시점에 이루어졌다.
이미 언급했듯이, 이러한 단계들은 근대화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되며, 특히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이전 시기에 주요한 사망 원인이 되었던 질병들이 대부분 사라졌다. 이러한 주장은 새로운 개념은 아니었으며, McKeown(1976) 및 McKeown et al.(1972)은 산업화 이후 생활 수준의 향상, 위생 환경 개선, 식생활 변화가 인구 건강에 미친 영향을 연구하며 비슷한 결론을 내린 바 있다.
**가속화된 모델(Accelerated Model)**에서는 국가들이 동일한 단계를 거치지만, 퇴조하는 전염병의 시대에서 퇴행성 질병의 시대로의 전환이 매우 짧은 기간 내에 이루어진다. 일본은 이러한 가속화된 모델의 대표적인 사례로 제시된다. 그러나 옴란은 이 과정이 왜 이렇게 빠르게 진행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다소 모호한 입장을 보였다.
Weisz & Olszynko-Gryn(2010)의 논의와 일맥상통하게, 그는 사망 원인의 변화보다는 출산율 감소(fertility decline)에 더 초점을 맞추었다.
"20세기 동안의 사망률 감소는 위생과 의학의 발전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사회적 개선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러한 국가들에서는 국가적 및 개인적 차원에서 인구 증가율을 통제하려는 강한 동기가 존재했으며, 이로 인해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출산율을 낮추는 강력한 동력이 형성되었다."
(Omran, 1971: 535)
Three Models of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Omran addresses these in his fifth proposition by positing three models of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 The Classical or Western Model
- The Accelerated Model
- The Contemporary or Delayed Model
Clearly, the model that he describes in some detail in Table 7.1 represents a classic trajectory through the various stages. Countries like the US and the UK are held up as examples of this model, with a relatively long first and second stage and the early onset of the third stage of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As the name suggests, in the Accelerated Model, a country passes through the same stages, but the transition from the Age of Receding Pandemics to the Age of Degenerative Diseases takes place in a much more concentrated time period. Japan is portrayed as an example of the Accelerated Model. However, he is rather vague about why this transition was so rapid in these countries.
"The drop in mortality in the twentieth century, which was determined by sanitary and medical advances as well as by general social improvements. In these countries, national and individual aspirations favored a controlled rate of population increase and provided the intense motivation needed to lower fertility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Omran, 1971: 535)
마침내, 지연된 모델은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 비교적 최근에 시작되었지만 아직 완료되지 않은 전환’을 설명한다. 이러한 국가들은 사망률 감소를 경험하기 시작했지만 출산율은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다. Omran은 고전적인 모델과는 달리, 공중보건과 ‘수입된, 국제적으로 후원된 의료 패키지들’이 사망률 감소의 주된 요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Omran은 이러한 국가들에서 역학적 전환이 지연된 이유에 대해서는 별다른 설명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Omran이 이 전환의 속도와 성격에서 나타나는 국제적인 차이를 간과했다고 비난받을 수는 없지만, 특정 국가들이 고전적인 모델과 다른 경로를 따르는 이유와, 그중 일부 국가들은 서구를 따라잡을 수 있는 반면 다른 국가들은 지연된 경로를 보이는 이유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그의 이론의 심각한 약점이며, 이론이 전 세계적으로 예방 가능한 사망률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완전히 발휘하지 못하게 만든다.
Finally the delayed model ‘describes the relatively recent and yet-to-be-completed transition of most developing countries’. These countries have begun to experience declines in mortality but fertility rates remain high. He argues that contrary to the classical model, public health and ‘imported, internationally sponsored medical package[s]’ have been chiefly responsible for the fall in mortality rates. Again, however, Omran is quiet about why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in these countries has been delayed. Therefore, although Omran cannot be accused of ignoring international variations in the pace and nature of this transition, he does not give an adequate explanation as to why certain countries depart from the classical model and why, amongst that group, some are able to ‘catch up’ with the West while others have a delayed trajectory. This is a serious weakness in his theory and prevents it from achieving its potential to help reduce the amount of preventable deaths around the world.
경험적으로 역학적 전환 이론(ETT)은 영국(Mooney 2007)과 프랑스(Coste et al. 2006)의 역사적 데이터뿐만 아니라 유럽(Spijker and Llorens 2009), 아시아(Joshi et al. 2006; Ahsan Karar et al. 2009; Chan et al. 2009; Manderson and Naemiratch 2010), 라틴아메리카(Young 1994; Albala et al. 2002; Fraser 2006) 및 전반적인 개발도상국(Shen and Williamson 2001; Salomon and Murray 2002; Shandra et al. 2004; Houweling et al. 2005; Miranda et al. 2008; Stuckler 2008; Gaziano 2010; Gaziano et al. 2010; Gersh et al. 2010; Lloyd-Sherlock 2010)의 최근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된다.
Empirically ETT is supported by a range of historical data from the UK (Mooney 2007) and France (Coste et al. 2006) as well as more recent data from countries in Europe (Spijker and Llorens 2009), Asia (Joshi et al. 2006; Ahsan Karar et al. 2009; Chan et al. 2009; Manderson and Naemiratch 2010), Latin America (Young 1994; Albala et al. 2002; Fraser 2006) and the developing world more generally (Shen and Williamson 2001; Salomon and Murray 2002; Shandra et al. 2004; Houweling et al. 2005; Miranda et al. 2008; Stuckler 2008; Gaziano 2010; Gaziano et al. 2010; Gersh et al. 2010; Lloyd-Sherlock 2010).
그러나 Omran의 이론은 많은 비판도 받고 있다. 그는 선진국에서 감염성 질병 감소의 속도와 범위를 과대평가했다는 지적을 받았다(Condrau and Worboys 2007; Lussier et al. 2008). 또 다른 형태의 비판은 ETT의 기본 전제를 지지하면서도 새로운 단계를 제안하여 Omran의 분류 체계를 수정하거나 확장하려는 시도에서 나온 것이다. 역학적 전환의 네 번째 단계에 대한 여러 가지 경쟁적인 견해가 존재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Omran의 원래 예측과 달리 기대수명이 정체되지 않고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많은 선진 산업국에서 ‘지연된 퇴행성 질환(delayed degenerative disease)’ 단계로 접어들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Olshansky and Ault 1986; Rogers and Hackenberg 1987). 반면, 다른 연구자들은 네 번째 단계가 감염성 질병의 지속 또는 재출현과 만성 질환이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며, 이는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이중 질병 부담(double burden of disease)’을 초래한다고 주장한다(Armelagos et al. 1996; Caselli et al. 2002; Greger 2007; Hill et al. 2007; Stevens et al. 2008; Stratton et al. 2008; Huicho et al. 2009).
However Omran has also attracted a good deal of criticism. It has been argued that he overstated the pace and extent of the decline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developed world (Condrau and Worboys 2007; Lussier et al. 2008). There is another family of critiques that, whilst generally supportive of the basic premise of the ETT, has sought to adapt or extend Omran’s taxonomy by proposing new stages. There are a number of competitors for a fourth stage of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Some have argued that contrary to Omran’s original prediction life expectancy has not levelled off but has continued to fall, heralding a new stage of ‘delayed degenerative disease’ in many of the advanced industrial countries (Olshansky and Ault 1986; Rogers and Hackenberg 1987). Alternatively a number of writers have argued that the fourth stage is characterised by the persistence or even re-emergence of infectious diseases alongside chronic illnesses, which has resulted in a ‘double burden’ of disease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Armelagos et al. 1996; Caselli et al. 2002; Greger 2007; Hill et al. 2007; Stevens et al. 2008; Stratton et al. 2008; Huicho et al. 2009).
이러한 관찰들은 중요하며 ETT의 개선에 기여했지만, 여전히 원래 모델의 특징인 방법론적 민족주의적 초점을 공유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미 언급했듯이, Omran은 역학적 전환 이론을 근대화 이론과 명확히 연결시킨다. 그러나 Shen과 Williamson(2001: 258)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근대화/자유무역 이론은 서구 산업국들의 역사적 발전을 기반으로 처음 형성되었으나, 오늘날 이를 덜 개발된 국가들에 일반화하려는 시도에 대해 많은 이론가들이 비판적이다. 일부 비판자들은 근대화/자유무역 이론이 현재 제3세계의 현실을 설명하는 데도, 그 미래 경로를 해석하는 데도 실패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사회 내 불평등, 특히 성별 불평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으며, 세계 경제에서 중심 국가와 비중심 국가 간의 구조적 관계에도 적절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Whilst these observations are important and have helped to improve the ETT, they too suffer from the same methodologically nationalist focus that characterises the original model. As has already been noted Omran explicitly weds his theory of epidemiological transition to modernisation theory. But, as Shen and Williamson (2001: 258) argue:
“Modernization/free trade theory was originally formulated on the basis of historical developments in Western industrial countries, but many theorists have been critical of efforts to generalize this perspective to the [less developed countries] today. Some critics claim that modernization/free trade theory fails both to describe the current Third World reality or to interpret its future path … it does not give adequate attention to inequality within societies, including gender inequality or to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he core and non-core countries in the world economy.”
세계체제이론(WST)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접근법은 두 가지 주요한 오류를 포함하고 있다. 첫째, 서구에서 일어난 일이 필연적으로 모든 다른 국가에서도 일어날 것이라는 가정이다. 둘째, 각 국가는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 행위자라는 가정이다. WST의 핵심 주장은 개발도상국이 단순히 선진국의 과거 버전이 아니라는 점이다. 왜냐하면 개별 국가를 서로 분리된 단위로 보고 선형적인 발전 경로를 따른다고 가정하는 대신, 국가들은 상호 연결된 전체의 일부를 형성하며, 그들의 발전 또는 저발전은 이 시스템 내에서의 위치와 깊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WST 접근법은 ETT의 국가 중심주의를 수정하고 두 가지 중요한 연구 분야를 열어준다. 첫째, 과거와 현재에 감염병이 어떻게 국가 간에 전파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둘째, 세계체제의 역학이 사회가 역학적 전환의 여러 단계를 거치는 데 필요한 사회경제적 조건을 달성하는 것을 어떻게 방해하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From a WST perspective such an approach makes two key, and erroneous, assumptions. First, that what happened in the West will inevitably happen in every other country. Second, that each nation is an independent actor free from interference. A key argument from WST is that countries in the developing world are not simply earlier versions of countries in the developed world. This is because instead of seeing individual countries as separate units, each following a linear trajectory, states form part of an interconnected whole. They are parts of a system and their development, or under-development, is deeply connected to their place in this system. Therefore a WST approach allows us to correct the state-centrism of the ETT and opens up two key areas of research. First how, today and in the past, infectious diseases might be transmitted between states. Second how world-system dynamics prevent societies from achieving socio-economic conditions necessary to pass through the successive epidemiological transitions.
세계체제이론
세계체제는 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구조와 구성원 집단, 정당성을 부여하는 규칙, 그리고 일관성을 갖춘 사회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서로 갈등하는 힘들로 인해 긴장 속에서 유지되기도 하고, 각 집단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끊임없이 시스템을 재편하려 하면서 분열되기도 한다. 하나의 유기체처럼, 세계체제는 일정한 수명을 가지며, 그 특성이 일부는 변화하고 일부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 이 시스템 안에서의 삶은 대체로 자체적으로 유지되며, 그 발전의 동력도 주로 내부에서 기인한다.
(Wallerstein 1974: 347)
World systems theory
At its base a world-system is a social system, one that has boundaries, structures, member groups, rules of legitimation, and coherence. Its life is made up of the conflicting forces which hold it together by tension and tear it apart as each group seeks eternally to remould it to its advantage.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sm, in that it has a lifespan over which its characteristics change in some respects and remain stable in others … Life within it is largely self-contained, and the dynamics of its development are largely internal.
(Wallerstein 1974: 347)
Immanuel Wallerstein은 세계체제를 단순히 하나의 세계가 아니라, 특정 지역 내에서 존재하는 시스템으로 정의한다. 세계체제 분석에 따르면, 우리가 작동하는 사회적 현실의 단위들은 대부분 그러한 세계체제이며, 그 체제의 규칙이 우리의 행동을 제약한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한때 존재했던 소규모 미니 시스템을 제외하면) 현재까지 존재해 온 세계체제는 두 가지 유형뿐이다: 세계경제와 세계제국이다.
- 세계제국(예: 로마 제국, 한나라 중국)은 단일 정치 중심과 축을 이루는 분업 구조를 갖춘 거대한 관료적 구조지만, 다양한 문화를 포함하고 있다. 반면
- 세계경제는 여러 개의 정치적 중심과 다양한 문화를 가진, 축을 중심으로 한 거대한 분업 체계를 가진다.
(Wallerstein 2004: 98)
Immanuel Wallerstein defines the world-system
Immanuel Wallerstein defines the world-system as a system that is a world and which can be, most often has been, located in an area less than the entire globe. World-systems analysis argues that the units of social reality within which we operate, whose rules constrain us, are for the most part such world-systems (other than the now extinct, small mini-systems that once existed on the earth). World-system analysis argues that there have been thus far only two varieties of world-systems: world-economies and world-empires. A world-empire (examples, the Roman Empire, Han China) are large bureaucratic structures with a single political center and an axial division of labor, but multiple cultures. A world-economy is a large axial division of labor with multiple political centers and multiple cultures.
(Wallerstein 2004: 98)
Wallerstein에게 있어 자본주의 세계경제로의 전환은 결정적인 변화를 의미했다. 그는 자본주의 세계체제가 유럽 중심적으로 형성되었으며, 주변부 지역이 핵심 시장을 위한 노동력 제공원으로 자리 잡게 되는 과정이 필연적이었다고 보았다. Wallerstein의 연구는 근대화 이론 및 당시 유행하던 개발 이론과 결별을 선언한 것이었다. 당시 개발 이론은 '가난한' 제3세계 국가들이 미국과 유럽의 방식을 채택하면 성공적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미국과 유럽과 유사한 질병 구조도 가지게 될 것이라는 전제를 깔고 있었다. 그러나 Wallerstein은 이러한 근대화 이론의 전제가 부적절하다는 점을 보여주었으며, 종속이론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세계의 불평등과 이로 인한 질병 문제의 많은 부분이 구조적인 문제임을 강조했다.
For Wallerstein the movement to a capitalist world economy
For Wallerstein the movement to a capitalist world economy was a crucial transition. He saw the emergence of the capitalist world-system as Eurocentric, with the inevitable positioning of peripheral areas as sources of labour power in the production of commodities for core markets. Wallerstein’s work made a break with modernisation theory and many of the principles of the then fashionable development theory. The latter was really premised on the notion that ‘poor’, ‘third world’ countries could develop successfully if they adopted US and European approaches, and presumably also adopt a US and European disease profile. Wallerstein demonstrates the inadequacy of the modernisation premises, and in common with dependency theorists and many others showed that much of the inequality in the world and the consequent issues for disease is structural.
이러한 전환으로 인해 세계는 세 개의 영역 또는 지역으로 나뉘게 되었다. 핵심부(core), 반주변부(semi-periphery), 그리고 주변부(periphery)이다. 이 체계에서 핵심부 국가들은 산업화된 선진 경제 국가들이며, 주변부 국가들은 ‘저개발국’으로 원자재 수출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를 가진다. 세계체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변부에서 핵심부로 자원이 재배분되는 메커니즘을 따른다. 이러한 구분은 이상적 유형(ideal types)으로 볼 수 있지만, 핵심부 국가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이들 국가는:
- 가장 경제적으로 다양하고 부유하며 강력한 국가들이다.
- 강한 중앙정부와 국가 기관을 보유하며, 충분한 세금을 통해 강한 경제를 지탱하는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
- 고도로 산업화되어 있으며, 원자재 수출보다는 제조업 기반 경제를 가지고 있다.
- 점점 더 정보, 금융, 서비스 산업에 특화되고 있다.
-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산업을 선도한다.
- 강한 부르주아 계급과 조직된 노동 계급을 가지고 있다.
- (반)주변부 국가들에 대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외부의 통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With this transition the world was effectively split
With this transition the world was effectively split into three zones or regions. These were the core, semi-periphery and periphery. In this schema countries in the core were the developed, industrialised economies, and those in the periphery are the ‘underdeveloped’ economies, typically those reliant on the export of raw materials to the core. Thus the world system operates as a set of mechanisms that redistributes resources from the periphery to the core. These classifications may best be seen as ideal types. Nonetheless core countries could be expected to exhibit some common features. They would:
- be the most economically diversified, wealthy and powerful countries;
- have a strong central government, a strong state and a sufficient tax base so these state institutions can provide infrastructure for a strong economy;
- be highly industrialised and produce manufactured goods rather than raw materials for export;
- increasingly tend to specialise in information, finance and service industries;
- be at the forefront of new technologies and new industries;
- have a strong bourgeoisie and an organised working class;
- have significant means of influence over nations in the (semi)periphery and themselves be relatively independent of outside control.
반면, 주변부 국가들은
- 산업 기반이 약하며, 주로 1차 생산품이나 원자재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 이들은 대개 약하고 부패한 정부를 가지고 있으며, 국가 구조가 분열되어 있다.
- 농업 및 비공식 노동 시장이 주요한 고용원이 되며, 교육 및 문해율이 낮은 경향이 있다.
- 또한 극심한 불평등이 존재하며, 소수의 엘리트가 부를 독점하고 있다.
-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점은, 이들이 경제적, 정치적, 군사적으로 핵심부 국가들의 지배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Conversely countries in the periphery
Conversely countries in the periphery have a weak industrial base and tend to depend on a small number of commodities, largely primary goods and/or raw materials. They tend to have weak, corrupt governments with disarticulated state structures. They have a large informal and agricultural workforce. They tend to have low education and literacy rates in the population. They also have high levels of inequality with the wealth concentrated amongst a small elite. Finally, and most importantly, they are dominated,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militarily, by the core countries.
그러면 세계체제이론(WST)은 역학적 전환과 어떻게 연관되며, 서로 다른 전환의 사례들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세계체제를 조사하고 비교할 준비가 필요하다. 비교적 세계체제 접근법은 약 12,000년 전, 지구상에서 처음으로 정착 생활을 한 인간 집단이 나타난 시점에서 출발한다. 비교 연구를 위한 세계체제의 정의는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
"상호사회적 네트워크로서,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예: 무역, 전쟁, 혼인, 정보 교환 등)이 복합적 단위들의 내부 구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며, 또한 이들 지역 구조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체계."
(Chase-Dunn and Hall 1996: 404)
How then does WST match against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and how do possibly different examples of transition interrelate?
To answer such a question we need to be prepared to examine and compare different world-systems. Comparative world-system approaches start from the point where sedentary human groups were first identified on the planet, about twelve thousand years ago. The definition of world-systems for comparative research changes to:
"Intersocietal networks in which the interactions (e.g. trade, warfare, intermarriage, information) are important for the reproduc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s of the composite units and importantly affect changes that occur in these local structures."
(Chase-Dunn and Hall 1996: 404)
‘복합적 단위(composite units)’라는 용어는 단순한 ‘사회(society)’보다 더 넓은 개념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회’라는 용어는 명확한 경계를 가진 사회 집단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세계체제는 생물학적 및 생태학적 기초 위에 형성된 사회적 구조로 이해되어야 하며, 여기에는 다양한 문화적 집단과 정치체가 포함된다. 이들은 단순한 생태 및 생물학적 시스템과는 구별된다.
The term ‘composite units’
The term ‘composite units’ means more than ‘society’; the latter term commonly suggests a clearly bounded social group. World-systems, however, have to be conceived as social structures based on biological and ecological substrata that include different cultural groupings and polities. They are distinct from ecological and biological systems.
최초의 세계체제는 정착 생활(sedentarism)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정착한 ‘마을(villages)’과 ‘다양한 형태의 채집민(diversified foragers)’의 적극적인 결합에서 비롯되었다. 여기에서 영토 개념이 형성되고, 집단 간의 집단적 재산 및 경계 유지가 시작되었다. 채집 및 정착 활동은 자연 자원의 고갈과 과잉 착취를 동반했다. 당연히 질병의 영향도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질병의 양상은 인간 집단 간의 상호작용 패턴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The first world-systems
The first world-systems started with sedentarism and the active combination of sedentary ‘villages’ and ‘diversified foragers’. From this emerged territorialism and the beginning of collective property and boundary maintenance between groups. Foraging and sedentary activity involved the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their over-exploitation. Of course the impact of disease is important here and disease patterns can be understood as existing in and through patterns of interaction between human groupings created in and through different systems.
여기서 사용된 Chase-Dunn과 Hall의 정의는 Wallerstein의 체계 개념을 유지하면서도, 단일한 세계체제의 출현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이 세계체제 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주목하도록 유도한다. Wallerstein이 미니 시스템, 제국, 경제라는 용어를 통해 이를 포착하려 했고, 자본주의 세계경제로의 전환과 그 이후의 발전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면, 우리는 Chase-Dunn과 Hall의 접근 방식을 따르면서, 역학적 전환과의 연계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체계를 검토할 것이다. 이를 위해 Chase-Dunn과 Hall이 제안한 분석적 범주들을 검토해볼 것이다.
The definition used here from Chase-Dunn and Hall
The definition used here from Chase-Dunn and Hall retains Wallerstein’s emphasis on system but directs our attention less to the emergence of a single system and more to the ways in which different networks operate within world-systems. Where Wallerstein sought to capture this through terms such as mini-system, empire and economy, with a central focus on the move to a capitalist world-economy and its subsequent development, we will follow Chase-Dunn and Hall and review interlinking systems that we feel enable better linkages with epidemiological transitions. We do so by reviewing the analytic categories proposed by Chase-Dunn and Hall.
세계체제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필연적으로 많은 세계체제는 규모가 작으며, 특히 정착 사회와 유목 사회의 경우 더욱 그렇다. 이들의 상호작용은 광범위한 네트워크보다는 주로 인접한 이웃들과 이루어진다. 이 시기의 교통 시스템과 정보 흐름은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초기 세계체제에서 생산, 커뮤니케이션, 전쟁, 동맹 및 무역과 같은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다(자세한 사례는 Chew(2005) 참고).
체계 내에서 발생하는 일부 변화는 내부적(내생적) 원인에 의해 일어나지만, 다른 변화들은 외부적(외생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예를 들어, Chase-Dunn과 Hall(1996)이 제시한 바와 같이, 특정 지역에서 면역이 없는 인구를 공격하여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생충이 등장할 경우, 이는 체계에 외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질병의 영향일 뿐, 두 개 이상의 지역이 체계적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세계체제적 효과(world-system effect)라고 볼 수 없다.
그러나 ‘흑사병’처럼 벼룩이 쥐를 통해 퍼지고, 무역으로 연결된 여러 국가에 영향을 미칠 경우, 이는 세계체제적 질병 효과(world-system disease effect)로 간주될 수 있다. 무역 관계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면, 질병의 확산 또한 정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16세기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남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 인플루엔자를 가져온 사례도 세계체제의 일부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유럽 세계체제 내에서 착취적 관계가 정착되었기 때문이다.
How world-systems are constructed
Inevitably many world-systems will be small,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edentary and nomadic societies. Interactions are with immediate neighbours rather than more widespread. Transportation systems and information flow would be fairly restricted at this point in time. However, we can identify features such as production, communication, warfare, alliances and trade found in early world-systems (see Chew (2005) for examples).
Some developments and changes within systems will be endogenous while others will not. An exogenous impact that might change a system would include, following Chase-Dunn and Hall (1996), a parasite that attacks a population without immunity and depletes the population drastically. While this is certainly a disease impact it is not a world-system effect unless two or more areas are linked through some of the systemic networks.
When the parasitic or similar assault, such as the ‘black death’ where fleas were carried by rats, affects countries bound by trade then we can refer to this as a world-system disease effect. Trade relations are regularised and the disease spread also becomes regularised. The effects of influenza, brought to parts of South America and the Caribbean by Spanish and Portuguese in the sixteenth century, are also a systemic feature because of the regularised exploitative relations of the parts within a European world-system.
세계체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네트워크로 구분된다.
- 대량 상품 교환 네트워크(BGN; Bulk Goods Exchange Network)
- 귀중품 교환 네트워크(PGN; Prestige Goods Exchange Network)
- 정치/군사 교환 네트워크(PMN; Political/Military Exchange Network)
- 정보 교환 네트워크(IN; Information Exchange Network)
초기 자본주의 세계경제와 세계체제에서 대량 상품 교환 네트워크(BGN)는 핵심부와 주변부의 형성을 촉진했다. 그러나 대량 상품 교환 네트워크는 운송 비용이 높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지역적 네트워크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이 네트워크는 정치적 협정과 상업적 계약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대량 상품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복합적인 체계를 이룰 수도 있다.
15~16세기에는 목재와 양모 같은 대량 상품이 유럽 내 여러 지역을 연결하는 정치적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했으며, 이는 아메리카에서 금과 은이 유입되는 귀중품 교환 네트워크와도 결합되었다. 이 네트워크들은 규모가 다르며, Chase-Dunn과 Hall(1996; 1997)의 분석에 따르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nstituents of world-systems
The constituents of world-systems include boundaries created by:
- Bulk Goods Exchange Network (BGN)
- Prestige Goods Exchange Network (PGN)
- Political/Military Exchange Network (PMN)
- Information Exchange Network (IN)
The bulk goods network for trade links were to become core and peripheries in the early capitalist world-economy and world-system. But a bulk trade network will be a relatively small interregional network because of the costs involved in transportation. It may well also include political agreements and commercial arrangements. These may form an independent network and a complex set of arrangements may link more than one bulk goods network.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bulk goods such as timber and wool linked different parts of Europe through a political exchange network that also supported the carrying of a prestige goods network based on gold and silver bullion from the Americas. The four networks are of different sizes. Following Chase-Dunn and Hall (1996; 1997), Figure 7.1 shows how the networks might be linked.
여기서 정보 교환 네트워크(IN)는 다른 네트워크 바깥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상품 교환은 필연적으로 정보 교환을 포함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품이 이동하는 양보다 정보의 이동이 더 적을 수 있다. 즉, 대량 상품이나 귀중품은 여러 중개자를 통해 전달될 수 있지만, 정보는 동일한 방식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어떤 정보는 특정 지점에서 멈추거나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질병이 어떻게 기술되고, 평가되며, 설명되는지에 대한 함의를 갖는다. 따라서 질병과 관련된 정보 네트워크는 전문가들이 치료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데 특화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정보가 실제로 영향을 미치려면 특정한 귀중품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백신 공급자들이 영향력 있는 네트워크의 일원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시스템 구성 방식이 존재하며, 각각은 앞서 정의한 세계체제를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information exchange network
Here the information exchange network is presented as outside the other networks. Exchange of goods involves exchange of information but sometimes the goods exchange is greater than the amount of information involved. Thus bulk or prestige objects may be passed on from one partner to another but the information does not get passed on in the same way. Some pieces of information may stick at certain points and some may be seen as redundant.
This has implications for how diseases are described, evaluated and explained. Thus the information network for disease may be specialised, e.g. professionals evaluating treatment programmes, but it may only achieve impact through the prestige networks available, thus ensuring potential distributors of vaccines are approached as holders of prestige connections.
Our point is that different system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may constitute a world-system as defined above.
분석 범주의 정교화
앞서 제시한 범주 외에도, Wallerstein이 ‘외부 지역(external zone)’이라고 명명한 개념을 추가해야 한다.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관점에서 볼 때, 외부 지역은 자본주의 세계경제가 상품을 원하는 지역이지만, (아마도 문화적으로) 제조된 상품의 수입에 저항하며, 그 선호를 정치적으로 유지할 만큼 충분히 강한 지역이다.”
(Wallerstein 1989: 167)
이러한 외부 지역들은 즉각적으로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일부를 형성하지는 않지만, 기존의 세계체제로 유입될 수 있는 수인성 또는 공기 감염성 질병의 숙주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 중요한 점은 이들이 세계체제 내에서 무작위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경로를 따라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외부 지역이 질병 전파를 촉진하거나 세계체제 내로 질병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Refining the categories of analysis
In addition to the categories given above we need to introduce what Wallerstein termed ‘the external zon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apitalist world-economy, an external arena was a zone from which the capitalist world-economy wanted goods but which was resistant (perhaps culturally) to importing manufactured goods in return and strong enough politically to maintain its preferences.”
(Wallerstein 1989: 167)
Such zones may not form an immediate part of the capitalist world-system but they provide a locus for disease parasites, both waterborne and airborne, that can enter established world systems. The point is that their place within world-system activity would not be random but could follow particular contours. Thus one possibility might be an external zone that either initiates or becomes involved in a disease transmission even though it is external to the world-system.
Abu-Lughod(1989)은 흑사병이 동쪽에서 서유럽으로 확산된 과정을 추적하면서 McNeill의 설명을 상당 부분 수용한다. 두 가지 관점을 결합하면, 네 개의 주요 질병 풀(disease pools)이 세계체제의 변화와 맥락을 같이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McNeill 1976; Abu-Lughod 1989). 이 연구들은 1250~1350년과 그 이전의 세계체제를 기반으로, 전쟁과 정착 활동이 어떻게 전염병을 특정한 경로를 따라 확산시켰는지를 보여준다.
질병 풀 접근법은 세계체제의 발전과 연결되며, 한 가지 예로 400~900년경 슬라브 민족이 외부 지역에 위치하면서 감염성 질병에서 자유로웠음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무역로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지는 않았지만, 제국에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염병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Abu-Lughod(1989) traces the Black Death
Abu-Lughod (1989) traces the Black Death in its reach from the east to Western Europe by largely accepting McNeill’s presentation. If we combine the arguments of both we find the four disease pools (McNeill 1976; Abu-Lughod 1989) map onto the world-systems of the periods from 1250–1350 CE and earlier. Both show that the warring invasions and settlements spread infectious diseases according to a pattern of transfer when people had not built up immunity.
The disease-pool approach maps onto world-system developments and as one might expect an external zone, such as that of the Slav peoples from 400–900 CE lying in the external zone, remained free of the infectious diseases until it entered the world-system.
이들은 무역로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지는 않았지만, 제국의 일부로 통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질병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피할 수 있었다. McNeill은 이러한 집단이 지중해 남부 및 제국의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도시 농민들이 겪은 대규모 인구 손실을 피했다고 지적한다. 또한, 이들은 제국 내에서 발생한 미세 기생충(microparasitic) 감염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이는 오히려 인구 증가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들이 서유럽 및 더 서쪽으로 확장하면서 세계체제에 편입되었을 때, 미세 기생충 감염 경로에 포함되어 초기에는 대규모 인구 손실을 겪었으며, 이후 면역력이 형성되면서 점진적인 균형을 이루게 되었다.
These peoples were not outside the trade routes
These peoples were not outside the trade routes but they were not incorporated into the empire. In terms of human destruction McNeill notes they avoided the fate of the urban peasantries of the Mediterranean south and elsewhere in the empire. They also avoided the microparasitic transmissions suffered in the empire, which meant their population increased. When they expanded into Western Europe and further west they became part of the microparasitic transmission chain, suffering severe population loss at first and then a subsequent balancing as immunity was built up.
외부 지역은 역학적으로 중립적인 존재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외부 지역이 주변부로 편입될 때, 이들은 처음에는 심각한 질병과 약탈의 피해를 입게 된다. 그러나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 외부 지역의 수가 줄어들면서, 현재는 사실상 외부 지역이 존재하지 않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변화는 역학적 패턴의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The external zone does not act as a neutral party
The external zone does not act as a neutral party in epidemiological terms. It would appear to be that as external zones are incorporated, usually into the periphery, so they face severe illness and depredation initially. However, as the number of external zones has decreased, now reaching a point where there may be no such zones at all within a capitalist system, the epidemiological pattern may change.
종속과 질병
앞서 논의한 내용은 전염병이 과거에 어떻게 확산되었는지, 그리고 오늘날 다시 출현할 가능성이 있는 요인들을 보다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세계체제이론(WST) 접근법은 또 다른, 어쩌면 더욱 시급한 문제를 제기한다. 바로 핵심부(core)와 주변부(periphery) 간의 관계가 역학적 전환(epidemiological transition)에 미치는 영향이다.
Omran의 네 번째 명제가 사실이라면, 즉 사회가 역학적 전환의 연속적인 단계를 거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이루어야 한다면, 세계체제의 동학, 특히 주변부 국가들을 종속 상태에 머물게 하는 구조는 해당 국가들의 보건 상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Dependency and disease
The foregoing gives us a much more integrated, system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ow infectious diseases may have been spread in the past and what might contribute to their re-emergence today. However, the WST approach also raises another, perhaps more current, issue of the impact of core–periphery relations on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If we take Omran’s fourth proposition to be true, that societies need to achieve certain level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order to pass through successive stages of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then world-system dynamics, which keep peripheral countries in a state of dependency, ought to also impact on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in these countries.
이 주장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GDP나 도시화와 같은 내부적 요인보다는 외부적 요인이 사망 원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봐야 한다. 현재까지의 연구에서 세계체제이론(WST)과 역학적 전환이론(ETT)을 명시적으로 결합한 시도는 없었지만, 유사한 문제들이 다른 연구들에서 다루어졌으며, 우리는 이를 바탕으로 논의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무역 종속(trade dependency)이 전체 사망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분석한 바 있다(Dixon 1984; London and Williams 1990; Ragin and Bradshaw 1992). 보다 최근에는 Shen과 Williamson(2001)이 다양한 형태의 종속이 영아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이 두 가지 지표는 모두 역학적 전환이론(ETT)에서 핵심적인 요소이지만, 기존 연구들은 사망 원인(cause of death) 자체를 직접적으로 분석하지 않았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종속을 측정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들을 제시하고 있다.
In order to test this argument
In order to test this argument,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impact of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internal factors, such as GDP or urbanisation, on the causes of death in a population. As noted earlier, to the best of knowledge, no one has explicitly tried to bring WST and ETT together before. However, similar issues have been explored elsewhere, which we aim to build on.
A number of studies have examined the detrimental effects of trade dependency on overall mortality rates (Dixon 1984; London and Williams 1990; Ragin and Bradshaw 1992). More recently Shen and Williamson (2001) have looked at the effects of various forms of dependency on infant mortality. Although both of these are key indicators of ETT, none of these studies have looked directly at the main indicator, the cause of death. However, they do suggest which indicators of dependency might be used.
Shen과 Williamson(2001)은 종속을 측정하기 위해 무역 종속(trade dependency), 부채 종속(debt dependency), 투자 종속(investment dependency)이라는 세 가지 지표를 사용했다. 그러나 우리는 투자 종속(FDI stock)이 적절한 지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무역 종속 지표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무역 종속 지표와 달리, 투자 종속 지표는 특정 산업(예: 의류 산업)에서의 집중도를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 부채 데이터는 세계은행(World Bank) 웹사이트에서 개발도상국에 대한 정보만 제공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충분한 변동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무역 종속(trade dependency)은 세계무역기구(WTO)에서 제공하는 상품 집중 지수(Commodity Concentration Index, CCI) 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이 지수는 한 국가의 수출이 얼마나 다양화되어 있는지를 0에서 1까지의 척도로 나타낸다. 1의 값을 가지면 해당 국가의 수출이 오직 하나의 상품(예: 석유 또는 밀)에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상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수록, 세계 시장의 가격 변동에 취약해진다. 만약 특정 국가의 주요 수출품 가격이 급락하면, 수출품이 수백 가지로 다양화된 국가보다 훨씬 더 심각한 영향을 받을 것이다(Soutar 1977; Tegene 1990; Savvides and Mohtadi 1991).
Trade dependency is measured
Trade dependency is measured using a commodity concentration index (CCI) taken from the World Trade Organisation (WTO). This is a measure of how diversified a country’s exports are on a scale of 0 to 1. A score of 1 would mean that a country’s exports are solely dependent on one commodity, such as oil or wheat.
The more reliant a country is on a narrow export base then the more vulnerable it is to vagaries of the world market. If the world price for a commodity that makes up the majority of a country’s exports falls rapidly then this will have a much more dramatic effect than if this was one of hundreds of commodities all of which were roughly of equal importance (Soutar 1977; Tegene 1990; Savvides and Mohtadi 1991).
다음 분석에서는 무역 종속과 관련된 전체 사망률 및 영아 사망률에 대한 기존 연구를 업데이트하고, 동시에 사망 원인 분석을 확장하여 감염병, 모성 건강, 주산기(perinatal), 영양 관련 질병으로 인한 사망 비율을 살펴보고자 한다. 모든 데이터는 세계보건기구(WHO) 웹사이트에서 가져왔으며, 가장 최근의 사망 원인 데이터는 2004년 자료를 사용했다.
2008년 기준으로도 무역 종속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전체 사망률이 높은 경향이 있으며, 이 관계는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334). 예를 들어, 앙골라는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이 421명이며, 수출의 90% 이상을 원유에 의존하고 있다(CIA World Factbook, 2008). 그러나 몇몇 국가는 이러한 일반적인 경향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이는데, 특히 짐바브웨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수출 기반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높은 사망률(인구 10만 명당 772명)을 기록했다. 이는 2008년 짐바브웨에서 발생한 심각한 콜레라 유행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analyses
In the following analyses, we aim to update the previous studies on all-cause and infant mortality in relation to trade dependency as well as extending these analyses to look at the proportion of deaths due to communicable, maternal, perinatal and nutritional diseases. All these data were taken from the World Health Organisation (WHO) website. However, the most recent data on cause of death were for 2004.
Figure 7.2 shows that even in 2008 there is a positive, albeit moderate, relationship (r = .334) between the degree to which a country is dependent on a relatively narrow range of exports and the level of overall mortality in the population.
For example, Angola has a mortality rate of 421/100,000 and is highly reliant on crude oil, which makes up over 90 per cent of its exports (CIA World Factbook, 2008).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countries that seem to go against the trend.
Figure 7.3에서는 5세 이하 사망률과 무역 종속 간의 보다 강한 관계(r = .412)를 보여준다. 무역 기반이 제한적인 국가일수록 영아 사망률이 더 높다. 이러한 결과들은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세계체제 내에서 주변부 국가들이 여전히 Omran이 말한 감염병과 팬데믹의 시대에 해당하는 높은 사망률을 겪고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종속과 사망 원인의 관계
핵심적인 문제인 사망 원인을 살펴보면, 그림 7.3은 상품 집중 지수(Commodity Concentration Index, CCI)와 감염성 질병, 모성 건강 문제, 주산기(perinatal) 및 영양 관련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 비율 간의 강한 관계를 보여준다(r = .448). 이는 무역 종속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이러한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국가의 수출 구조가 취약할수록, 세계 경제의 불안정성에 더욱 취약해지며, 이는 건강 지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Omran이 제시한 감염병과 팬데믹의 시대가 여전히 일부 국가에서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무역 종속과 높은 감염성 질병 사망률 간의 관계는 세계체제 내에서 주변부 국가들이 경제적 종속뿐만 아니라 보건 수준에서도 구조적인 불평등을 겪고 있음을 강조한다.
Turning, then, to the key issue of the cause of death
Turning, then, to the key issue of the cause of death, Figure 7.3 show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CCI and proportion of deaths attributable to communicable, maternal, perinatal and nutritional conditions (r = .448).
This suggests that the more dependent a country is on a narrow range of exports, the more likely it is to suffer from high mortality rates due to these conditions.
These findings reinforce Omran’s argument that societies pass through different epidemiological stages and that some remain in the age of infectious diseases and pandemics. Moreover, the link between trade dependency and high mortality from communicable diseases suggests that peripheral countries continue to experience structural inequalities not only in economic terms but also in health outcomes.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 세계체제 내의 불평등이 보건 격차로 이어진다.
- 주변부 국가들은 경제적 종속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무역 종속도로 인해 의료 및 공중보건 체계가 취약하다. 이는 감염병의 높은 사망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 경제 구조가 보건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수출 기반이 협소한 국가는 글로벌 시장 변동에 의해 직접적인 타격을 받으며, 이러한 경제적 불안정성은 보건 및 의료 시스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 역학적 전환 이론과 세계체제 이론의 결합 필요성
- 기존의 역학적 전환 이론(ETT)은 개별 국가의 발전 단계를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지만, 세계체제 이론(WST)의 시각을 접목하면, 국가 간 경제적 위치와 보건 수준 간의 연관성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더욱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개별 국가의 보건 정책, 외국인 투자(FDI) 패턴, 의료 접근성과 같은 요인들이 이러한 관계를 어떻게 매개하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세계 경제의 구조적 변화(예: 국제 보건 기구의 개입, 무역 협정 변화 등)가 이러한 패턴을 변화시킬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Key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These findings have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 Structural inequality in the world-system translates into health disparities.
- Peripheral countries not only experience economic dependency but also suffer from weaker healthcare and public health systems, making them more vulnerable to high mortality from infectious diseases.
- Economic structure has a direct impact on health outcomes.
- Countries with a narrow export base are more susceptible to global market fluctuations, which in turn affect their healthcare systems and overall health outcomes.
- The need to integrate epidemiological transition theory (ETT) with world-systems theory (WST).
- While ETT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the internal development of societies, incorporating WST perspectives helps explain how a country’s economic position in the global system influences its stage in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Further research should explore more nuanced relationships, such as the role of national health policies,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patterns, and healthcare accessibility in shaping health disparities. Additionally, structural changes in the global economy, such as international health interventions and trade agreements, should be examined for their potential impact on these patterns.
서아프리카: 세계 시스템이 질병과 사망에 미친 영향
이 분석들은 ETT(Epidemiologic Transition Theory, 역학적 전이 이론)가 국가 중심주의를 넘어설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특정 지역에서의 시간적 변화를 고려할 때 더욱 강화된다. 여기서 제시하는 제안들은 현재로서는 가설적이며, 추가적인 발전이 필요하다. 우리는 두 가지 전통적 접근법을 어떻게 조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서아프리카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한다. 서아프리카를 선택한 이유는 이 지역이 향후 높은 인구 증가율이 예상되는 지역이기 때문이다(Cour and Snvech, 1998; UN-Habitat, 2003; Davis, 2006). 따라서 이 지역은 질병 경향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우리의 관심사는 도표 7.1의 지도를 활용하여, 서아프리카 지역이 서로 다른 역사적 시점에서 어떻게 변화했을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도표 7.1은 일반적인 지도이므로, 특정 위치마다 각기 다른 패턴이 나타날 것이다. 우리의 목표는 도표 7.1에서 제시된 물품 분배 패턴이 역사적 시기마다 어떻게 그려질 수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ETT에 어떤 함의를 가지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West Africa: the impact of the world system on disease and death
These analyses demonstrate a need for the ETT to move beyond its state centricism. This is reinforced if one considers change over time in specific regions of the world. Our suggestions here are speculative at present and need further development. We draw on ideas of how a combination of the two traditions might be taken forward with a focus on West Africa. We have chosen West Africa because it is a region with anticipated high population growth (Cour and Snvech 1998; UN-Habitat 2003; Davis 2006) and consequently an important reflector of disease tendencies. Our interest here is on how the region might appear taking the map in Figure 7.1 and recasting it at different historical moments. Figure 7.1 is a generic map and any location will have a specific patterning at different times. Our interest lies in considering how the pattern of goods distribution as set out in Figure 7.1 would be drawn at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and what implications, if any, this holds for ETT.
서아프리카 지역의 중요한 역사적 배경을 요약해 보면, 몇 가지 뚜렷한 시기를 구분할 수 있다(Dike, 1956; Crowder, 1966; Crowder, 1968; Hopkins, 1977).
- 첫 번째는 기원전부터 시작되어 주요 아프리카 제국들이 포함되는 시기,
- 두 번째는 유럽의 발견과 유럽의 초기 지배가 시작된 시기(1500-1700년대),
- 세 번째는 노예무역이 성행한 시기(1700-1800년대),
- 네 번째는 식민 지배가 시작되어 탈식민화에 이르기까지의 시기(1860~1960년대), 그리고
- 다섯 번째는 최근의 시기(1960년대 이후)이다.
우리는 각 시기에 따라 무역의 양적 규모(대량 상품 무역, 사치품 무역, 정치 및 군사 네트워크, 그리고 정보 네트워크)의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무역 형태, 정치적·사회적 관계 등이 있으며, 이는 이 지역이 외부 경제권으로 편입되고 주변부화(peripheralisation)됨에 따라 변화한다. 그러나 WST(World Systems Theory, 세계 체계 이론)는 질병 패턴의 변화를 설명하지 못하고, 단순히 인구 이동의 결과로 질병을 본다는 한계를 가진다. 우리는 질병의 확산이 그보다 더 복잡한 과정이라고 주장한다.
Summarising important histories of the West African region (Dike 1956; Crowder 1966; Crowder 1968; Hopkins 1977), we can distinguish a number of distinctive periods: an extensive period from BCE that goes on to include the major African empires, the period of European discovery and the beginnings of European control (1500–1700), the period of the slave trade (1700–1800s), the colonial period lasting up to decolonisation (1860–1960s), and the most recent period (1960s onwards). Our suggestion 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both the size of the segments (bulk goods trade, prestige goods trade, political and military networks and the resulting information networks). The factors that influence such changes include of course the forms of trade, political and social relations in place that will change as the region is first incorporated as an external zone and peripheralised. What WST leaves out is an account of the changing patterns of disease, instead seeing disease as an outcome of people movements. We have suggested it is more complex than that.
단순화를 감수하고 우리는 기원전부터 16세기 왕국들이 몰락할 때까지 대량 상품 무역과 사치품 무역이 대체로 균형을 유지했다고 본다. 이 두 무역 유형의 비율은 오랜 기간 동안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질병이 없는 경로(fly free lines)’(Lambrecht, 1964; Steverding, 2008)가 발견되고 유지되었기 때문이며, 그 결과 무역이 일정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완전히 독립적인 경제권이 아니었으며, 사하라 사막을 넘나드는 소금, 노예, 기타 상품의 교역이 질병의 확산을 초래했다. 15세기 이후 유럽의 탐험이 시작되면서, 이 시스템의 정보 흐름이 변화하였고, 이에 따라 세계 시스템이 변화하면서 무역 품목도 변화하게 되었다.
At the risk of simplification we posit that in the long period from BCE until the end of the kingdoms in the sixteenth century trade in bulk goods and prestige goods was largely in balance. The proportion of each to the other was roughly proportionate over this long time period. This was in part because ‘fly free’ lines (Lambrecht 1964; Steverding 2008) were found and retained so trade took on a regular pattern. The region was not entirely self-contained because the trade in salt, slaves and other goods across the Sahara brought people into contact with a number of disease pools. However, once European exploration occurred from the fifteenth century onwards the information aspect of the system changed, which then acted upon the then world-system leading to changes in goods traded.
유럽의 화물 책임자들이 정착하면서 팜유 무역을 발전시키다
16세기부터 유럽의 화물 책임자(supercargoes)들이 정착하여 팜유 무역을 발전시키면서 새로운 요소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Okonta and Douglas, 2003). 간단히 말해, 대량 상품 무역은 감소하고 사치품 무역이 증가하면서 사람들의 이동이 훨씬 더 활발해졌다. 이러한 변화는 노예무역과 함께 확장되었고, 서아프리카가 유럽 중심의 세계 체계에서 주변부화(peripheralisation)되는 결과를 낳았다.
노예무역 자체가 체체파리(tsetse fly)로 인한 수면병(sleeping sickness)의 확산을 초래했다. 서아프리카의 토착 인구는 체체파리에 대한 면역을 상당 부분 확보하고 있었지만, 노예 항구로 강제 이송되는 사슬에 묶인 노예들의 유입이 새로운 감염을 유발했다.
As European supercargoes became established, developing trade in palm oil from the sixteenth century, so new factors came into play (Okonta and Douglas 2003). In brief, bulk goods trade declined and prestige goods trade increased leading to far greater movement of peoples. This was then extended through the slave trade and the peripheralisation of West Africa in the European world-system. The slave trade itself led to the rise of sleeping sickness caused by the tsetse fly. The West African populations had largely achieved immunity against the fly but the incursion of chained slaves forcibly marched to the slave ports led to new outbreaks.
식민지 시기의 인구 이동과 질병의 확산
식민지 시기에는 한 가지 경향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이후 훨씬 더 가속화되었다. 북부 지역에서 남부 도시로의 인구 이동이 증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라고스(Lagos)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도시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인구 이동은 부분적으로 무역과 관련이 있으며, 동시에 위생 환경이 열악하고 깨끗한 식수가 부족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질병 증가를 초래했다.
Steverding(2008:5)은 콩고(Congo) 지역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지적한다.
“아프리카 식민지화 과정에서 형성된 사회경제적 조건이 수면병의 전염에 영향을 미쳤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벨기에령 콩고(현재의 콩고 민주 공화국) 북중부 우엘레(Uele) 지역에서 발생한 수면병 대유행이다. 19세기 초반 이 지역의 식민지화는 장기적이고 잔혹한 과정이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강제 이주를 당했고, 많은 이들이 기아 상태에 놓였다. 이러한 환경은 질병이 퍼지는 이상적인 조건을 형성했으며, 이후 15년 동안 수면병은 이 지역에서 점점 더 만연해졌다. 192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식민 당국이 의료 서비스를 도입했다.”
The colonial period saw the beginning of a tendency that has increased much faster since – movement of peoples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region to the cities of the south. Lagos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cities in Africa. This movement is part trade related and it leads to the rise of diseases associated with poor sanitation and lack of clean water supplies. As Steverding (2008: 5) notes in relation to the Congo:
“Other factors that affected the epidemiology of sleeping sickness in the first half of the last century are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created during the colonisation of Africa. An excellent example of this is the sleeping sickness epidemic in the north-central Uele district of the former Belgian Congo, now known as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Colonisation of this region in the first decade of the 19th century was protracted and brutal. Large numbers of people were displaced and many of them experienced famine. This created an ideal environment for spreading the disease and sleeping sickness became increasingly entrenched and epidemic in this region over the next 15 years. It was not until the mid 1920s that medical services were introduced in the Uele district by the colonial powers.”
전쟁, 석유 산업, 그리고 질병의 증가
이 지역은 또한 간헐적이지만 지속적인 전쟁으로 고통받아 왔다. 대표적인 예로 나이지리아 내전(1967~1970년)이 있다. 탈식민화 이후 정치·군사 네트워크의 증가로 인해 기아와 전쟁으로 약 1,300만 명이 사망했으며, 이러한 갈등은 나이지리아 정부가 니제르 델타(Niger Delta)의 경제적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여기게 만들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석유 정제 산업의 발전이다. 세계 체계 모델을 기준으로 보면, 나이지리아는 다양한 대량 상품을 수출하던 국가에서 단일 수출 품목인 석유에 의존하는 국가로 변화했다(Nnadozie, 1995). 이익의 상당 부분이 해외로 유출되었고, 그 결과 델타 지역은 나머지 지역보다 훨씬 가난해졌다.
특히, 암과 설사성 질환의 증가가 석유 회사들이 고용한 민병대의 활동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질병들은 석유 정제 산업이 확장되기 전에는 훨씬 덜 흔했다. 석유 정제 산업이 질병 증가의 직접적인 원인인지 여부는 본 논의의 주제가 아니다. 대신, 우리는 특정 무역 패턴이 형성됨에 따라 질병 유형에도 변화가 발생했음을 강조하려 한다.
The region has also been plagued by intermittent but persistent warfare, such as the Nigerian Civil War of 1967–70. This increase in political–military networks since decolonisation has not only led to some 13 million deaths through starvation and warfare, but the conflict also increased the attractiveness of the Niger Delta to the government. The development of the oil-refining industry is the most obvious illustration of this. In terms of our world-system model Nigeria in particular has reverted from a mixed export provider of bulk goods to reliance on a single export – oil (Nnadozie 1995). Much of the profit has been drained off and the Delta region is significantly poorer than the rest of the country. The rise in cancers and diarrhoeal illnesses that claim many lives in this area have been exacerbated by the activities of the private militias hired by the oil companies. Such diseases were certainly less common before the expansion of the oil refineries.
세계 체계와 서아프리카의 위치
석유 정제 산업이 질병 증가를 초래했는지 여부는 본 연구의 핵심 질문이 아니다. 오히려, 특정 상품 무역의 변화와 질병 유형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우리의 목표이다. 오늘날의 세계 체계에서 서아프리카가 차지하는 위치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OECD와 WHO 데이터에 따르면, 서아프리카는 OECD 국가들과는 다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를 단순히 근대화의 부족이나 개발의 지연으로 설명하는 것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보다 설득력 있는 설명은 대기업이 서아프리카 지역에 미친 영향을 추적하는 것이며, 여기에는 유독성 폐기물 정화 작업의 효과와 수출 지역에서의 건강 영향 평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우리는 데이터 분석에 앞서, 세계 체계의 변화가 서로 다른 역사적 시점에서 역학적 변화(epidemiology)를 반영할 것이며, 이는 두 가지 이론적 전통을 결합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제안한다.
The question of whether oil refining is causing a rise in disease is not our question here. Rather, our purpose is to indicate that a significant trade pattern in one commodity has emerged alongside a shift in disease types. The issue here is the type of position West Africa plays in the largely single world-system found today. The OECD and WHO data given above show that it is in a different position from that of the OECD countries. Attributing this to limited modernisation or development is misleading. A more compelling explanation would involve tracking the impacts of major companies on the West Africa region, including measures of the effects of clean-up operations from toxic wastes, and the impacts on health of export zones used to handle toxic materials. Without pre-empting what data would show we can suggest that an examination of the changing shape of the world-system at different historical times will reflect changes in epidemiology and lead to a fruitful combination of two theoretical traditions.
결론
결론적으로, 우리는 ETT(Epidemiologic Transition Theory, 역학적 전이 이론)와 WST(World Systems Theory, 세계 체계 이론)를 결합하는 것이 두 연구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유익하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했다. 우리의 목적은 ETT를 반박하거나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는 ETT가 인구 건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인구학적 혹은 생물학적 결정론적인 대안들에 대한 유용한 교정 역할을 했다고 본다. 앞서 언급했듯이, Omran의 전제는 많은 증거들로 뒷받침되며, 일부 비판은 ETT 모델을 오해한 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ETT의 국가 중심주의적 시각을 비판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으며, 이를 통해 WST 접근법의 잠재적 유용성을 탐구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ETT가 WST의 핵심 구성 요소들과 명확한 ‘상호보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두 이론은 모두 인구에 초점을 맞추며, 근대화 이론을 공통된 참조점으로 공유하고 있다. 우리는 이 두 이론을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분야를 열 수 있다고 확신한다.
Conclusion
In conclusion we hope to have shown the benefit of the bringing together of ETT and WST for researchers from both fields. Our aim has not been to refute or reject ETT. We feel that this has been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our understanding of population health and a corrective to the demographically or biologically deterministic alternatives. As noted earlier there is plenty of evidence to support Omran’s premise and some of the criticisms are based on misrepresentations of the model. However we feel that it is important to challenge its state-centricism and this provided us with an ideal vehicle to explore the potential utility of adopting a WST approach. Thus we have focused on ETT because of its clear ‘complementarity’ with some of the principle components of the WST. They both share a focus on populations and modernisation theory as a common reference point.
연구의 확장 가능성
이 두 이론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연구 주제를 새롭게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사적 전이(transitions)의 원인을 다시 검토하고, 무역 네트워크와 군사·정치적 동맹이 시스템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며, 이러한 요소들이 사망률과 출산율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연구할 수 있다.
거시적 차원에서, 무역 의존도가 사망률 패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보다 정교한 통계 모델을 구축할 수도 있다. 여기에는 정치적·군사적 권력 관계와 같은 다른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시적 차원에서는 특정 지역, 예를 들면 니제르 델타(Niger Delta)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역학적 양극화(epidemiological polarization)’ 개념이 중요한 논점을 제공한다(Frenk et al., 1989; Frenk et al., 1991). Dummer와 Cook(2008), Bobadilla와 de Possas(1992), Huynen 등(2005)은 여러 개발도상국에서 이러한 양극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 중심부는 역학적 전이의 세 번째 단계로 진입하지만 농촌 지역은 여전히 전염병과 감염병 시대에 머물러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찰은 국가보다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추는 WST 접근법을 통해 분석하기에 적절한 사례가 될 수 있다(Chase-Dunn and Hall, 1996).
We certainly feel that bringing these two theories together opens up a host of potential research areas. For example it would be possible to revisit the reasons for transitions in history and look at the existence of trade networks and military and political alliances on the development of systems, and how these impact upon mortality and fertility profiles. On a macro-level more sophisticated statistical models could be built to explore the impact of trade dependency alongside other indicators, such as political and military power relations, on mortality profiles. Alternatively, or in addition, more micro-level analyses could focus on specific regions, such as the Niger Delta. In this regard the more recent work on what is called ‘epidemiological polarization’ (Frenk et al. 1989; Frenk et al. 1991) raises some important issues. Writers such as Dummer and Cook (2008) and Bobadilla and de Possas (1992) and Huynen and colleagues (2005) have all argued that a number of developing countries are experiencing this polarisation as urban, metropolitan centres pass into the third phase, leaving the rural hinterlands behind in the age of pandemics and infectious diseases. Such observations lend themselves to analyses through a WST approach with its focus less on states but rather, as Chase-Dunn and Hall (1996) note, on networks.
세계 체계 이론의 확장 가능성
의료 사회학(medical sociology)과/또는 사회 역학(social epidemiology)에 WST 접근법을 접목하는 가능성은 ETT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WST의 여러 특징은 보건 연구의 다양한 분야와 공통된 문제의식을 공유한다.
Wallerstein은 주변부 국가들이 불평등이 심하며, 식민지 엘리트 혹은 중개자 계층(comprador elites)이 자원을 독점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한다. 이는 Wilkinson(2001, 2005, 2009)이 연구한 바와 같이, 불평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연구와 연계될 수 있다. 또 다른 연구 방향으로는 세계 체계의 역동성이 복지국가의 (비)조직화(disorganisation)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있다.
WST 모델의 핵심 요소 중 하나는 주변부 국가들이 약하고, 종종 심각하게 부패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찰은 개발도상국의 다양한 불안정성과 복지 체계(regimes of welfare) 유형을 분석한 최근 연구들과도 연결된다(Gough et al., 2008).
결론적으로, 우리는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학적 연구 분야가 Wallerstein 및 WST 접근법과의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본다.
However the possibilities offered by incorporating a WST approach to medical sociology and/or social epidemiology need not be restricted to ETT. A number of the features of WST share many common concerns with those found in other areas of health research. As Wallerstein notes countries in the periphery tend to be more iniquitous, with colonial or comprador elites dominating resources. This invites further exploration in line with the work already done by writers such as Wilkinson (2001; 2005; 2009) on the effects of inequalities on health. Another possibility might be to look at the impact of world system dynamics on the (dis)organisation of welfare states. A key feature of the WST model is that states in the periphery are weak and often highly corrupt. Such observations echo recent analyses on different types of insecurity and welfare regimes in the developing world (Gough et al. 2008). In short we feel that many different areas of sociological research in and around aspects of health might benefit from further engagement with the work of Wallerstein and the wider WST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