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Yee, B., Diaz, P., Bryden, P., Soklaridis, S., & Kuper, A. (2020). From hermeneutics to heteroglossia:‘The Patient’s View’revisited. Medical Humanities, 46(4), 464-473.
서론
1985년, 로이 포터(Roy Porter)는 그의 기념비적인 논문 **「환자의 관점: 아래로부터의 의학사 연구(The Patient’s View: Doing Medical History from Below)」**를 발표했다. 그는 이 논문에서 의학사가들이 ‘의사 중심(physician-centered)’ 서술에서 벗어나 환자의 목소리에 보다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당 논문이 출판된 이후, 포터가 주장한 ‘환자 중심(patient-centered)’ 의학사를 실현할 가능성을 둘러싼 논쟁이 촉발되었다. 환자 서사는 의료 인문학(medical humanities) 내에서 주목을 받아왔지만, 개념적·방법론적 장벽으로 인해 다양한 역사적 시기 전반에 걸쳐 환자 중심의 인식론(epistemology)이 확산되는 것은 어려웠다.
Introduction
In 1985, Roy Porter published his seminal article ‘The Patient’s View: Doing Medical History from Below’, where he argued that historians needed to move beyond ‘physician-centered’ narratives and give greater focus to patients’ voices in medical history. Since its publication, a debate has emerged surrounding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Porter’s avowed aim of a ‘patient-centered’ history of medicine. Although patient narratives have received welcome attention within the medical humanitie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barriers have prevented the expansion of a patient-centred epistemology across historical periods.
포스트모던 비판과 환자 서사의 한계
포스트모던 비판가들은 역사에서 환자의 관점을 복원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해 왔다.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와 같은 영향력 있는 이론가들은 ‘환자’라는 개념이 ‘의학적 시선(medical gaze)’에 의해 구성된 사회적 산물이며, 따라서 환자의 주관성과 경험은 지식과 권력의 사회·역사적 담론을 벗어나 재구성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푸코의 주관성 개념은 그의 의학사 및 정신의학 연구에서 탐구되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환자 중심 인식론의 가능성을 저해한다고 해석한다.
Postmodern critics have raised doubts that the patient’s view can be recovered from history. Influential theorists, such as Michel Foucault, claimed that ‘the patient’ is a construct of the ‘medical gaze’ whose subjectivity and experience cannot be reconstituted outside of sociohistorical discourses of knowledge and power. Foucault’s concept of subjectivity, explored in his studies in the history of medicine and psychiatry, is interpreted by some authors as undermining the possibility of a patient-centred epistemology.
정신의학사의 환자 중심 서술과 제도적 한계
특히 20세기 중반의 정신의학은 환자 중심적 역사 서술을 수행하는 데 있어 독특한 도전 과제를 제시한다. 이는 부분적으로 근대적 수용소(asylum)가 ‘총체적 기관(total institution)’의 전형으로 간주되며, 환자의 정체성을 흡수하고 재구성하는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정신의학사의 이 중요한 시기에 ‘환자의 목소리’를 복원하려는 사례 연구는 제한적인 수에 불과하다.
Indeed, psychiatry in the mid-20th century presents particular challenges for conducting patient-centred history, in part because the modern asylum is often viewed as the paradigm of a ‘total institution’, responsible for subsuming and reconstructing patient identities. The result is a limited number of case studies which attempt to restore ‘the patient’s voice’ to this critical period in the history of psychiatry.
본 연구의 목표
본 연구는 환자 중심 의학사라는 포터의 프로젝트 실현을 가로막는 개념적·방법론적 문제들을 분석한다. 우리는 ‘환자의 관점(The Patient’s View)’을 둘러싼 논쟁에 참여하여, 특히 미셸 푸코를 비롯한 포스트모던 이론가들의 영향을 논의한다. 또한, 푸코가 환자를 역사에서 지워버린 것이 반드시 정당화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This article examines existing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hallenges which frustrate the realisation of Porter’s project of a patient-centred history of medicine. We enter the debate surrounding ‘The Patient’s View’, discussing the influence of postmodern theorists, in particular Michel Foucault. We argue that Foucault’s erasure of the patient from history is not necessarily warranted.
대안적 인식론: 가다머의 해석학과 바흐친의 대화주의
우리는 환자 서사를 복원하는 역사 연구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안적 구성주의 인식론(constructivist epistemologies)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한스-게오르그 가다머(Hans-Georg Gadamer)의 해석학(hermeneutics)과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의 대화주의(dialogism)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We explore alternate constructivist epistemologies, focusing on the hermeneutics of Hans-Georg Gadamer and dialogism of Mikhail Bakhtin, which help address the historiographical challenges in recovering the patient’s view.
사례 연구: 베르됭 프로테스탄트 병원과 클로르프로마진의 도입
가다머와 바흐친의 접근법이 어떻게 환자 관점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41년부터 1956년까지 캐나다 퀘벡의 베르됭 프로테스탄트 병원(Verdun Protestant Hospital)에서 수행된 사례 연구를 분석한다. 이 병원은 1953년 하인츠 레만(Heinz Lehmann)이 북미 최초로 클로르프로마진(chlorpromazine)의 임상 시험을 수행한 장소였다. 역사학자들은 이 사건이 정신의학에서 약물 혁명을 촉발한 중요한 계기였다고 평가한다. 우리는 가다머의 해석학과 바흐친의 대화주의가 정신의학사의 이 전환기에서 환자의 관점을 조명하는 데 어떤 통찰을 제공하는지 강조한다.
To illustrate the value of Gadamerian and Bakhtinian approaches, we apply them to a case study from the Verdun Protestant Hospital (Québec, Canada) from 1941 to 1956, which sheds light on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antipsychotic, chlorpromazine, into clinical practice. The Verdun Protestant Hospital was the site of the first clinical trial of chlorpromazine in North America, conducted by Heinz Lehmann in 1953. Historians have identified this event as critical in initiating a pharmacological revolution in psychiatry. We highlight how Gadamer’s hermeneutics and Bakhtin’s dialogism together offer insights into patient perspectives at this liminal and underexplored period in the history of psychiatry.
인식적 불의(epistemic injustice)와 의료 인문학의 역할
이러한 접근법은 또한 인식적 불의(epistemic injustice)를 극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인식적 불의란 개인의 ‘앎을 지닌 자(knower)’로서의 역량을 약화시키는 불의의 한 형태로, 의료 분야에서 만연한 문제이다. 우리는 가다머와 바흐친의 이론이 역사 연구뿐만 아니라 현대 임상 실무에서도 환자의 삶의 경험을 보다 충실히 반영하는 데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며, 이를 의료 인문학의 핵심 목표로 제안한다.
These approaches may also help to counteract epistemic injustice, a form of injustice pervasive in healthcare that involves undermining an individual’s capacity as a knower. We conclude by reflecting on how these theorists might help to address epistemic injustice and better attend to the lived experiences of patients in both historical research and contemporary clinical practice, a central aim of the medical humanities.
‘아래로부터의 의학사 연구(Doing Medical History from Below)’: 포터-푸코 논쟁
포터의 논문이 발표된 지 30년이 넘었지만, 의학사에서 **「환자의 관점(The Patient’s View)」**의 중요성을 둘러싼 논쟁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로이 포터(Roy Porter, 1946–2002)**는 ‘의학 사회사의 거장(late doyen of the social history of medicine)’으로 평가받으며, 서양 의학과 정신의학의 거시적 역사에서부터 의사와 환자의 관계를 다룬 미시적 연구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학문적 기여를 남겼다. 하지만 포터는 무엇보다도 환자의 시각에서 역사를 서술하는 입장을 옹호한 학자로 기억된다. 그는 이를 **「아래로부터의 의학사 연구(Doing Medical History from Below)」**라는 개념으로 제시했으며, 이는 그의 기념비적인 논문에서 처음 등장했다.
‘Doing Medical History from Below’: the Porter-Foucault debate
Over 30 years since the publication of Porter’s article, debate persists over the significance of ‘The Patient’s View’ in the history of medicine. Porter (1946–2002), the ‘late doyen of the social history of medicine’, contributed an immense body of scholarship to the field, from sweeping histories of Western medicine and psychiatry to local accounts of doctors and patients. Nevertheless, Porter is perhaps best remembered as an advocate for writing history from the viewpoint of patients, that is, ‘Doing Medical History from Below’, which he introduced in his seminal paper.
포터의 도전: ‘의사 중심 의학사의 역사적 왜곡’
포터는 이 논문에서 **‘의사 중심의 의학 발전 서술(physician-centered account of the rise of medicine)’**이 심각한 역사적 왜곡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의료적 만남(medical encounter)은 환자와 의사 두 명이 있어야 이루어진다”**고 강조하며, 의학사가들은 병든 사람과 그들의 서사에 보다 주목해야 하며, 이들이 질병을 어떻게 경험하고 고통을 어떻게 표현했는지를 밝혀야 한다고 보았다. 기존의 의사 중심적 서술에서는 환자를 단순히 수동적인 희생자이거나 질병의 운반체로 묘사했지만, 포터는 환자를 능동적인 행위자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자들은 단순히 치료를 받는 존재가 아니라, 의료 실무자들과 협상하며 치료를 모색하는 주체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는 또한 자신의 견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판이 제기될 수 있음을 인정했다.
Porter challenged the ‘physician-centered account of the rise of medicine’, which in his view involved ‘a major historical distortion’. As he pointed out, ‘it takes two to make a medical encounter—the sick person as well as the doctor’. Porter believed that historians should pay greater attention to the sick person and their narrative, and work to uncover how they experienced illness and expressed suffering. Instead of the physician-centred portrayal of patients as passive victims or vessels of disease, patients should be understood as actors who sought out and negotiated care among medical practitioners and within institutions. Porter, however, also expressed a nagging doubt, heard through the voice of his critics:
“이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비판자들은 이렇게 주장할지도 모른다.
“우리는 오직 의사의 시선을 통해서만 환자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의료 기록과 병원 자료 외의 모든 것은 침묵하는 선사(先史)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간질(epilepsy)과 히스테리(hysteria)에 대한 훌륭한 연구들은 존재하지만, 간질 환자나 히스테리 환자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It can’t be done, critics might reply. You can only know about the sick through doctors’ eyes, their case histories and hospital records; all else is mute prehistory. That is why we have admirable histories of epilepsy and hysteria, but significantly none of epileptics or hysterics."
환자 중심 역사 서술의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
환자 중심적 역사 서술이 가능하냐는 회의론은 사회학적 연구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포터가 처음으로 이 논문을 발표했던 런던 웰컴 트러스트(Wellcome Trust) 세미나에서 의료 사회학자 **데이비드 암스트롱(David Armstrong)**은 같은 제목으로 발표를 하면서도 정반대의 입장을 제시했다. 암스트롱은 20세기 임상 진료(clinical examination)를 연구하며 **“환자의 관점이 단순히 말해진 것으로 기술되거나 고립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는 **“기본적으로 환자의 관점은 들리는 것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며, **“이러한 의미에서 환자의 관점은 사회-의료적 인식의 산물(artefact of socio-medical perception)”**이라고 주장했다.
This anticipated scepticism about the possibility of patient-centred history finds its fullest expression in the sociological literature. At the seminar series at the Wellcome Trust in London where Porter initially delivered his paper, medical sociologist David Armstrong presented a very different perspective under the same title. Armstrong, whose focus was on the clinical examination during the 20th century, arrived at the conclusion that ‘the patient’s view cannot be described or isolated simply as what is said’ because ‘fundamentally the patient’s view is bound up with what is heard’. As Armstrong asserted, ‘In this sense the patient’s view is an artefact of socio-medical perception’.
환자의 소멸과 의료 담론의 변화
암스트롱은 니콜라스 주슨(Nicholas Jewson)과 같은 의료 사회학자들의 연구를 계승했다. 주슨은 1976년 논문 **「1770–1870년 의료 우주론에서 환자의 소멸(The Disappearance of the Sick-Man from Medical Cosmology, 1770–1870)」**에서 근대 의학의 발전이 환자의 점진적인 소외(alienation) 과정이었다고 주장했다. 주슨은 의료 담론의 변화를 **‘의료 우주론(medical cosmologies)’**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며, 의학이 ‘침대 곁 의학(bedside medicine)’에서 ‘병원 의학(hospital medicine)’으로, 다시 ‘실험실 의학(laboratory medicine)’으로 변모하면서 환자는 점점 더 자신의 질병 경험에서 소외되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구조주의적(Structuralist)이며 네오-마르크스주의적(Neo-Marxist) 관점에서 의학 담론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의사들이 **‘의료 지식 생산 수단(the means of production of medical knowledge)’**을 장악했다고 주장했다.
Armstrong followed other medical sociologists such as Nicholas Jewson, who catalogued changes in sociomedical perception in his 1976 article, ‘The Disappearance of the Sick-Man from Medical Cosmology, 1770–1870’. Jewson advanced his thesis that the rise of modern medicine was characterised by progressive alienation of the patient, which he traced through changing ‘medical cosmologies’, which he identified as the conceptual structures that define medical practice and discourse. Jewson approached his study from a structuralist, neo-Marxist perspective, arguing that the disappearance of the patient occurred as doctors gained control of the means of production of medical knowledge.
푸코의 영향과 환자의 주체성
주슨의 논문은 미셸 푸코의 **「클리닉의 탄생(The Birth of the Clinic, 1963)」**과 함께 의학 지식과 환자의 주체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의 중요한 텍스트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암스트롱이 주장한 **‘환자의 관점은 사회-의료적 인식의 산물’**이라는 개념은 푸코의 사상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Jewson’s paper stands alongside Michel Foucault’s The Birth of the Clinic (1963) as a critical engagement with medical knowledge, and its power exerted over patients’ subjectivity. Indeed, Foucault’s voice echoes most strongly through Armstrong’s statement that the patient’s view is an ‘artefact of socio-medical perception’.
푸코의 ‘의학적 시선(medical gaze)’과 환자의 소멸
푸코는 **「클리닉의 탄생(The Birth of the Clinic)」**에서 지금은 널리 알려진 개념인 **‘의학적 시선(medical gaze)’**을 제시했다. 푸코에 따르면, 근대 의학의 발전은 새로운 ‘앎과 보기(ways of knowing and seeing)’의 방식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 사이에 병리 해부학(pathological anatomy)에 대한 환원주의적 초점이 강화되었고, 이와 병행하여 새로운 임상적 방법론이 등장했다. 이 새로운 임상 방법론은 질병을 탐지하는 ‘의학적 시선’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이는 환자를 주체로서가 아닌 질병의 투명한 매개체로 변환시킴으로써 사실상 ‘환자의 소멸’을 초래했다. 그러나 푸코의 연구에서 더 근본적인 함의는 근대의 ‘인문과학(human sciences)’—즉, 의학과 정신의학을 포함한 학문들이 어떻게 인간의 주체성을 구성했는가에 대한 문제였다.
In The Birth of the Clinic, Foucault put forward his now famous concept of the ‘medical gaze’. According to Foucault, the rise of modern medicine was intimately linked to new ways of knowing and seeing. Medicine’s reductionist focus on pathological anatomy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was paralleled by an epistemic shift towards a new clinical method, characterised by the ‘medical gaze’. This clinical method effectively erases the patient qua subject by rendering them into a transparent medium where disease is signified. However, the more radical implication of Foucault’s work relates to the epistemic shift in how human subjects came to understand themselves—in other words, how the ‘human sciences’ of modernity, including medicine and psychiatry, constructed human subjectivity.
총체적 기관(total institutions)과 환자 정체성의 재구성
푸코의 논지는 그가 선택한 연구 사례, 즉 근대 감옥(modern prisons)과 정신병원(asylums)에 의해 뒷받침된다. 사회학자 어빙 고프먼(Erving Goffman) 역시 이러한 기관들을 연구했으며, 다른 이론적 틀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주체성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해 푸코와 유사한 결론을 도출했다. 고프먼은 1961년 저서 **「수용소(Asylums)」**에서 정신의료 기관을 ‘총체적 기관(total institutions)’으로 규정하면서, 정신의학적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정체성이 어떻게 흡수되고 재구성되는지를 분석했다. 그는 환자의 정체성이 ‘체계적으로, 종종 의도치 않게 말살(mortified)된다’고 기술하며, 환자는 자신의 도덕적 경력(moral career)에 있어 급진적인 변화를 경험한다고 설명했다. 즉, 그들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믿음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Foucault’s thesis was borne out by his chosen examples, namely modern prisons and asylums. Sociologist Erving Goffman, who also studied these institutions, although working from distinct frameworks and scholarly lineages, arrived at similar conclusions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human subjectivity. In his 1961 essays Asylums, Goffman characterised how patient identities are subsumed and reconstructed within ‘total institutions’, as part of the aim of psychiatric treatment. He wrote of the patient, ‘his self is systematically, if often unintentionally, mortified. He begins some radical shifts in his moral career, a career composed of the progressive changes that occur in the beliefs that he has concerning himself and significant others’.
환자의 관점 복원이 불가능한가?
이러한 주체성의 구성 개념이 과거의 ‘환자의 관점’을 복원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일까? 일부 학자들은 푸코 및 기타 포스트모던 사상가들의 논의가 결국 의학 사회사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사회사학자 로저 쿠터(Roger Cooter)는 푸코가 **“이 학문 분야의 기반을 무너뜨렸다(pulled the carpet from under the subdiscipline)”**고 평가하며, 주체성이 결국 사회·역사적 지식과 권력 담론의 산물에 불과하다면, 환자의 관점을 복원하려는 시도는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본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보다 낙관적인 입장을 취한다. 플루린 콘드라우(Flurin Condrau)는 **「환자의 관점과 임상적 시선(The Patient’s View Meets the Clinical Gaze)」**에서 푸코와 쿠터의 우려가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하며, 여전히 환자의 관점을 복원할 희망이 있다고 보았다.
Does this construction of subjectivity preclude any hope of recovering the patient’s view from history? For some scholars such as social historian Roger Cooter, insights from Foucault and other postmodern thinkers spelled the end for the social history of medicine and its attempts to restore ‘The Patient’s View’ in history. According to Cooter, Foucault ‘pulled the carpet’ from under the subdiscipline by positing that subjectivity is itself a construct, joining a list of conceptual categories that can no longer be taken for granted or reconstituted outside of sociohistorical discourses of knowledge and power. However, other historians such as Flurin Condrau are less pessimistic. In Condrau’s article ‘The Patient’s View Meets the Clinical Gaze’, he maintains hope in recovering the patient’s view, arguing that Cooter’s and Foucault’s concerns are likely overstated.
방법론적 영감의 필요성
그럼에도 불구하고 콘드라우는 환자의 관점에 대한 연구가 1980년대 이후 여전히 발전하지 못한 상태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에 대한 주요 원인으로 **‘방법론적 영감(methodological inspiration)의 부족’**을 지적했다.
Still, in Condrau’s view, conceptually ‘the history of the patient’s view is as undeveloped now as it was back in the mid-1980s when it seemed that patients’ history [i.e., patient-centered history] could turn into the new paradigm for writing history of medicine’. The problem, according to Condrau, is a ‘lack of methodological inspiration’.
푸코의 이론을 넘어: 가다머와 바흐친의 가능성
콘드라우의 진단은 타당하다. 의학 및 정신의학사의 환자 관점을 조명하는 연구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방법론적 논의의 상당 부분은 여전히 푸코-포터 논쟁에 집중되어 있다. 푸코가 근대 의학과 정신의학에서 인간 주체성이 구성되는 방식을 직접 다뤘다는 점에서, 그의 영향력은 이 논쟁에서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푸코에게 환자 역사 연구의 ‘최종적인 결론(last word)’을 맡겨서는 안 된다고 본다. 환자의 역사가 푸코의 개념에 의해 완전히 삭제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콘드라우가 말한 **‘새로운 방법론적 영감’**을 통해 이 논의를 다시 활성화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한스-게오르그 가다머(Hans-Georg Gadamer)의 **해석학(hermeneutics)**과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의 **대화주의(dialogism)**에 기반한 대안적 구성주의 인식론(alternate constructivist epistemologies)을 제안한다. 우리는 이러한 접근법이 의학사 연구에서 푸코적 방법론을 넘어서는 중요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While we do not share Porter’s suspicion of ‘retrospective sociology’, or his characterisation of Foucault’s work as such, we also disagree with giving Foucault the last word on the history of patients, given that doing so may mean their erasure from the history of medicine. Rather, we propose reinvigorating this debate with, in the words of Condrau, new ‘methodological inspiration’. We suggest alternate constructivist epistemologies, inspired by the hermeneutics of Hans-Georg Gadamer and dialogism of Mikhail Bakhtin, which offer important advantages over Foucauldian methodologies in the history of medicine.
‘방법론적 영감(Methodological Inspirations)’: 가다머와 바흐친
한스-게오르그 가다머(Hans-Georg Gadamer, 1900–2002)는 해석학(Hermeneutics), 즉 해석의 철학에 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진 독일 철학자이다.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 1895–1975)은 언어 철학과 문학 이론에 중요한 기여를 한 러시아 철학자이자 문학 비평가이다. 이 두 이론가는 서로 다른 연구 분야에서 활동했지만, 공통적으로 ‘자아와 타자(self and other)의 관계’, 그리고 ‘언어와 대화를 통해 의미와 이해가 어떻게 형성되는가’라는 질문에 관심을 가졌다. 이들의 연구는 포스트모던 사상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환자 중심 역사 인식론(patient-centred historical epistemology)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우리의 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Methodological Inspirations’: Gadamer and Bakhtin
Hans-Georg Gadamer (1900–2002) was a German philosopher best known for his work on the philosophy of interpretation or hermeneutics. Mikhail Bakhtin (1895–1975) was a Russian philosopher and literary critic who made important contributions to philosophy of language and literary theory. Although these theorists worked in distinct areas, they were occupied by similar questions and their writings on these issues had far-reaching influence in postmodern thought. These authors are of particular relevance to our present question on the possibility of patient-centred historical epistemology in their shared concer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 and how meaning and understanding are achieved through language and dialogue.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Philosophical Hermeneutics)
가다머의 해석학은 서구 학문 전통에서 **‘텍스트 해석(textual interpretation)과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방법’**을 탐구해온 오랜 흐름과 연결된다. 현대 해석학은 개신교 종교개혁(Protestant Reformation)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성경의 ‘참된 의미(true meaning)’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제기했다. 이후 해석학은 법학, 역사학, 문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다. 가다머는 **「진리와 방법(Truth and Method, 1960)」**에서 이러한 해석학의 역사를 정리하며, 특히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Friedrich Schleiermacher, 18세기)와 빌헬름 딜타이(Wilhelm Dilthey, 19세기)의 기여를 추적했다. 또한 가다머는 영미권 철학자 R.G. 콜링우드(R.G. Collingwood)에게도 영향을 받았으며, 그는 영미 분석 철학과 대륙 철학의 경계를 넘나든 인물이었다.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Gadamer’s interest in hermeneutics joined a long tradition of Western scholarship concerned with textual interpretation and the proper method of grasping the meaning of a text. Modern hermeneutics was born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which articulated the problem of attaining the ‘true’ meaning of scripture. Hermeneutics, however, subsequently expanded to include interpretation of legal, historical and literary texts. Gadamer outlined this history in Truth and Method (1960), tracing the contributions of his predecessors, namely 18th-century and 19th-century hermeneutic scholars Friedrich Schleiermacher and Wilhelm Dilthey. Gadamer’s influences also expanded beyond the Continent to include British philosopher R.G. Collingwood, a figure who straddled the emerging divide between Anglo-American and Continental traditions.
하이데거의 영향과 존재론적 해석학
그러나 가다머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인물은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였다. 흥미롭게도 푸코 역시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았으나, 그 정도에 대해서는 학문적 논란이 존재한다. 하이데거는 후설(Husserl)의 초월적 현상학(transcendental phenomenology)을 발전시켜 **‘해석학적 현상학(hermeneutic phenomenology)’**을 형성했으며, 그의 대표작 **「존재와 시간(Being and Time, 1927)」**에서 인간 존재의 본질을 해석학적 방식으로 탐구했다. 하이데거에게 ‘이해(understanding)’란 우리가 **‘세계-속-존재(being-in-the-world)’**하는 방식의 본질적인 특징이다. 인간은 데카르트적(Descartes) 이원론에서 말하는 ‘비물질적 주체(disembodied subject)’가 아니라, 이미 해석된 세계 속에 ‘던져진(thrown)’ 존재로서, 우리가 만나는 사물들은 중립적인 대상이 아니라 의미와 중요성을 지닌 ‘손 안의 존재(ready-at-hand)’로 경험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해석학적 존재론(hermeneutical ontology)’ 개념은 가다머에 의해 더욱 확장되었다.
However, the decisive influence for Gadamer was Martin Heidegger—an influence which he shared with Foucault, although exactly to what extent is the subject of controversy. Hermeneutics, specifically a hermeneutic phenomenology developed from Edmund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was central to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human existence in Being and Time (1927). For Heidegger, understanding is an innate feature of our being-in-the-world. Rather than existing as disembodied Cartesian subjects interacting with neutral objects, we find ourselves ‘thrown’ into a world already interpreted, encountering objects as things imbued with meaning and significance, standing ‘ready-at-hand’ to our being. Thus, Heidegger established a hermeneutical ontology, which was taken up by Gadamer.
===
3. ‘이해’는 인간 존재의 본질이다
하이데거의 대표작 《존재와 시간(Being and Time, 1927)》에서 그는 ‘이해(understanding)’는 인간이 세상에 존재하는 방식 그 자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단순히 사물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존재가 아니라, 이미 해석된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 ‘던져짐(Thrownness)’ – 우리는 해석된 세계 속에 태어난다
하이데거는 우리가 **‘던져졌다(Thrown)’**고 표현했습니다. 무슨 뜻일까요?
- 우리는 세상에 아무런 준비 없이 태어납니다.
- 그러나 이미 이 세상은 언어, 문화, 역사 등으로 가득한 해석된 세계입니다.
- 우리는 처음부터 누군가의 자식, 학생, 시민 등 특정한 관계와 의미 속에 존재합니다.
🟢 ‘준비된 상태(Ready-at-hand)’ – 사물은 항상 의미와 함께 다가온다
우리는 세상을 ‘객관적인 사물’의 집합으로 보지 않습니다. 대신, 사물은 항상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미와 함께 다가옵니다.
- 예를 들어, 망치는 우리에게 **‘못을 박을 도구’**로 다가옵니다.
- 책상은 **‘공부하거나 작업할 공간’**으로 보입니다.
하이데거는 이런 사물의 성질을 **‘준비된 상태(Ready-at-hand)’**라고 불렀습니다. 우리는 항상 사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며 살아갑니다.
===
해석학의 보편성과 인간 과학(Geisteswissenschaften)의 문제
초기 하이데거의 사상을 통해 가다머는 **‘해석학의 보편성(universality of hermeneutics)’**이라는 관점을 형성했다. 즉, 해석학은 단순히 텍스트 해석을 위한 방법론이 아니라, **‘인간 존재를 이해하는 기본 틀’**이 된다는 것이다. 가다머는 인간 과학(Geisteswissenschaften, 인문사회과학)과 자연 과학(Naturwissenschaften, 자연과학)에서 나타나는 이해의 문제 역시 이러한 보편적 존재론의 일환으로 보았다. 이러한 해석학의 보편성 개념은 딜타이와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딜타이는 주로 **‘인문과학에서의 이해 방법론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가다머는 **‘해석학이 인간 존재 자체를 이해하는 데 있어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 전체를 여기서 다루는 것은 어렵지만, 우리의 논의와 관련된 핵심 개념들을 강조할 것이다.
From early Heidegger, Gadamer gained a view of the universality of hermeneutics—for how hermeneutics form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human existence, and how problems of understanding in the human sciences (Geisteswissenschaften) and natural sciences (Naturwissenschaften) are local instantiations of this encompassing existential problem. This universality is what makes Gadamer’s hermeneutics broader in scope than that of his predecessors, such as Dilthey, whose chief concern was developing a method for understanding in the human sciences. A full account of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is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 but we highlight a few key concepts which are relevant to our question.
====
🟠 2. 딜타이의 해석학: ‘인문과학의 방법론(Methodology for Human Sciences)’
📌 딜타이의 문제의식:
- **자연과학(Naturwissenschaften)**은 엄격한 실험과 법칙으로 세상을 설명할 수 있지만,
- **인문과학(Geisteswissenschaften)**은 **‘인간의 삶, 역사, 예술, 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직면했습니다.
📌 딜타이의 목표:
- 인문과학도 자연과학처럼 **‘체계적이고 엄밀한 방법(method)’**을 가질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 하지만, 인문과학은 자연과학과 전혀 다른 이해 방식을 가진다고 주장했습니다.
🟡 딜타이의 핵심 구분: ‘설명(Erklären)’과 ‘이해(Verstehen)’
- 자연과학(Naturwissenschaften):
- **‘설명(Erklären)’**을 통해 **인과관계(causality)**를 밝힙니다.
- 예) 물체가 떨어지는 이유는 중력 때문(법칙으로 설명).
- 인문과학(Geisteswissenschaften):
- **‘이해(Verstehen)’**를 통해 인간의 경험과 의미(meaning)를 해석합니다.
- 예)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이해하려면, 단순한 플롯 설명이 아니라 등장인물의 감정, 시대적 맥락,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이 필요합니다.
🟢 딜타이의 ‘삶의 이해(Lebensphilosophie)’와 ‘체험(Erlebnis)’ 개념:
- ‘체험(Erlebnis)’:
- 개인이 직접 경험하는 **‘살아 있는 경험(lived experience)’**입니다.
- 예) 전쟁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과, 실제로 전쟁을 겪는 것은 다릅니다.
- ‘표현(Ausdruck)’:
- 인간의 체험은 문학, 예술, 역사 기록 등의 **‘문화적 표현’**으로 남겨집니다.
- 예) 『햄릿』은 셰익스피어의 인간과 비극에 대한 체험이 표현된 것입니다.
- ‘이해(Verstehen)’:
- 이해는 이러한 ‘표현’을 통해 다른 사람의 체험 세계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 즉, 우리는 텍스트, 예술, 역사 기록을 통해 타인의 체험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딜타이의 방법론적 해석학(Methodological Hermeneutics):
딜타이는 인문과학이 체계적 학문이 되려면, ‘이해(Verstehen)’를 위한 명확한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보았습니다.
- 심리학, 역사학, 문학 분석은 모두 체험과 표현을 통해 인간의 삶을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 따라서, 그는 ‘인문과학의 이해 방법’을 만드는 것을 철학의 목표로 삼았습니다.
🟣 3. 가다머의 비판: 이해는 ‘방법론’이 아니라 ‘존재의 방식’이다
가다머는 딜타이의 ‘인문과학 방법론’에 대해 근본적인 비판을 가했습니다.
📌 ① 이해는 보편적이며, 방법으로 한정할 수 없다
- 딜타이는 이해를 ‘인문과학을 위한 방법론’으로 국한했습니다.
- 하지만 가다머는 **“이해는 인문과학뿐만 아니라, 인간 존재 그 자체의 방식”**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언제나 이해 속에서 살아간다. 대화, 관계, 관찰, 모든 것이 해석학적이다.” – 가다머
📌 ② 이해는 ‘체험’이 아니라 ‘대화와 전통’ 속에서 이루어진다
- 딜타이는 이해를 ‘개인의 체험(Erlebnis)’ 중심으로 보았습니다.
- 하지만 가다머는 ‘대화(Dialogue)’와 ‘전통(Tradition)’ 속에서 이해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했습니다.
📌 왜 개인의 체험보다 ‘대화’가 중요한가?
- 개인의 체험은 언제나 언어, 문화, 역사라는 ‘전통’ 속에 위치합니다.
- 우리는 항상 ‘과거의 해석(전통)’과 ‘현재의 질문’이 대화하며 새로운 이해를 형성합니다.
- 즉, 이해는 ‘나와 타자’의 대화 속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 ③ 이해는 ‘지평의 융합(Fusion of Horizons)’이다
- 딜타이는 ‘체험’을 통해 타인을 이해한다고 보았습니다.
- 그러나 가다머는 이해는 ‘지평의 융합(Horizontverschmelzung)’, 즉 ‘내 관점(나의 지평)’과 ‘타인의 관점(타자의 지평)’이 만나는 과정이라고 보았습니다.
예시:
- 동양 철학을 배우는 서양 학자는, 처음에는 **‘서양 철학의 선이해(Pre-understanding)’**로 동양 철학을 해석합니다.
- 그러나 대화와 연구를 통해, 동양 철학의 지평과 자신의 지평이 만나 새로운 이해가 탄생합니다.
📌 ④ 이해는 방법(Method)이 아니라 ‘존재 방식(Mode of Being)’이다
- 딜타이는 인문과학을 위한 **‘방법론적 해석학’**을 제시했지만,
- 가다머는 이해는 인간 존재(Dasein)의 근본적인 특징, 즉 **‘해석학적 존재론(Hermeneutical Ontology)’**이라고 말했습니다.
“이해는 단순한 기술이나 방법이 아니라, 인간이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 그 자체다.” – 가다머
===
결론: 해석학과 환자 중심 역사 연구의 가능성
가다머의 해석학은 환자 중심적 역사 연구(patient-centred historical epistemology)에서 새로운 방법론적 영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의 사상은 환자의 경험과 목소리를 단순한 역사적 기록의 일부로 보는 것이 아니라, 언어와 대화를 통해 형성된 해석적 과정으로 이해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음 섹션에서는 바흐친의 대화주의(dialogism)가 이러한 논의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해석학적 순환(Hermeneutic Circle)과 가다머의 이해론
가다머의 해석학에서 핵심 개념 중 하나는 **해석학적 순환(hermeneutic circle)**이다. 이는 모든 해석이 **기존의 해석(pre-existing interpretations)과 ‘선이해(fore-conceptions)’**로부터 출발하며, 이러한 선이해가 이후의 모든 해석을 반복적으로 형성한다는 개념이다. 가다머는 이 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텍스트를 이해하려는 사람은 언제나 의미를 예상하며(projection) 접근한다.
텍스트를 읽는 순간, 그는 전체적인 의미를 예상하며, 이 예상은 특정한 의미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 기대는 텍스트의 의미를 더 깊이 파악해 가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수정된다.
해석이란, 끊임없는 새로운 예상과 그것의 조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We begin with the well-known concept of the hermeneutic circle, which describes how all interpretation proceeds from pre-existing interpretations, ‘fore-conceptions’, which recursively shape all subsequent interpretations. Gadamer’s description offers an overview of his approach to textual interpretation:
“A person who is trying to understand a text is always projecting. He projects a meaning for the text as a whole as soon as some initial meaning emerges in the text. Again, the initial meaning emerges only because he is reading the text with particular expectations in regard to certain meaning. Working out this fore-projection, which is constantly revised in terms of what emerges as he penetrates into the meaning, is understanding what is there… interpretation begins with fore-conceptions that are replaced by more suitable ones. The constant process of new projection constitutes the movement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선이해(Fore-conceptions)와 편견(Prejudice)의 역할
가다머의 선이해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이 편견(prejudice) 개념이다. 그는 계몽주의 시대 이후 형성된 **‘편견에 대한 편견(prejudice against prejudice)’**을 비판하며, 편견이 반드시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conditions of understanding)**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가다머에 따르면, 인간 과학(human sciences)에서 정당한 편견은 해석자가 속한 **‘전통(tradition)’**에서 비롯될 수 있다. 이해란 전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연구의 주제를 선택하고 문제의식을 형성하는 과정 자체가 전통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자신이 편견에 지배받고 있음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은, 편견이 제공하는 빛을 통해 드러나는 것을 보지 못한다.
만약 사람이 전통과의 살아있는 관계를 스스로 단절한다면, 그는 전통의 진정한 의미를 파괴하게 된다.
전통 안에 위치한다는 것은 지식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지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Related to Gadamer’s ‘fore-conceptions’ is the notion of prejudice. Gadamer attempted to ‘rehabilitate’ prejudice from the negative connotations it acquired during the Enlightenment, which incepted a ‘prejudice against prejudice’, arguing instead that there are legitimate prejudices that guide enquiry and offer ‘conditions of understanding’. According to Gadamer, in the human sciences, legitimate prejudice can come from the ‘tradition’ in which an interpreter finds herself. Understanding in the human sciences is always ‘addressed by tradition’, which determines significanc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research, ‘in choosing the theme to be investigated, awakening the desire to investigate, gaining a new problematic’.
“A person who does not admit that he is dominated by prejudices will fail to see what manifests itself by their light… A person who reflects himself out of a living relationship to tradition destroys the true meaning of this tradition… To be situated within a tradition does not limit the freedom of knowledge but makes it possible.”
환자 중심 의학사와 생산적인 편견(Productive Prejudices)
예를 들어, 환자 중심 의학사(patient-centred history)에 대한 관심은 의학사와 의료 사회학의 살아있는 전통(living traditions) 안에서 형성될 수 있다. 포터와 푸코 모두 이러한 전통에서 중요한 기여를 한 학자들이며, 우리는 이들이 남긴 개념과 접근 방식을 바탕으로 환자의 역사에 대한 탐구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진정한 편견(true prejudices)’과 ‘잘못된 편견(false prejudices)’을 구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자신의 기존 편견을 인식하고 이를 탐구의 과정에서 검토해야 한다. 시간적 거리(temporal distance)와 새로운 전통과의 만남은 이러한 편견을 의식적으로 성찰하고 일시적으로 유보(suspend)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For example, our interest in patient-centred history can be situated within ‘living’ traditions in medical history and sociology. Porter and Foucault are both significant contributors to these traditions, and leave us with conceptions and approaches to thinking about the history of patients. Both offer productive prejudices, which inform our enquiry from the outset, as we have seen above.
One must take care to distinguish between ‘true prejudices, by which we understand’ and ‘false ones, by which we misunderstand’. To achieve this distinction, we must be made aware of our existing prejudices, allowing us to foreground them in our enquiry and temporarily suspend their validity. Temporal distance, as well as new encounters with tradition, can help to ‘provoke’ awareness and suspend prejudice.
질문(questioning)과 이해의 과정
그러나 가다머는 편견을 극복하는 핵심 방법으로 질문(questioning)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모든 판단의 보류(suspension of judgments)와 편견의 보류는 본질적으로 질문의 논리 구조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질문이 중요한 이유는, 자신의 편견을 스스로 위험에 처하게 만들면서(other’s claim to truth) 진리 탐구의 장을 열어주기 때문이다. 질문을 던짐으로써 우리는 우리의 편견을 시험하고, 대화 상대 또는 역사적 텍스트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더 깊은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
“질문의 본질은 가능성을 열어두고 그것을 유지하는 것이다.
우리의 편견은 질문을 통해 완전히 드러나며, 또한 스스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진리 주장과 마주하게 된다.”
But for Gadamer, the true key lay in ‘the question’: ‘all suspension of judgments and hence, a fortiori, of prejudices, has the logical structure of a question. The essence of the question is to open up possibilities and keep them open’.
“It is only through posing questions that ‘our own prejudice is properly brought into play by being put at risk. Only by being given full play is it able to experience the other’s claim to truth and make it possible to have full play himself’.”
🟢 1. 가다머의 해석학에서 ‘질문(The Question)’의 역할
가다머는 해석학(Hermeneutics)에서 ‘질문’을 이해의 핵심 도구로 보았습니다. 왜냐하면 질문은 우리의 편견(prejudice)을 드러내고, 타인의 관점과 대화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 ① 질문은 ‘판단 중지(Epoché)’의 구조를 가진다
- 가다머는 **‘판단 중지(Epoché, suspension of judgment)’**가 단순히 판단을 멈추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질문(questioning)’의 논리 구조를 가진다고 말합니다.
- 질문은 판단을 잠시 보류하고, 열린 마음으로 여러 가능성을 탐구하는 행위입니다.“The essence of the question is to open up possibilities and keep them open.”
(질문의 본질은 다양한 가능성을 열고, 그 가능성을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 예시:
- 우리가 역사 속 한 사건(예: 한국전쟁)을 이해할 때,
- “이 전쟁은 단순한 남북 대립이었는가?”라고 질문하면,
- 냉전, 국제 정치, 민중의 경험 등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이 열립니다.
- 질문은 기존의 단편적인 시각(편견)을 멈추고, 열린 시각으로 다양한 관점을 탐구하게 만듭니다.
📌 ② 질문은 ‘편견(Prejudice)’을 드러내고 시험한다
- 가다머는 **편견(Prejudice)**을 이해의 ‘걸림돌’이 아니라 ‘출발점’이라고 보았습니다.
- 그러나 중요한 것은 편견을 무조건 따르는 것이 아니라, ‘질문’을 통해 그 편견을 시험하는 것입니다.“It is only through posing questions that our own prejudice is properly brought into play by being put at risk.”
(질문을 던질 때에만 우리의 편견은 드러나고, 시험대에 오른다.)
📌 예시:
- 한 학생이 “‘서양 철학은 동양 철학보다 논리적이다’”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면,
- 그 학생이 “왜 서양 철학은 논리적이고, 동양 철학은 그렇지 않다고 느낄까?”라고 질문할 때,
- 자신이 서양 철학의 교육만 받아왔거나, 동양 철학을 단편적으로 이해했을 가능성을 자신의 편견 속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질문은 자신의 편견을 드러내고, 그 편견을 타인의 시각(다른 철학 전통)과 충돌시켜 시험합니다.
📌 ③ 질문은 ‘지평의 융합(Fusion of Horizons)’을 가능하게 한다
- 가다머는 이해를 **‘나의 지평(Horizon)’과 ‘타인의 지평’이 융합되는 과정(Fusion of Horizons)**이라고 보았습니다.
- 질문은 이 두 지평이 만나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Only by being given full play is it able to experience the other’s claim to truth and make it possible to have full play himself.”
(편견은 질문을 통해 타인의 진실 주장에 부딪히며, 스스로도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경험하게 된다.)
📌 예시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대화):
- 서양철학자: “지식은 명확한 논리와 증거에서 나온다.”
- 동양철학자: “지식은 관계성과 조화를 통해 드러난다.”
- 두 사람은 처음에는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지만, “논리와 조화는 대립되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각자의 입장을 탐구하며,
- 서양철학자는 관계성과 직관의 중요성을 이해하게 되고,
- 동양철학자는 논리적 설명의 가치를 인정하게 됩니다.
- 질문은 두 지평을 열어주며, 결국 새로운 융합된 이해를 창출합니다.
📝 8. 정리: 가다머의 ‘질문’이 해석학의 핵심인 이유
질문의 본질 | 질문은 판단을 중지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열며 열린 해석을 유도한다. |
질문과 편견 | 질문은 우리의 편견을 드러내고 시험하며, 그 편견을 통해 타자의 진실을 이해하게 한다. |
질문과 지평의 융합 | 질문은 ‘나’와 ‘타자’의 지평을 연결해 새로운 통찰을 창출한다. |
질문의 철학적 의미 | 질문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이해 그 자체의 구조’이며 인간 존재 방식이다. |
해석학적 상황과 지평 융합(Fusion of Horizons)
가다머는 해석자가 가진 **선이해(fore-conceptions), 편견(prejudices), 그리고 그가 속한 전통(tradition)**이 **‘지평(horizon)’**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해석학적 상황을 이해하는 과정이란, 올바른 탐구의 지평(right horizon of inquiry)을 획득하는 과정이다.
이해란 고립된 개인이 혼자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other)’—즉, 역사적 텍스트나 대화 상대—와의 지평 융합(fusion of horizons)**을 통해 이루어진다. 중요한 것은, 이 융합이 하나의 고정된 해석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열려 있는 대화적(dialogic) 과정이라는 점이다.
For Gadamer, fore-conceptions, prejudices and the tradition of the interpreter constitute a ‘horizon’, and ‘working out the hermeneutical situation means acquiring the right horizon of inquiry’. An interpreter reaches understanding by bringing her horizon into contact with the other—be it a historical text or a partner in conversation—effecting a ‘fusion of horizons’.
“The result of this fusion is not a single, static horizon, resulting in identity between the interpreter and the text. Rather this fusion describes an open-ended, dialogic movement, proceeding through a series of questions and answers.”
결론: 해석학과 환자 역사 연구
가다머의 해석학은 환자 중심 의학사 연구에서 기존의 방법론적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편견을 인식하고 질문을 통해 그것을 극복하며, 역사적 텍스트와 대화하면서 ‘지평 융합’을 통해 이해를 확장하는 과정은 의학사 연구에서 환자의 경험을 복원하는 데 있어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질문을 통한 개방성과 인식적 겸허(Epistemic Humility)
가다머의 해석학에서 **질문을 던지는 행위(questioning)**는 해석의 개방성을 만들어내며, 이는 필연적으로 **인식적 겸허(epistemic humility)**를 요구한다. 즉, 해석은 결코 최종적이거나 완결될 수 없으며, 항상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둔 채 진행된다는 것이다. 해석자와 ‘타자(the other)’ 사이의 관계는 단순한 주체-객체(subject-object) 관계가 아니다. 자연과학(그리고 일부 사회과학)에서 볼 수 있는 예측과 통제를 목표로 하는 도구적 관계는 해석학적 경험의 본질을 단순화시키고 왜곡한다. 가다머는 이러한 접근 방식이 **“해석학적 경험의 본질을 납작하게(flatten out) 만든다”**고 비판했다.
“타자를 단순한 ‘인간(person)’으로 인정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만약 해석자가 자기 중심적 태도를 유지한 채 타자를 ‘완전히 파악할 수 있는 도구(tool that can be absolutely known and used)’로 본다면, 이는 잘못된 변증법적 관계(false dialectical appearance)를 형성하게 된다.
즉, 타자를 ‘안다고 주장’하는 순간, 우리는 타자의 진리 주장(claims of truth)의 정당성을 빼앗아 버리게 되는 것이다.”
The openness created by asking questions necessitates epistemic humility and the recognition that interpretation is never final or comple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preter and the other is not a subject–object relationship, whereby the object is treated as a means to an end, with the goal of prediction and control. For Gadamer, the subject–object model as exemplified by the natural sciences (and aspired to by some social sciences disciplines) ‘flattens out the nature of the hermeneutical experience’. Moreover, it is not sufficient for an interpreter to simply acknowledge the other as ‘a person’ while still retaining a ‘self-regard’, whereby the other is seen as a ‘tool that can be absolutely known and used’. Gadamer argued that this disposition towards the other results in a ‘false dialectical appearance’, which ‘by claiming to know [the other], one robs his claims of their legitimacy’.
‘나-너(I-Thou)’ 관계와 해석학적 경험
가다머는 **해석학적 경험(hermeneutic experience)**이 가능하려면, 해석자는 ‘너(Thou)’에 대한 진정한 개방성을 가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마르틴 부버(Martin Buber)의 ‘나-너(I-Thou) 관계’ 개념과 유사하다.
**“인간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너(Thou)’를 진정으로 경험하는 것이다.
즉, 그의 진리 주장(claim)을 간과하지 않고, 그가 우리에게 정말로 무언가를 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개방성이 필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서로에게 개방되지 않는다면, 진정한 인간적 유대(genuine human bond)는 존재할 수 없다.
함께 속해 있다는 것(belonging together)은 곧 서로를 들을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두 사람이 서로를 이해한다는 것은 한 사람이 단순히 ‘다른 사람을 이해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타자에 대한 개방성이란, **“나 자신이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것조차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I-Thou’ relationship needed for hermeneutic experience requires authentic openness on the part of the interpreter towards the other, ‘Thou’. As Gadamer wrote:
“In human relations, the important thing is… to experience the Thou truly as a Thou—i.e., not to overlook his claim but to let him really say something to us. Here is where openness belongs… Without such openness to one another there is no genuine human bond. Belonging together always means being able to listen to one another. When two people understand each other this does not mean that one person ‘understands’ the other… Openness to the other, then, involves recognizing that I myself must accept some things that are against me, even though no one else forces me to do so.”
대화(Dialogue)와 이해의 변형(Transformation)
대화(dialogue)는 가다머 해석학의 핵심 모델이며, 진정한 경청(genuine listening)과 상호 개방성을 통해 이해가 형성된다. 가다머에게 있어서 이해란 단순히 자기 주장을 내세워 성공적으로 설득하는 과정이 아니다. 오히려, 이해란 대화 속에서 이루어지는 ‘변형(transformation)’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더 이상 예전의 자기 자신으로 남아 있지 않게 된다.
“대화에서 이해에 도달한다는 것은 단순히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는 것이 아니다.
이해란 대화 속에서 ‘공동체(communion)’로 변화하는 과정이며, 우리는 더 이상 예전의 모습 그대로 남아 있지 않게 된다.”
Dialogue, with genuine listening between partners, serves as the model for Gadamer’s hermeneutics, highlighting how understanding is reached through maintaining openness—openness to possibility, fallibility and personal transformation:
“To reach an understanding in a dialogue is not merely a matter of putting oneself forward and successfully asserting one’s point of view, but being transformed into a communion in which we do not remain what we were.”
환자의 관점을 역사 속에서 복원할 수 있는가?
이러한 가다머의 사상이 의학사에서 환자의 관점을 복원하는 문제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 푸코가 주장한 바와 같이, 환자의 경험은 역사적 지식과 권력의 담론에 의해 구성되었으며, 단순히 ‘발굴(retrieval)’될 수 있는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하지만 가다머의 해석학적 접근법을 따르면, 우리는 환자의 관점을 정적인 역사적 사실로 복원하려 하기보다, 해석과 대화를 통해 새롭게 조명할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다. 그러나 가다머의 논의만으로 충분할까? 우리는 여기에 미하일 바흐친(Mikhail Bakhtin)의 개념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바흐친의 이론은 가다머의 사상과 공명하면서도, 새로운 개념을 제공함으로써 우리의 분석을 더욱 심화할 수 있다.
“우리는 가다머와 바흐친의 사상을 심층적으로 비교할 공간이 부족하지만,
이 두 사상가가 공유하는 개념적 접점(points of contact)을 논의하며
환자의 역사 연구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식을 설명하고자 한다.”
How do these ideas help us with restoring the patient’s view to the history of medicine? Before we attempt to answer this question, we wish to discuss further insights offered by Bakhtin that resonate with Gadamer’s thought but also add new concepts relevant to our analysis. We do not have space for an in-depth comparative study of these two thinkers but will mention a few points of contact between Gadamer and Bakhtin which inform our approach to the history of patients.
결론: 가다머의 해석학과 환자 중심 역사 연구
가다머의 해석학은 단순한 역사적 재현을 넘어서, 환자의 경험을 해석학적 대화 속에서 복원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 해석학적 순환(hermeneutic circle)은 역사 해석이 단절된 과거의 사실이 아니라, 끊임없이 수정되는 과정임을 보여준다.
- 편견(prejudice)은 배척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생산적인 조건이 될 수 있다.
- 질문(questioning)과 대화(dialogue)는 역사 속에서 환자의 경험을 새롭게 구성하는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
- 해석은 타자의 관점을 듣고, 그 주장에 대한 정당성을 인정하는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바흐친의 대화주의(dialogism)가 환자 중심 역사 연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바흐친의 대화주의(Dialogism)
가다머의 논의를 따라온 독자라면, 바흐친의 사상과 가다머 사이의 유사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유사성은 바흐친이 가다머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기보다는, 20세기 초 서구 철학이 공유했던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카테리나 클라크(Katerina Clark)와 마이클 홀퀴스트(Michael Holquist)는 바흐친의 개념들이 하이데거의 사상과 유사하다고 지적했으며, 바흐친은 장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에마뉘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와 같은 실존주의 및 현상학 사상가들과 비교되기도 한다.
For readers already familiar with Bakhtin’s work, several similarities with Gadamer will have become apparent from our above discussion. Note that these similarities are more likely reflective of the shared set of philosophical problems which preoccupied Western philosophy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rather than any direct influence. In their biography of Bakhtin, Katerina Clark and Michael Holquist draw parallels between concepts employed by Bakhtin and those found in Heidegger, and Bakhtin’s work has been compared alongside other existentialist and phenomenologist thinkers such as Jean-Paul Sartre, Maurice Merleau-Ponty, and Emmanuel Levinas.
주체성과 ‘타자와의 관계’에 대한 초기 연구
바흐친은 초기 저작에서 주체성과 타자(self and other)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행위의 철학을 향하여(Toward a Philosophy of the Act, 1919–1921)」**와 **「미적 활동에서의 작가와 영웅(Author and Hero in Aesthetic Activity, 1920–1923)」**에서 그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었다. 이후 바흐친은 도스토옙스키 문학을 분석한 **「도스토옙스키 시학의 문제(Problems of Dostoevsky’s Poetics, 1929)」**와 **「라블레와 그의 세계(Rabelais and His World, 1965)」**를 통해 보다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클라크와 홀퀴스트는 주체성과 타자의 관계에 대한 탐구가 바흐친의 ‘대화주의(dialogism)’ 개념을 발전시키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
Bakhtin’s early writings on subjectiv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 which include Toward a Philosophy of the Act (1919–1921) and Author and Hero in Aesthetic Activity (1920–1923), appeared in English translation more recently than his later and better known books on literary criticism, such as Problems of Dostoevsky’s Poetics (1929) and Rabelais and His World (1965). Clark and Holquist view Bakhtin’s concern with the subject and its relation to the other as the central question which informed his development of ‘dialogism’ and other influential concepts for which he is remembered today.
💡 요약
- 대화주의(Dialogism): 언어와 의미는 자아와 타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
- 자아와 타자: 자아는 타자의 관점을 통해서만 자신을 이해할 수 있다.
- 다성성(Polyphony): 다양한 목소리가 독립적으로 공존하며, 단일한 진리가 아닌 다원성을 드러낸다.
- 카니발레스크(Carnivalesque): 권위와 질서를 전복하는 유희적이고 집단적인 대화 공간이다.
포스트모던 사상에서 바흐친의 주체성 개념
최근 연구들은 바흐친의 주체성 개념이 포스트모던 사상에서 ‘주체의 소멸(demise of the subject)’ 문제에 대한 응답이 될 수 있다고 해석한다. 다프나 에르디나스트-불칸(Daphna Erdinast-Vulcan)은 바흐친의 주체 개념이 역사적으로 구체적일 뿐만 아니라 매우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한다. 이는 우리가 ‘의학사에서 환자의 소멸(disappearance of the patient)’ 문제를 다루는 방식과도 유사하다. 즉, 환자를 단순한 역사적 객체가 아니라 개인적으로 경험하는 주체로 조명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More recent scholarship on Bakhtin’s view of subjectivity has become part of productive conversations with other 20th-century Continental philosophers. For instance, Daphna Erdinast-Vulcan sees Bakhtin’s work on subjectivity as offering a response to the ‘demise of the subject’ in postmodernity, an issue which parallels our problem of the ‘disappearance of the patient’ in the history of medicine. In her view, Bakhtin presented a subject that is ‘not only historically and concretely relevant but also acutely personal’.
주체성과 관계성: 구체적이고 역사적으로 위치한 주체
바흐친의 주체성 연구는 데카르트적(epistemology and metaphysics) 인식론과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다. 데카르트적 전통은 보편적 개념과 법칙을 구축하려 하지만, 바흐친은 **“구체적이고 역사적으로 위치한, 그리고 완전히 신체화된 주체(fully embodied subject)”**를 출발점으로 삼았다. 이는 후설(Husserl)의 현상학적 분석과 유사한 측면이 있지만, 바흐친은 **‘주체성이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는 독창적인 개념을 발전시켰다. 바흐친에 따르면, 주체는 단일한 정체성을 지닌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운동이 만나는 지점(meeting of two movements)’에서 형성된다.
Bakhtin’s analysis of subjectivity began with an expression of dissatisfaction with Cartesian epistemology and metaphysics and its focus on ‘constructing universal concepts, propositions and laws’. Rather, Bakhtin preferred to focus on ‘the experience of the concrete, historically situated and fully embodied subject as [his] point of departure’. As we have seen above, a similar sentiment motivate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Gadamer’s predecessors, such as Husserl. However, Bakhtin’s response to this problem and the concepts he developed to describe human subjectivity are highly original. Bakhtin’s characterisation of this concrete, situated, embodied subject is relational, formed by ‘a meeting of two movements’.
📌 4. 주체성은 두 운동의 만남에서 형성된다 (A Meeting of Two Movements)
바흐친은 주체성을 단순한 개인 내부의 자아가 아닌, ‘두 운동의 만남(a meeting of two movements)’에서 형성되는 관계적 현상으로 보았습니다.
두 운동이란 무엇인가?
- 내적 운동: 개인이 자신의 삶과 경험 속에서 가지는 자아의 목소리(자기성, selfhood)
- 외적 운동: 타자, 사회, 역사, 문화 등 외부 세계의 목소리(otherness)
이 두 운동은 **대화(dialogue)**를 통해 충돌하거나 공명하며, 이를 통해 주체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재구성되는 열린 존재가 됩니다.
📌 5. 바흐친의 주체성 개념의 독창성
- 바흐친의 주체는 **‘관계 속에서만 존재하는 자아’(Self-in-relation-to-others)**입니다.
- 주체는 타자의 응시, 목소리, 반응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며, 이는 단순한 타자성(otherness) 개념을 넘어서는 **상호주체성(inter-subjectivity)**을 의미합니다.
- 주체는 고정된 정체성을 가지지 않으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process) 속에 존재합니다.
💡 요약
- 바흐친은 주체성을 **‘대화적이고 관계적인 존재’**로 정의하며, 이는 타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끊임없이 형성됩니다.
- 그는 데카르트의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자아 개념을 비판하며, 구체적이고 역사적이며 몸을 가진 주체에 주목했습니다.
- 주체는 자아와 타자의 두 운동이 만나는 공간에서 생성되며, 끊임없는 대화 속에서 변화하는 열린 존재입니다.
- 이러한 바흐친의 주체성 개념은 의학, 교육,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계와 맥락 속의 인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구심력과 원심력: 언어와 문화의 긴장 관계
바흐친은 현대 물리학의 개념을 차용하여 ‘구심력(centripetal forces)’과 ‘원심력(centrifugal forces)’이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 구심력(centripetal forces): 차이를 제거하고 언어적·문화적 통합을 이루려는 힘
- 원심력(centrifugal forces): 이러한 통합을 거부하고 다양성과 개별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힘
바흐친에 따르면, 모든 발화는 **이 두 가지 힘이 동시에 작용하는 장(場, field)**이다.
“구심력은 언어적·이데올로기적 통합과 중앙집권화를 향해 나아가며, 이는 사회정치적·문화적 중앙집권화 과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반면 원심력은 탈중앙화와 분열을 생성한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바흐친은 **‘이질성(heteroglossia)’**이라는 개념을 도출했다. 이는 사회 속에서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하며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가다머의 ‘지평 융합(fusion of horizons)’ 개념과도 연결될 수 있다.
Bakhtin borrowed these terms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rom contemporary physics. Centripetal forces, which are directed towards the centre, describe the processes that eliminate difference to generate linguistic and cultural unity. These centripetal forces are counteracted by centrifugal forces, which pull away from the centre, defying the imposed linguistic and cultural unity to allow for diversity and individual expression.
“Centripetal forces work ‘toward concrete verbal and ideological unification and centralization, which develop in vital connection with the processes of sociopolitical and cultural centralization’. Centrifugal forces, by contrast, generate ‘decentralization and disunification’. For Bakhtin, ‘every concrete utterance of a speaking subject serves as a point where centrifugal as well as centripetal forces are brought to bear’.”
📌 1. Heteroglossia라는 용어의 의미
- **‘Hetero’(다양한, 다른) + ‘glossia’(언어, 목소리)**의 결합어
- 직역하면 **‘다양한 목소리들’ 또는 ‘다중언어성’**이라는 뜻입니다.
- 이는 단순한 다중 언어나 방언이 아니라, 서로 다른 사회적 관점, 가치관, 이데올로기가 언어 속에 뒤섞여 공존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 2. Heteroglossia의 배경: 언어에 대한 바흐친의 관점
- 바흐친은 언어를 단순히 개인의 사적 도구가 아닌, 사회적이고 관계적인 현상으로 보았습니다.
- 언어는 언제나 타인과의 대화 속에서 의미를 갖게 되며, 사회적 맥락과 역사적 경험에 따라 다르게 해석됩니다.
- 언어는 ‘단일한 목소리(monoglossia)’가 아니라, 언제나 ‘다양한 목소리(heteroglossia)’가 공존하는 장입니다.
📌 3. Heteroglossia의 특징
1) 언어의 사회성
- 언어는 언제나 특정 사회 집단의 가치와 세계관을 담고 있습니다.
예) 학생의 언어, 학자의 언어, 정치인의 언어, SNS의 언어 등은 각각 다른 사회적 맥락을 반영합니다.
2) 다성성(Polyphony)과의 관계
- **다성성(polyphony)**은 주로 문학 작품 속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독립성을 가지고 충돌하거나 공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Heteroglossia는 언어 자체가 다성성을 담고 있으며, 작품 속에서 다양한 사회적 언어들이 서로 교차하며 충돌하는 현상을 포함합니다.
3) 언어의 이데올로기성
-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도구가 아니라, 사회적 권력과 이데올로기가 담긴 매개체입니다.
예) ‘자유’, ‘평등’ 같은 단어도 시대와 사회적 관점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결론: 바흐친의 대화주의와 환자의 역사
바흐친의 개념들은 의학사에서 환자의 관점을 복원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의 ‘대화주의(dialogism)’ 개념을 통해, 우리는 환자의 경험이 단일한 역사적 담론 속에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목소리들이 공존하고 상호작용하는 장에서 형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우리는 바흐친과 가다머의 사상을 결합하여 환자 중심 역사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적 틀을 제안하고자 한다.
바흐친의 관계적 주체(Relational Subject)와 불완결성(Unfinalizability)
바흐친의 관계적 주체(relational subject)는 구심력(centripetal forces)과 원심력(centrifugal forces)의 대립 속에서 공동으로 형성(co-constituted)되는 존재이다. 이는 인식론적, 현상학적 분석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바흐친은 특히 인간의 시각적 지각(vision perception)을 비유로 사용하여 주체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설명했다. 그는 **“인간의 지각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체는 ‘타자(the other)’의 시선을 통합하지 않고서는 자신의 온전한 정체성을 구성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나-자신을 위한 나(I-for-myself)’는 항상 불완전하며, ‘타자를 위한 나(I-for-the-other)’와 함께 존재할 수밖에 없다.
“열려 있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것은 좋은 것이다.
이는 나의 독창성과 분리될 수 없으며, 나의 존재 특권과도 분리될 수 없다.
그러나 나의 독창적인 변화, 즉 ‘나-자신을 위한 나’는 항상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
자기 자신을 인식하려면, 이를 고정할 수 있는 범주(categories)가 필요하며, 이러한 범주는 오직 타자로부터 받을 수 있다.
즉, 내가 타자를 완성할 때, 또는 타자가 나를 완성할 때, 우리는 서로 ‘지각 가능한 자아(the perceptible self)’를 교환하게 된다.”
Bakhtin’s relational subject, co-constituted by opposing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orces, stems from his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perception. Bakhtin argued that, given the limitations of human perception (using vision as an analogy), the subject is unable to construct a complete representation of herself without integrating perceptions of ‘the other’. In other words, the ‘I-for-myself’ mode of existence is incomplete, and is always accompanied by the ‘I-for-the-other’.
“To be open, becoming is a good thing; it is inseparable from my privilege in existence because it is inseparable from the uniqueness of myself. But as unique becoming, my I-for–myself, is always invisible. In order to perceive the self, it must find expression in categories that can fix it, and these I only get from the other. So that when I complete the other, or when the other completes me, she and I are actually exchanging the gift of the perceptible self.”
📌 1. 구심력과 원심력: 주체성과 타자성의 두 힘
- 구심력(Centripetal force):
- 주체를 하나의 정체성으로 통합하려는 힘입니다.
- 예)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나 자신을 이해하려는 노력입니다.
- 원심력(Centrifugal force):
- 주체를 다양한 관점으로 확산시키는 힘입니다.
- 예) 타자(다른 사람)의 시선을 통해 나 자신을 바라보게 되는 과정입니다.
이 두 힘은 서로 대립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함께 작용하며 주체성을 형성합니다. 바흐친은 이러한 **상반된 힘의 관계 속에서 주체가 ‘관계적 존재’**로 탄생한다고 말합니다.
📌 2. 주체성은 타자를 통해서만 완성된다 (‘I-for-myself’와 ‘I-for-the-other’)
바흐친은 주체성을 설명하기 위해 ‘시각(vision)’을 비유로 사용했습니다.
📍 시각(vision) 비유: 내가 나 자신을 볼 수 없는 이유
- 우리는 자기 자신의 얼굴을 직접 볼 수 없습니다. 거울이나 사진을 통해서만 볼 수 있죠.
- 마찬가지로, 자아(‘I-for-myself’)는 자기 자신만으로는 완전해질 수 없습니다.
- 우리는 타자(‘the other’)가 보는 나(‘I-for-the-other’)를 통해 나 자신을 이해하게 됩니다.
📍 ‘I-for-myself’와 ‘I-for-the-other’의 차이
- ‘I-for-myself’(내가 나를 보는 나):
- 나 자신이 느끼는 내면적인 자아입니다.
- 하지만 이 자아는 항상 부분적이고 불완전합니다.
- ‘I-for-the-other’(타자가 보는 나):
- 타자가 바라보는 외부적이고 사회적인 자아입니다.
- 타자는 내가 보지 못하는 나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3. 주체성과 타자성: 서로 주고받는 선물 (The Gift of the Perceptible Self)
바흐친은 주체성과 타자성이 **‘서로 선물을 주고받는 과정’(exchange of gifts)**이라고 묘사했습니다.
💡 이해하기 쉽게 풀어보면:
- 나는 타자의 시선을 통해 내 모습을 보고, 타자는 내 시선을 통해 자기 자신을 봅니다.
- 서로의 인식과 해석을 주고받으며, 우리는 각자의 자아를 더 명확하게 이해하게 됩니다.
- 나와 타자는 서로에게 ‘내가 볼 수 없는 나’를 보여주는 선물을 주는 것입니다.
주체성의 불완결성(Unfinalizability)과 창조적 가능성
바흐친에 따르면, **‘타자의 저자적 시선(authorial gaze)’**은 주체의 정의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며, 이는 질서와 통일성을 지향하는 **구심력(centripetal force)**을 작동시킨다. 그러나 주체는 ‘나-자신을 위한 나(I-for-myself)’와 ‘타자를 위한 나(I-for-the-other)’를 함께 필요로 하며, 완결될 수 없는 본질적 불완결성(unfinalizability)을 지닌다. 이 불완결성이야말로 주체가 외부의 질서와 동화를 강요하는 구심력에 저항하고, 원심력을 통해 개별성과 창조적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핵심 조건이 된다. 바흐친은 **‘불완결성’**을 미적(aesthetic)·도덕적(moral) 가치로 간주했다. 그는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속 인물들, 예를 들어 **「죄와 벌(Crime and Punishment)」의 라스콜리니코프(Raskolnikov)**나 **「카라마조프의 형제들(The Brothers Karamazov)」의 이반(Ivan Karamazov)**이 이러한 불완결성을 가장 잘 보여준다고 보았다.
“이러한 인물들은 사회적·문화적 구심력에 의해 대상화(reification)되지 않고,
내부로부터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하며,
외부에서 부여된 최종적 정의를 무효화할 수 있는 힘을 지닌다.”
The subject’s incompleteness—or ‘unfinalizability’—is what embodies the generative centrifugal forces to counteract the centripetal pressures of order and conformity from without. Bakhtin placed both aesthetic and moral value on the ‘unfinalizability’ of the subject. For Bakhtin, the heroes in Dostoevsky’s novels, such as Raskolnikov in Crime and Punishment (1866) or Ivan Karamazov in The Brothers Karamazov (1880), best capture this unfinalisability—they resist reification by sociocultural centripetal forces, retaining a ‘capacity to outgrow, as it were, from within and to render untrue any externalizing and finalizing definition of them’.”
📌 6. 바흐친이 불완결성을 미적·도덕적 가치로 본 이유
- 미적(Aesthetic) 가치:
- 예술은 항상 열린 결말과 해석의 여지를 가질 때 더 큰 울림을 줍니다.
- 열린 결말의 영화나 소설이 더 오래 기억에 남는 것처럼,
- 인간의 자아도 끝없이 변하고 열려 있을 때 아름답습니다.
- 예술은 항상 열린 결말과 해석의 여지를 가질 때 더 큰 울림을 줍니다.
- 도덕적(Moral) 가치:
- 불완결성은 사람에게 변화와 성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 “나는 이런 사람이니까 어쩔 수 없어”가 아니라,
- “나는 언제든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어”라는 열린 태도를 갖게 합니다.
- 또한, 타인을 바라볼 때도 **‘이 사람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고, 앞으로 변할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지게 합니다.
- → 편견 없이 타인을 이해하고, 변화할 기회를 주는 것이 도덕적 태도입니다.
- 불완결성은 사람에게 변화와 성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대화(Dialogue)와 주체의 형성
바흐친은 **‘대화(dialogue)’**를 주체성 형성의 핵심 과정으로 보았다. 주체는 언어를 통해 타자와 대화하며 자신을 구성하는 존재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구심력과 원심력이 끊임없이 상호작용한다. 이러한 대화는 ‘문턱 위에서(poised on the threshold)’ 이루어진다. 즉, 주체는 자신의 생각과 타자의 생각이 교차하는 경계에서 살아가며, 타자의 의식과 끊임없는 긴장 속에서 존재한다.
“대화란 ‘문턱 위에서’ 존재하는 것이다.
대화는 다른 사람의 생각과 의식의 경계에서, 긴장된 삶을 살아간다.”
A subject’s unfinalisability is manifested in language—more specifically, through dialogue, whic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other. In this sense, dialogue is ‘poised on the threshold’, and ‘lives a tense life on the borders of someone else’s thought, someone else’s consciousness’.
이러한 바흐친의 개념은 가다머의 해석학보다 더 강한 대화적 요소를 포함한다. 즉, 바흐친은 단순히 텍스트와의 해석적 만남을 넘어, 언어적·사회적 관계 속에서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강조했다.
📌 8. 요약: 바흐친의 주체성과 불완결성
- ‘타자의 시선(authorial gaze)’은 나에게 정체성을 부여하지만, 동시에 나를 고정하려는 구심력으로 작동합니다.
- 주체는 ‘I-for-myself’(내가 보는 나)와 ‘I-for-the-other’(타자가 보는 나) 사이에서 항상 불완결한 상태에 있습니다.
- 이 불완결성은 구심력에 저항하며, 원심력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 바흐친은 불완결성을 미적·도덕적 가치로 보았습니다.
- 미적 가치: 열려 있는 인간 존재의 아름다움
- 도덕적 가치: 타인과 자신에게 변화와 성장을 인정하는 태도
대화와 일방적 담론(Monologue)의 대립
바흐친은 **‘열린, 불완결된 대화(open-ended, unfinalised dialogue)’**와 **‘체계적이고 최종적으로 결정된 독백(monologue)’**을 대조했다. 그는 ‘일방적인, 완결된 담론’(monologic representations)이 주체를 객체화하여, 주체의 다양한 목소리를 억압한다고 경고했다.
“철학적 일원론(philosophical monologism)의 환경에서는,
진정한 의식의 상호작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진정한 대화 또한 불가능하다.”
이러한 **‘일방적 담론’**은 사회적·문화적 구심력에 의해 형성되며, 이는 주체에게 최종적 정의를 부여하려 한다. 바흐친은 이러한 담론이 **‘너는 여기에서 완전히 정의되었으며, 더 이상 너에 대해 말할 것이 없다(all of you is here, there is nothing more in you, and nothing more to be said about you)’**라고 선언한다고 비판했다.
Bakhtin contrasted open-ended, unfinalised dialogue with monologue, which is systematic and finalised, the product of an overzealous, ideological authorial gaze which transforms the subject into a ‘voiceless object of that deduction’. Blurring the distinction between aesthetics and ethics, Bakhtin warned that ‘In an environment of philosophical monologism the genuine interaction of consciousness is impossible, and thus genuine dialogue is impossible as well’. Unbridled centripetal forces engender monologic representations that finalise the subject, proclaiming: ‘all of you is here, there is nothing more in you, and nothing more to be said about you’.”
결론: 바흐친의 대화주의와 환자의 역사
바흐친의 개념들은 환자 중심 의학사(patient-centred history of medicine)를 재구성하는 데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 환자는 단일한 역사적 담론에서 지워지는 존재가 아니라, 끊임없이 변형되는 불완결한 주체이다.
- 환자의 경험은 단일한 시선(authorial gaze)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목소리 속에서 구성되는 ‘이질적 담론(heteroglossia)’**이다.
- 환자의 관점을 복원하는 과정은, **타자의 목소리를 듣고 대화하는 해석학적 실천(dialogic hermeneutic practice)**이 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가다머와 바흐친의 사상을 결합하여, 환자의 목소리를 역사 속에서 복원하는 새로운 방법론적 틀을 제안할 것이다.
바흐친의 독백과 대화의 구분, 그리고 주체의 미완결성에 대한 그의 강조는 사회과학 연구에 영향을 미쳐왔다. 아서 프랭크는 이러한 개념을 대화적 내러티브 분석 방법론에 적용하였다. 프랭크의 접근법은 연구 실천을 통해 연구 대상의 모든 중요한 측면을 열거하여 사람들의 목소리를 침묵시키는 사회과학의 경향을 극복한다. 반면, 대화적 내러티브 분석은 연구 참여자를 확정짓지 않고 연구자와 대상 간의 다성적 대화를 열린 자세로 듣는 것을 전제로 한다. 바흐친의 개념을 적용한 프랭크의 연구는 환자의 내러티브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며, 이는 환자 중심의 역사를 서술하려는 우리의 연구에 도움을 준다.
Bakhtin’s distinction between monologue and dialogue, and his emphasis on unfinalisability of the subject, have informed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 Arthur Frank applies these concepts in his methodology of dialogic narrative analysis. Frank’s approach overcomes a tendency in the social sciences towards finalising subjects through research practice that ‘silences people with its enumeration of all that is significant about them’. By contrast, dialogic narrative analysis is premised on the injunction not to finalise research participants, but rather to listen openly to the polyphonic dialogues which construct meaning and understanding between researcher and subject. Frank’s application of Bakhtin’s ideas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thinking about patient narratives, which are helpful for our project of writing patient-centred history.
프랭크와 바흐친이 우려하는 ‘확정화’ 문제는 의료 역사에서 환자의 정체성이 재구성되는 방식에 대해 역사학자들과 사회학자들이 제기한 문제의식과 공명한다. 푸코, 주손, 그리고 고프만과 같은 저자들은 단선적인 의료 서술을 통해 환자의 주체성을 침묵시킨 구심력적 힘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작용했는지를 보여주었다. 환자의 역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바흐친은 주체성이 본질적으로 구심력과 원심력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하며, 에르디나스트-불칸이 지적하듯이 어느 한 쪽도 독립적으로 윤리적으로 타당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흐친은 푸코적 설명에 보다 정교한 의미를 부여하며, 이는 환자의 관점을 복원하는 데 대한 희망을 시사할 수 있다.
Frank and Bakhtin’s concerns about finalisation strike a chord with concerns raised by historians and sociologists surrounding the reshaping of patient identities in the history of medicine. Authors such as Foucault, Jewson and Goffman have afforded us a view of the centripetal forces which acted throughout history to silence the subjectivity of patients through monologic medical descriptions. This fact must be reckoned with in approaching the history of patients. However, Bakhtin shows us how subjectivity is necessarily constructed by the convergence of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orces, and as Erdinast-Vulcan points out neither ‘is ethically viable in and of itself’. In this way, Bakhtin adds nuance to the Foucauldian account, which may signal hope for recovery of the patient’s view.
의학의 역사에서—삶과 문학에서와 마찬가지로—구심력적 힘은 항상 존재하며, 종종 단선적인 방식으로 주체성을 형성해 왔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힘에 순응하여 저자적 또는 의료적 시선이 최종적인 해석을 내리도록 내버려 둘 필요는 없다. 오히려 우리는 환자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고정하려는 다양한 범주 내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탐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연구를 가다머적 질문으로 설정하여, 다양한 형태의 편견을 인식하는 동시에 해석에서 인식적 겸손과 개방성을 강조하는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적 통찰을 통합할 수 있다. 바흐친과 가다머는 역사 속에서 환자의 관점을 복원하려는 우리의 시도에서 대상화 과정을 넘어설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 가다머의 말을 빌리자면, 우리는 ‘대상화의 한계를 깨닫는 해석학적 인식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을 갖고 있다.
In the history of medicine—as in life and literature—centripetal forces are ever present, constructing subjectivities, often in a monologic manner. But we need not surrender to these forces, leaving the final word to the authorial or medical gaze; rather we can investigate how patients ‘find expression in categories’ that attempt to fix their identities. Moreover, we can frame this investigation as a Gadamerian question, integrating insights from Gadamer’s philosophical hermeneutics, which recognises different forms of prejudice, while emphasising epistemic humility and openness in interpretation. Together, Bakhtin and Gadamer offer tools to look beyond the processes of objectification in our attempts to recover the patient’s view in history. In the words of Gadamer, we have the potential to ‘awaken a hermeneutic awareness concerning the limits of objectification’.
우리는 독백이 대화를 소멸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의료계가 대상화와 확정화의 관행을 통해 환자의 관점을 진정으로 이해하는 것을 막아왔음을 부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추가적인 도구를 갖춘다면, 환자의 관점을 어느 정도까지 복원할 수 있는지는 선험적으로 불가능한 개념적 문제가 아니라 실증적 질문이 될 수 있다. 다음 섹션에서는 이러한 통찰을 베르됭 개신교 병원의 사례 연구에 적용하여 최초의 항정신병 약물인 클로르프로마진이 임상 실무에 도입되던 시기의 환자 경험을 복원하려는 시도를 해볼 것이다.
We do not deny that monologue has the potential to extinguish dialogue, and that practices of objectification and finalisation by the medical profession throughout history have precluded authentic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perspectives. However, equipped with these additional tools, the extent to which the patient’s view can be recovered becomes an empirical question, rather than an a priori conceptual impossibility. In the next section, we apply these insights to a case study from the Verdun Protestant Hospital in an effort to recover patient experiences at the time of the introduction of chlorpromazine, the first antipsychotic medication, into clinical practice.
베르됭 개신교 병원에서의 환자 경험 (1941–1962)
의료 역사에서 환자 기록을 활용하는 것은 여러 역사적 방법론적 도전에 직면한다. 이러한 도전에는 환자의 경험을 복원하는 문제가 포함되는데, 현대 병원 기록은 임상의의 관점에서 작성되며 일반적으로 환자의 직접적인 증언이 거의 포함되지 않아 그들의 실제 경험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환자 자서전을 연구해 왔으며, 이는 풍부한 통찰을 제공하며 환자 중심의 의료 역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 중 하나는 우리가 분석하는 병원 기록의 환자들로부터 직접적인 1인칭 서술을 확보할 수 없다는 점이다. 우리는 이러한 한계를 완전히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 않지만, 바흐친과 가다머가 제시하는 접근법이 이러한 역사적 방법론적 도전에 정면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믿는다. 병원 기록은 환자의 경험을 해석한 임상의의 시각을 추가하는 또 하나의 매개층을 형성하며, 이는 직접적인 증언과 한 단계 떨어진 해석이다. 가다머가 지적했듯이, 해석은 각 단계에서 고유한 편견을 지닌 특정한 ‘지평(horizon)’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층적 매개 과정은 해석자에게 도전이 되며, 환자에서 정신과 의사, 그리고 현대 역사학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평과 편견을 고려해야 한다. 해석학적 접근법은 이러한 연속적인 해석 과정을 인정하며, 그 영향력을 분석하여 환자의 경험을 보다 진정성 있게 이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한다.
Patient experiences at the Verdun Protestant Hospital (1941–1962)
The use of patient records in the history of medicine presents several historiographical challenges. These include challenges recovering patients’ experiences, given that modern hospital records are written from the perspectives of clinicians and generally involve little in the way of direct testimonies from patients, which might help to access their lived experiences. To overcome this, researchers have studied patient autobiographies, which provide rich insights and serve as invaluable sources for conducting patient-centred history of medicine. One limitation of our study is the lack of access to first-person accounts from the patients whose hospital records we examine. We do not contend that this limitation can be fully surmounted through the use of new methodologies; nonetheless, we do believe that approaches offered by Bakhtin and Gadamer allow us to address important historiographical challenges head on. Hospital records add another layer of mediation, providing a clinician’s interpretation of patient experiences, a step removed from direct testimony. As Gadamer points out, at each level, interpretation proceeds from a particular horizon which carries its own set of prejudices. Multiple layers of mediation pose a challenge for the interpreter, requiring that they contend with the multiple horizons and prejudices which condition interpretation from the patient to the psychiatrist to the contemporary historian. A hermeneutic approach recognises these successive interpretations, and attempts to untangle their effects to work towards an authentic understanding of patient experiences.
우리의 사례 연구는 바흐친과 가다머의 시각을 적용하여 1941년부터 1956년까지 베르됭 개신교 병원의 병원 기록을 분석함으로써 얻은 환자의 관점에 대한 통찰을 강조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클로르프로마진(최초의 항정신병 약물)이 도입되던 시기의 베르됭 개신교 병원의 환자 기록을 분석하는 더 큰 연구의 일부이다.
Our case study highlights insights into patient perspectives which are gained by applying Bakhtinian and Gadamerian lenses to the analysis of hospital records from the Verdun Protestant Hospital from 1941 to 1956. These findings are part of a larger, ongoing study examining patient records from the Verdun Protestant Hospital at the time of the introduction of chlorpromazine.
단선적 서술과 확정화
해당 시기의 병원 기록에서는 환자에 대한 단선적(monologic) 서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1941년 25세였던 메리 L은 네 번째로 베르됭 개신교 병원에 입원하였으며, ‘불면증과 정신적 긴장’ 증상으로 병원에 왔으며 ‘급성 조증이 재발할 가능성’에 대한 걱정을 보였다. 그녀의 ‘사례 기록’은 1941년부터 1943년까지의 입원 기록을 요약한 것이다. 이 문서에서 그녀는 ‘주부’라는 직업으로 규정되며, 그녀의 생계 수단으로 남편이 명시되어 있다. 그녀의 개인적인 삶에 대한 정보는 ‘잠을 잘 자지 못하며, 식사는 비교적 잘한다’, ‘술, 담배,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다’, ‘불결한 습관은 없다’ 정도로만 서술되어 있다.
Monologic description and finalisation
Monologic descriptions of patients predominate in the hospital records examined from this period. For example, Mary L was 25 years old in 1941 when she was admitted to the Verdun Protestant Hospital for the fourth time, brought to hospital for symptoms of ‘sleeplessness and mental tension’ with a ‘concern over possibility of recurrence of acute mania’. Her ‘Case History’ serves as a summary of that admission to hospital, from 1941 to 1943. In this document, she is defined by her occupation of ‘housewife’, and in relation to her husband who is listed as her ‘means of subsistence’. Of her personal life, we learn only that she ‘sleeps poorly, eats fairly well’, does not use ‘liquor, tobacco, or drugs’, and has ‘No filthy habits’.
이 사례 기록에서는 그녀의 진단명이 ‘조울증(우울 상태)’로 명시되었으며, 이후 그녀의 긴 입원 기간 내내 이 진단이 유지되었고, 이는 병원 내에서 그녀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그녀를 서술하는 언어는 정신과 의사의 시각에서 명확하고 단정적이다. 예를 들어, 1947년 기록에서 그녀는 ‘우울하고 불안한 상태’로 묘사된다. 증상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고 진단의 불확실성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이러한 불확실성은 어디까지나 특정한 정신과 의사들이 제공하는 구체적인 진단 범주 내에서만 논의되었다. 한 남성 정신과 의사는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This case history affixes the diagnosis ‘Manic depressive (depressed)’ to her chart, a diagnosis which she carries throughout the remainder of her long hospital record, and which shapes her identity within the institution. The language used to describe her is that of her psychiatrists, which is concrete and definitive: ‘the patient is depressed and anxious’ (1947). There is some room for variability in symptomatology and uncertainty in diagnosis, but this uncertainty remains within the space of concrete diagnostic categories provided by Mary’s different psychiatrists. As one of her male psychiatrists writes:
"Besides the diagnosis [sic] of a mild manic depressive, depressed state, the diagnosis of anxiety state with depression must be considered at this time (1947)."
메리의 ‘불안’ 진단은 그녀의 정신과 의사가 그녀의 경험을 해석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기록 전체에서 ‘사소한 문제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거나 ‘사소한 일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한다’(1947)고 묘사된다. 이러한 언어는 기록 전반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그녀의 삶의 경험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도구로 활용된다.이러한 확정된 해석은 결국 메리 자신에게도 내면화된 것으로 보인다. 몇 년 후, 또 다른 남성 정신과 의사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She explains her entire life on the inability to handle decisions in the outside world and repeatedly stated that she found it happier in the hospital (1951)."
이 진술은 당시 메리의 감정을 반영할 수도 있지만, 그녀 자신의 말이 아니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4년 전 정신과 의사들이 그녀의 불안을 설명하며 했던 진술—즉, ‘이 환자는 병원 밖에서의 삶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1947)—을 반복한 것이다.
대화적 긴장과 다성성(heteroglossia)
일부 환자 기록에서는 대화의 흔적이 발견되지만, 이는 종종 단선적 서술(monologic mode)이 다시 강하게 작용하면서 침묵당하는 경우가 많다. 같은 환자인 메리 L은 자신의 가족 상황에 대해 자주 슬픔을 표현하는데, 이는 그녀의 경험에서 중요한 스트레스 요인이자 핵심적인 감정으로 보인다. 그녀는 ‘수년간 남편과 연락이 끊긴 상태지만 공식적인 별거 상태는 아니며, 남편이 그녀를 경제적으로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1954)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그녀는 결혼 전에 출산한 ‘사생아(illegitimate son)’가 있다는 사실도 언급된다. 1947년 당시 12세였던 그녀의 아들은 ‘한 좋은 가정에 위탁되어 도시 밖에서 지내고 있었으며, 메리는 자신이 다시 병원에 입원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아들을 데려오는 것이 그에게 불공평할 것이라 느꼈다’고 기록되었다.
때때로 메리는 아들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려고 시도한다.
"그녀는 아들에 관해 이야기하며 감정적 긴장이 현저하게 고조되었다. 그녀의 판단력은 다소 결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51)"
여기서 정신과 의사는 그녀의 대화를 독백으로 변환하여, 그녀의 고통을 ‘건전한 판단력 부족’이라는 결함으로 축소시킨다. 즉, 그녀의 ‘감정적 긴장’을 합리적 사고와 대조함으로써 그녀의 감정을 평가절하하고 있다. 아들과의 이별에 대한 그녀의 고통은 남편에게 버림받았다는 감정과도 맞닿아 있다.
"그녀는 여전히 남편이 돌아올 것이라는 희미한 희망을 갖고 있지만, 지적으로는 그가 돌아오지 않을 것임을 알고 있다 (1947)."
다시 한 번, 환자의 희망과 슬픔을 표현할 공간이 주어지지 않고, 오히려 정신과 의사는 그녀가 ‘지적으로(intellectually)’ 남편이 떠났음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Dialogic tensions and heteroglossia
In some patient records we find hints at dialogue, although this is frequently silenced by recrudescence of the monologic mode. The same patient, Mary L, often expresses sadness about her family situation, which appears to be a significant source of distress and at the forefront of her experience. We learn that she is married to a husband who ‘has been out of the picture for a number of years, but there is no official separation and he does not support her in any way’ (1954). We also learn that she has an ‘illegitimate’ son who predates this marriage. In 1947, this son, then age 12, had been ‘boarding out of town with a rather nice family’, and the patient ‘[felt] it would be unfair to him to have him with her when there is such a likelihood that she will return to hospital’. At times Mary attempts to express her feelings surrounding the situation with her son:
"She talked concerning her son and there was a marked emotional tensional rise. Her judgement proved to be moderately defective… (1951)."
Here her psychiatrist acts to silence any emergence of dialogue through the imposition of a monologue which reduces her distress to a deficit in sound ‘judgment’, juxtaposing her ‘emotional tension’ with rational thought. Her distress at leaving her son is paralleled by a feeling of abandonment by her husband:
"She still has the faint hope that her husband will return to her although intellectually she knows that he will not (1947)."
Again we see the extinguishing of dialogue with the imposition of reason. Space is not given for expression of the patient’s hope and sadness; rather, her psychiatrist only emphasises how she ‘intellectually’ grasps that her husband has left her.
그러나 때때로 메리는 확정적 해석을 깨뜨리며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낸다. 예를 들어, 후속 입원에서 메리는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
"나는 항상 다른 사람들과 다르다고 느낀다. 때때로 내 태도는 끔찍하고, 사람들도 나에게 못되게 굴었다. 나는 사람들이 나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느낀다 (1955)."
그러나 정신과 의사는 이를 단순히 ‘사람들이 자신을 적대적으로 대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러한 단순한 해석은 그녀의 보다 복합적인 경험을 포착하지 못하며, 단순한 피해망상(persecutory belief)이 아니라 과거의 행동에 대한 죄책감, 차별받는 느낌, 그리고 오해받는 감정이 결합된 보다 미묘한 경험일 가능성을 배제한다. 병원 기록만으로 이러한 감정의 의미와 출처를 완전히 복원할 수는 없지만, 여기서 우리는 정신과 의사가 제공하는 확정적 해석에 저항하는 다성성(heteroglossia)의 형성을 발견할 수 있다.
At times, however, we find that Mary’s voice breaks through attempts at finalisation. For example, during a later admission Mary states:
"I always feel, that I am different from other people, my attitude towards people is dreadful sometimes and people were nasty to me, too. I feel people don’t understand me (1955)."
Although her psychiatrist interprets this statement as ‘a feeling that people were against her’, this narrow interpretation fails to capture a more nuanced experience—not mere persecutory beliefs but rather an experience which combines guilt about past actions with feelings of difference and misunderstanding. The full content of this experience, along with the meaning and source of these feelings, cannot be fully recovered on the basis of her hospital record alone. Nonetheless, we find in this statement the makings of heteroglossia, where the patient’s own description of her experience resists the finalised interpretation offered by her psychiatrist.
또 다른 다성성의 예는 1952년 16세의 나이에 ‘급성 정신분열 반응(Acute schizophrenic reaction)’이라는 진단명으로 병원에 입원한 소니아 H의 사례에서 발견된다. 그녀는 청각 환각과 불규칙한 행동을 보였으며, ‘비논리적 발화를 하고… 언어적 의사소통에서 혼란스럽고 모호한 표현을 한다’고 기록되었다. 그녀의 정신과 의사는 평가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환자의 자발적인 표현은 비논리적이어서 제한적이었다… 그녀의 사고와 발화는 기괴하며 정신분열적이다. 이 소녀는 급성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으며, 가장 가능성이 높은 진단은 급성 긴장형 정신분열증(acute catatonic schizophrenia)이다."
그러나 그녀의 진술은 단순한 ‘비논리성’으로 해석될 수 없는 보다 복합적인 고통의 원인을 암시하며, ‘급성 정신분열 반응’이라는 진단만으로 설명될 수 없는 경험을 시사한다. 이는 그녀의 사례 기록에서 다음과 같은 발언에서도 드러난다.
"신체 검진을 받겠냐고 묻자 그녀는 ‘네, 받고 싶어요. 제 몸이 뭔가 이상해요’라고 대답했다. 그런 다음 침대에 누워서 ‘우리는 전에 만난 적이 있어요. 당신은 캠프에 있지 않았나요? 아니면 당신 형제였나요?’라고 말했다."
Another example of heteroglossia is provided by the case of Sonia H, who was admitted to hospital in 1952 at age 16 with a diagnosis of ‘Acute schizophrenic reaction’. She presented with auditory hallucinations and erratic behaviour, and is described as ‘talking irrationally… confused and vague in her verbal communication’. As her psychiatrist states in his assessment:
"The patient’s spontaneous productions wer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y were illogical… Her thinking and speech are bizarre and schizophrenic. It would seem that this girl is an acute schizophrenic and the most possible diagnosis is acute catatonic schizophrenia."
Her statements, however, far from being ‘limited’, resist this finalised interpretation, suggesting a more complicated source of her distress, beyond a simple manifestation of ‘illogicality’ explained by her diagnosis of ‘acute schizophrenic reaction’. This is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passage from her case history:
"When told about the physical examination, she said ‘Yes, I would like to have one since there is something wrong with me.’ Then on lying down in bed she said ‘I have met you before. Weren’t you in a camp? Well if it wasn’t you, it must have been your brother.’"
소니아의 사례: 다성성과 억압된 서사
소니아의 사례 기록을 통해 그녀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태어났으며, 1952년 병원 기록에서 ‘인종적 출신(Racial Origin)’이 ‘유대인’으로 명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녀의 ‘사회복지 기록(Social Service Record)’을 통해, 10세 때 부모와 헤어졌으며, 부모는 강제 수용소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사망했다는 사실을 1962년에야 알게 된다. 또한, 그녀는 독일군이 점령한 어린이 수용소에 감금되었으며, 이후 탈출에 성공했음이 기록되어 있다. 이 정보는 그녀의 초기 입원 당시 있었던 사건을 재해석하는 데 중요한 맥락을 제공한다.
1952년 입원 당시 그녀의 진찰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어진다.
"아니요, 저는 눕지 않을 거예요. 저는 당신에게 아무것도 주고 싶지 않아요."
추가적인 안심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끝내 눕지 않았으며, 결국 세 명의 간호사의 도움을 받아 강제로 제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녀는 더욱 극도의 공포를 느꼈고, 자신이 고문당하고 있다고 여겼다. 그러다 갑자기 소리치며 말했다.
"이제 알겠어요. 저는 그냥 더럽고 빌어먹을 유대인일 뿐이에요."
그녀는 이 말을 계속해서 반복하였고, 이후 의료진은 그녀를 제압한 상태에서 정맥주사로 넴뷰탈(Nembutal)을 투여하여 진정시켰다.
We know from her case history that Sonia was born in Czechoslovakia, and her ‘Racial Origin’ is listed as ‘Jewish’ (1952), but it is only later in her ‘Social Service Record’ that we learn at age 10 she was separated from her parents, who died in transportation to a concentration camp (1962). We also learn that she was ‘interned at a children’s camp by invading Germans’, from which she later escaped. This information adds crucial context which helps us reinterpret the initial encounter. The examination from her 1952 admission continues with her statement:
"No I won’t lie down because I don’t want to give you anything."
Further reassurance did not produce the desired result and she had to be restrained with the aid of three nurses. During the restraining, she became even more terrified and felt that she was being tortured. Then screamed “I know what’s wrong with me. I am just a dirty Goddamned Jew” which she repeated again and again. When restrained, nembutal was given to her intravenously and she went quietly off to sleep.
소니아의 이러한 발언은 그녀의 정신과 의사가 제시하는 단선적인 서술을 벗어나 다성적 대화를 드러낸다. 그녀는 자신의 ‘고문자들’에 대한 저항의 목소리, 그리고 수치심과 인종적 낙인에 대한 목소리를 동시에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다성적 목소리들은 그녀가 입원하던 첫날부터 존재했으며, 정신과 의사들이 뒤늦게 그녀의 과거를 인정하면서 "그녀는 자신의 삶을 강제 수용소에서의 삶과 연결 짓고 있다…"(1962) 라고 기록하기 전부터 이미 서사 속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실제로, 1977년에야 그녀의 정신과 의사가 ‘United Restitution Organization’에 보낸 편지에서 비로소 다음과 같은 인식이 명시적으로 드러난다.
"그녀의 어려움 중 적어도 일부는 나치 박해 경험과 관련이 있으며, 여전히 강하게 나타나는 피해망상의 경향은 그녀가 겪은 정치적 박해와 관련된 초기 유아기 트라우마를 시사한다."
**Her statements reveal a polyphonic dialogue which eludes the monologic description offered by her psychiatrist. Sonia expresses a multitude of voices—from voices of resistance against her ‘torturers’, to voices of shame and racial stigma—which together shape her experiences. These voices are present from the day of Sonia’s admission, well before the belated, superficial acknowledgement from her clinicians that ‘she ties her life here with her life in concentration camp…’ (1962). Indeed, it is only much later in 1977, in a letter from her psychiatrist addressed to the United Restitution Organization, that we find the explicit recognition ‘that at least some of her difficulties are bound up with her experience of Nazi persecution’, and that ‘the persecutory trends which are still very much present all suggest early infantile traumas related to the political persecution that she suffered’.
소니아의 입원 기간 동안 그녀의 다성적 목소리는 계속해서 나타났다. 그녀는 인슐린 혼수 요법(insulin coma therapy)과 전기 충격 요법(electroshock therapy)을 받았으며, 전두엽 절제술(frontal lobotomy)을 전후한 기간 동안에도 그녀의 목소리는 항정신병 약물에 의해 완전히 침묵되지 않았다. 이러한 다성성을 민감하게 듣는다면, 우리는 소니아가 단순히 비극적인 과거를 가진 인물이 아니라 현재에도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으며, 과거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것에 의해 완전히 결정되지 않은 복잡하고 미완결적인 존재임을 이해할 수 있다.
Heteroglossia is heard throughout Sonia’s years of hospitalisation—it persists throughout her rounds of insulin coma and electroshock therapy, before and after her frontal lobotomy, never fully silenced by antipsychotic drugs. By attuning to this heteroglossia, we can begin to appreciate how Sonia not only has a rich and tragic backstory but also a complex and unfinalised present—a present which is influenced but not solely determined by her past.
소니아의 초기 발언에서 나타난 수치심과 낙인과는 대조적으로, 이후의 기록에서는 그녀가 자신의 배경과 전통에 대해 ‘상당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해 많은 지식을 표현했다’(1956)는 내용이 등장한다. 그녀의 자아 표현에 대한 투쟁은 ‘탈출’ 시도로 더욱 분명해지는데, 이는 사실 병원에서 탈출이라기보다 젊은 여성으로서 병원 밖에서 평범한 삶을 경험하려는 시도에 가까웠다. 그녀는 병원복을 벗고 ‘외출복(outdoor clothing)’으로 갈아입을 기회를 만들었으며(이후 그녀가 패션에 큰 관심이 있었음이 밝혀짐), 친구들과 레코드를 틀어놓고 춤을 추거나, 남성과 함께 나이트클럽에 가는 등의 활동을 하며 가장 행복하고 생동감 넘치는 순간을 경험했다고 묘사되었다(1956).
In contrast to Sonia’s initial utterances of shame and stigma, later records indicate that she had ‘good deal of pride in her background and tradition and had many times expressed a greater knowledge of these’ (1956). Sonia’s struggle for self-expression is further exemplified by her numerous attempts at ‘escape’, which are more accurately described as youthful excursions which afforded her the chance to change out of hospital uniform and dress up in ‘outdoor clothing’ (we later learn that Sonia had a keen interest in fashion). Sonia spent these evenings with friends ‘playing records and dancing’, or frequenting night clubs with men (1956). These were the times when she described feeling the happiest and most alive, perhaps giving her a sense of autonomy and freedom which she lacked for much of her early life.
이러한 사례들은 베르됭 개신교 병원의 환자 기록에서 발견되는 단선적 서술과 대화적 서술 사이의 긴장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분석된 병원 기록들은 종종 단편적인 환자 내러티브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직접적인 증언이 거의 없거나 다양한 임상의들의 해석을 통해 굴절된 형태로만 남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록들은 각 환자의 삶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서사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들은 환자들의 다양한 경험을 해석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을 준다. 많은 경험들은 이 기록 속에서 완전히 포착되지 않았으며, 일부는 영원히 복원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의 예비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환자들의 진술은 답보다는 더 많은 질문을 제기하며, 이는 바흐친과 가다머가 강조하는 열린 해석과 미완결성을 유지하는 접근과도 부합한다.
These vignettes offer a glimpse into the tensions between monologue and dialogue, and the existence of heteroglossia in patient records from the Verdun Protestant Hospital. The hospital records examined contained only fragmentary patient narratives, often with limited direct testimony that was always refracted through the lenses of the different clinicians producing the record. As such, these records do not offer robust narratives of each patient’s life. The examples cited clearly cannot do justice to the stories behind each of these patients; nonetheless, they do help to move us towards interpreting their diverse and complex experiences. Evidently much is not captured in these records, and many experiences will never be recovered. From our preliminary results, we have found that many patients’ statements raise more questions than answers, consistent with the Bakhtinian and Gadamerian commitments to remaining open-ended and unfinalised.
결론: ‘환자의 관점’과 인식적 불의(epistemic injustice)
이 예비 연구 결과는 가다머와 바흐친의 철학에서 영감을 받은 구성주의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역사적 병원 기록에서 환자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우리는 이러한 접근법이 20세기 중반, 즉 정신약리학이 등장하던 과도기적 시기의 입원 정신과 기록을 환자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 시기는 새로운 치료법이 도입되면서 임상 실무와 정신 질환에 대한 이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정신의학의 전환점이었다. 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주의적 인식론은 의료 역사에서 환자의 관점을 복원하는 데 방해가 되는 개념적·방법론적 도전에 대응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일부 연구자들이 ‘방법론적 영감(methodological inspiration)’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영역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례들은 환자 기록 속에서 공존하는 다양한 목소리를 인식하는 데 이러한 접근법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이러한 다성성(heteroglossia)이 개방적인 대화를 통해 더욱 풍부한 연구 질문을 제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onclusion: ‘The Patient’s View’ and Epistemic Injustice
These preliminary findings illustrate the feasibility of applying constructivist approaches inspired by the philosophies of Gadamer and Bakhtin to gain insights into patient experiences from historical hospital records. We have demonstrated how these approaches can be used to guide a patient-centred analysis of inpatient psychiatric records at the dawn of psychopharmacology during the mid-20th century, a liminal period in the history of psychiatry when new therapies were introduced that significantly impacted clinical practice and understandings of mental illness. More generally, these constructivist epistemologies may help to address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hallenges which hinder recovery of the patient’s view in the history of medicine, an area which, according to some commentators, is in need of ‘methodological inspiration’. Our examples highlight how these approaches can begin to recognise multiplicity of voices which coexist in patients’ records, and how this heteroglossia raises further fruitful questions which can be brought forward in open-ended dialogue to enrich this field of research.
그러나 이러한 접근법에는 한계가 있다. 바흐친과 가다머의 이론적 틀을 활용한 병원 기록의 재분석이 새로운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는 있지만, 환자의 1인칭 서술을 대체할 수는 없다. 환자의 직접적인 목소리는 여전히 환자 중심의 의료 역사 연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바흐친과 가다머는 젠더 문제에 대해 별다른 논의를 하지 않았으며, 젠더와 권력의 교차성이 자아와 타자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페미니스트 학자들은 이 두 철학자들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도 생산적으로 활용해 왔으나, 바흐친과 가다머 스스로는 젠더가 환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도구를 명시적으로 제공하지 않았다. 연구 사례에서도 남성 정신과 의사들이 여성 환자의 정신과적 상태를 단선적 서술로 확정하는 방식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젠더와 권력 역학이 환자의 경험에 미친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There are limitations to these approaches. While Bakhtinian and Gadamerian frameworks may produce novel findings in the re-examination of hospital records, there is no substitute for first-person accounts from patients, which should continue to have a central role in patient-centred history of medicine. A further limitation is Bakhtin’s and Gadamer’s silence on issues of gender, and their lack of recognition of how the intersectionality of gender and power can impac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ther. Although feminist scholars have engaged with these philosophers, raising important criticisms alongside productive applications, Bakhtin and Gadamer themselves do not explicitly provide the tools to address how gender impacts patient experiences. Gender and its attendant power dynamics likel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atients’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examined, illustrated in the above cases by the finalised monologues uttered by male psychiatrists over the minds and bodies of their female patients. Feminist theories, including feminist interpretations of Bakhtin’s dialogism, may allow for a gender-focused analysis of such cases, and suggests an area for future research.
마찬가지로, 탈식민주의 이론은 바흐친과 가다머의 이론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이 분야의 학자들은 ‘타자를 대신해 말하려는 시도’가 어떻게 주변화된 집단을 더욱 침묵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지 경고해 왔다. 역사 속 환자의 내러티브를 이해하려는 노력은 보편적인 ‘환자의 목소리’를 복원하려는 본질주의적 시도가 초래할 수 있는 인식적 폭력(epistemic violence)의 위험성을 인식해야 한다.
가다머는 인식적 겸손(epistemic humility)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바흐친 또한 타자의 관점을 확정짓는 것을 경계했지만, 탈식민주의 이론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더욱 민감한 분석을 제공하며, 환자의 내러티브를 연구하는 방식이 인식적 불의를 재생산하지 않도록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Likewise, postcolonial theory offers further insights lacking in Bakhtin and Gadamer, which can inform how one approaches the recovery of patients’ voices in history. Scholars in this field have cautioned against attempts to ‘speak for’ the other, highlighting how this can contribute to further silencing of marginalised groups. Efforts to understand patient narratives in history must be sensitive to the risk of epistemic violence posed by essentialist notions of recovering a universal ‘patient’s voice’. While Gadamer emphasises epistemic humility, and Bakhtin warns against finalised renditions of the other, postcolonialism is particularly sensitive to these issues, and provides an additional lens for thinking about how to study patient narratives in a manner that does not exacerbate epistemic injustice.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흐친과 가다머의 사상은 사회과학 연구뿐만 아니라 의료 현장에서도 적용되어 왔으며, 특히 의학교육과 의사-환자 관계에 대한 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쿠마가이(Kumagai) 등은 의료 환경에서 ‘대화적 교육과 학습(dialogic teaching and learning)’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의료에서 더 큰 인도주의와 형평성을 증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대화를 통해 형성되는 지식이 개인의 경험과 밀접하게 연결되며, 맥락적이고 구체적이며 깊이 인간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대화 속에서 위계적 권위의 분배가 이루어질 때 교육과 사회적 실천이 민주화될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한다.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ideas of Bakhtin and Gadamer have been applied to social sciences research, and also directly to healthcare, especially in medical education and thinking about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Kumagai et al propose ‘dialogic teaching and learning’ to help foster greater humanism and equity in healthcare. They emphasise how ‘the type of knowledge fostered by dialogue… is directly tied with individuals and their concerns and is contextual, specific, and deeply human’, and additionally how the ‘nonhierarchical distribution of authority in dialogue may play a democratizing role in educational and societal action’.
이러한 논의는 단순히 과거의 환자 기록을 해석하는 것에서 나아가, 현대 의료 시스템에서 환자의 목소리를 보다 존중하고 환자 중심의 의료를 실현하는 데까지 이어질 수 있다. 바흐친과 가다머의 개념을 확장하고, 젠더 및 탈식민주의적 시각을 접목하는 것은 의료 역사 연구뿐만 아니라 현재 의료 실무에서도 환자의 경험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가다머와 바흐친의 교훈: 의료에서의 진정한 이해와 인식적 불의
가다머와 바흐친이 제시한 교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많은 임상적 상황에서 진정한 이해는 여전히 결여되어 있으며, 독백이 대화를 소멸시키는 경우가 너무나도 많다. 현대 의료에서 단선적 서술(monologic representations)이 지배적인 이유는 부분적으로 의료 전문가들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임상적 효율성을 높이려는 필요성 때문일 수 있다. 이는 현대 의료 시스템의 불가피한 구심력적 힘(centripetal forces)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의료진이 가능할 때마다 진정한 이해를 추구하고 대화를 활성화하는 것이 윤리적 의무라고 주장한다. 바흐친과 가다머의 접근법이 강조하는 개방적이고 미완결적인 해석(open-ended, unfinalised interpretation)은 미란다 프리커(Miranda Fricker)가 제안한 인식적 불의(epistemic injustice)를 해결하는 데 활용된 미덕 인식론(virtue epistemology)과 연결될 수 있다.
Gadamer and Bakhtin’s lessons remain salient as authentic understanding still eludes many clinical encounters where monologue too often extinguishes genuine dialogue. The predominance of monologic representations in healthcare today may in part arise out of a need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for reasons of clinical expediency—the inescapable centripetal forces of modern healthcare. However, we argue that it remains an ethical imperative for clinicians, whenever possible, to work towards authentic understanding and to allow dialogue to flourish. The commitment to open-ended, unfinalised interpretation entailed by Bakhtinian and Gadamerian approaches can be framed in terms of virtue epistemology, an account which has been mobilised to address issues of epistemic injustice.
인식적 불의와 의료 환경에서의 적용
인식적 불의는 한 개인이 ‘앎을 가진 존재(knower)’로서의 능력을 약화시키는 특정한 형태의 불의를 의미한다. 이 개념은 미란다 프리커가 처음 제안하였으며, 후에 캐럴(Havi Carel)과 키드(Ian James Kidd)에 의해 의료 분야에 적용되었다. 크리튼(Crichton), 캐럴, 그리고 키드는 정신과에서 인식적 불의가 특히 심각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정신과 환자들이 종종 사회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여 있으며, 정신과에서는 ‘객관적인(hard, objective)’ 증거가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고, 정신 질환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프리커는 인식적 불의를 두 가지로 구분한다. 첫 번째는 **‘증언적 불의(testimonial injustice)’**로, 이는 편견으로 인해 청자가 화자의 말을 평가절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두 번째는 **‘해석적 불의(hermeneutical injustice)’**로, 이는 사회적 해석 자원에 공백이 존재할 때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다룬 바흐친과 가다머의 접근법은 이 두 가지 형태의 인식적 불의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Epistemic injustice refers to a specific form of injustice that undermines an individual’s capacity as a knower. The notion was developed by Miranda Fricker and applied to healthcare by Carel and Kidd. Crichton, Carel and Kidd argue that there is a heightened risk of epistemic injustice in psychiatry, owing in part to the often disadvantaged social position of psychiatric patients, a perceived lack of ‘hard’ or ‘objective’ evidence in psychiatry, and the negative stereotypes attached to mental disorders. Fricker distinguishes between ‘testimonial injustice’, which arises ‘when prejudice causes a hearer to give a deflated level of credibility to a speaker’s word’, and ‘hermeneutical injustice’ which results from ‘a gap in collective interpretive resources’. The Bakhtinian and Gadamerian approaches explored in this article may help combat both forms of epistemic injustice.
예를 들어, 가다머는 해석학적 과정이 특정한 맥락에 위치해 있음을 강조하며, 우리가 해석을 수행할 때 작용하는 편견을 재고할 기회를 제공한다. 한편, 바흐친은 우리가 단선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다성성을 들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가다머와 바흐친의 개념은 임상 환경에서 환자 경험이 단순한 데이터로 취급되는 것을 넘어, 그것이 독자적인 인식적 가치를 가진 지식의 형태로 인정받아야 함을 시사한다. 캐럴과 키드는 해석적 불의의 발생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환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해석하는 방식은 단순히 무시되거나 아예 고려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는 정책 결정에서 환자의 관점이 존중받지 않는 문화를 형성함으로써 배제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해석하여 표현할 동기를 잃게 된다."
Importantly, both Bakhtin and Gadamer help us address the so-called hermeneutic injustice by adding to the set of shared ‘interpretive resources’ which are often lacking in the clinical setting. As Carel and Kidd point out, hermeneutic injustice arises when,
"The interpretations that ill persons make of their own experience may simply be ignored or not sought out, or implicitly exclud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e in which patient views are not respected or included within policy, thereby withdrawing incentives for ill persons to offer their interpretations."
따라서 환자의 관점을 단순히 의료진이 평가하고 활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정보원으로 환원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경험을 ‘인식적으로 독특한 형태의 지식(epistemically distinctive form of knowledge)’ 으로 다루어야 한다. 바흐친과 가다머는 환자의 관점이 가지는 인식적 가치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대화주의(dialogism)와 해석학(hermeneutics)의 도구를 제공하여 이를 보다 깊이 연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
Rather than treating the patient’s view ‘reductively… as another source of information that can be assessed or utilized by clinicians as if those hermeneutic offerings were simply data’, the patient experience needs to be treated as ‘an epistemically distinctive form of knowledge’. Bakhtin and Gadamer provide an appreciation of the epistemic distinctiveness of the patient’s view, and together offer related tools of dialogism and hermeneutics to help us approach this form of knowledge.
의료 역사 속에서 환자의 관점을 복원하는 문제
본 논문은 의료 역사에서 환자의 관점을 복원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우리는 정신의학 역사에서 발생하는 역사적 방법론적 도전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가다머의 해석학과 바흐친의 대화주의를 소개하였다. 이러한 개념들은 역사적 연구뿐만 아니라 현대 임상 실무에서도 환자의 경험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의료 인문학(medical humanities)의 핵심 목표 중 하나는 환자의 실제 경험을 보다 면밀히 조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해석학적·대화적 과정을 통해 환자의 경험을 보다 정교하게 이해하려는 시도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20세기 중반 정신의학 역사 속 환자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고자 한다.
This article has focused on the problem of recovering the patient’s view in the history of medicine. We introduced Gadamerian hermeneutics and Bakhtinian dialogism as means of addressing historiographical challenges in the history of psychiatry, and to help us attune to patient voices within psychiatric institutions during the mid-20th century. The concepts described and developed in this article have broader relevance for attending to the lived experiences of patients, both in history and in contemporary clinical practice, which remains a central aim of the medical humanities. Our analysis continues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content and context of these experiences through a hermeneutic, dialogic process, as we endeavour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patients’ experiences during this period i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