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son Centre

Carla Willig’s model of Foucauldian Discourse Analysis (feat. ChatGPT)

Meded. 2024. 12. 19. 01:29

출처: Willig, C. (2003). Discourse analysis. Qualitative psychology, 159-183.

비유

1. 담론적 구성물: 다양한 자연(바다, 산, 강, 사막)


2. 다양한 담론: 바다에서하는 여러 활동(해수욕, 서핑, 낚시...)


3. 행동 지향

 - 해수욕 담론 -> 바다는 즐거운 휴양 공간
 - 서핑 담론 -> 바다는 교육과 연습의 공간
 - 낚시 담론 -> 바다는 다양한 어종의 공간

4. 포지셔닝: 

 - 해수욕 담론 -> 어린이/피서객
 - 서핑 담론 -> 운동선수/강사
 - 낚시 담론 -> 선장/낚시애호가

5. 실천: 정당한 행동범위

 - 해수욕 담론 -> 모래놀이 적절, 음주가무 부적절
 - 서핑 담론 -> 장비장착 적절, 무질서 부적절
 - 낚시 담론 -> 안전점검 적절, 안전불감 부적절

6. 주관성(subjectivity)

 - 해수욕 담론 -> 즐거움, 활기참
 - 서핑 담론 -> 성취감, 경쟁심
 - 낚시 담론 -> 생태보존, 전문가 위치

 

Stage 1: Discursive Constructions The first stage of analysis is concerned with the ways in which discursive objects are constructed. Which discursive object we focus on depends on our research question. For example, if we are interested in how people talk about 'love' and with what consequences, our discursive object would be 'love'. The first stage of analysis involves the identification of the different ways in which the discursive object is constructed in the text. It is important that we do not simply look for key words. Both implicit and explicit references need to be included. Our search for constructions of the discursive object is guided by shared meaning rather than lexical comparability. The fact that a text does not contain a direct reference to the discursive object can tell us a lot about the way in which the object is constructed. For example, someone may talk about a relative's terminal illness without directly naming it. Here, references to 'it', 'this awful thing' or 'the condition' construct the discur¬ sive object (that is, terminal illness) as something unspeakable and perhaps also unknowable.

 

위의 내용은 **Carla Willig의 Foucauldian Discourse Analysis(FDA)**에서 Stage 1: Discursive Constructions에 대해 설명한 것입니다. 이를 해석하고 단계별로 요약 및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담론적 구성물(Discursive Object)의 정의

  • 담론적 구성물이란 분석의 중심이 되는 개념 또는 주제를 의미합니다.
    • 예: '사랑', '질병', '권위'와 같은 특정한 주제.
    • 연구 질문에 따라 다르게 설정됩니다. 예컨대, 사람들이 '사랑'에 대해 어떻게 이야기하는지와 그 결과에 관심이 있다면, 여기서 담론적 구성물은 '사랑'이 됩니다.

2. 주요 목표

  • 담론적 구성물이 텍스트에서 어떻게 **구성(construction)**되는지를 탐구합니다.
    • 구성: 담론적 구성물이 특정 방식으로 표현되고 의미화되는 과정.

3. 분석 방법

  1. 다양한 구성 방식의 식별
    • 텍스트에서 담론적 구성물이 명시적(explicit) 또는 **암시적(implicit)**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탐구합니다.
    • 암시적 언급도 중요하며, 단순히 단어의 반복 여부(lexical comparability)에 의존하지 않고, 텍스트가 공유하는 의미(shared meaning)를 탐구합니다.
  2. 텍스트에 담론적 구성물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경우도 포함
    • 어떤 담론적 구성물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더라도 그것은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 예: 누군가 말기 질환(terminal illness)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이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그것(it)", "이 끔찍한 것(this awful thing)", "그 상태(the condition)"라고 부르는 방식은, 질환을 말로 표현하기 어렵거나(unspeakable), 이해할 수 없는(unknowable) 것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4. 예시 설명

  • **사랑(Love)**에 대한 연구: 사람들이 사랑에 대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 "사랑은 희생이다"라는 진술은 사랑을 헌신과 연결된 것으로 구성합니다.
    • "사랑은 단순한 감정일 뿐이다"는 사랑을 덧없는 감정으로 구성합니다.
  • **말기 질환(Terminal Illness)**에 대한 연구:
    • 말기 질환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그 상태" 또는 "이 끔찍한 것"처럼 표현할 경우, 질환이 금기시된 것이자 정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것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습니다.

5. 주요 시사점

  • 특정 단어나 직접적 언급에 국한하지 않고, 텍스트의 의미적 맥락과 담론적 구성 방식을 탐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명시적 언급의 부재도 분석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는 특정 담론적 구성물이 어떤 방식으로 회피되거나, 암묵적으로 구성되는지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합니다.

6. 학술적 의의

  • 이 단계는 담론이 특정 개념이나 주제를 구성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출발점이 됩니다.
  • 특히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텍스트와 언어가 현실과 주체를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
  • 질적 연구와 비판적 담론 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에서 텍스트가 생산하는 권력-지식 관계를 탐구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한 줄 요약

Stage 1은 연구 질문에 따라 선택된 담론적 구성물이 텍스트에서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어떻게 표현되고 구성되는지를 탐구하며, 이 과정에서 공유된 의미와 언급의 부재까지 분석에 포함하는 단계입니다.

 

 

Stage 2: Discourses Having identified all sections of text which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the discursive object, we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constructions. What appears to be one and the same discursive object can be constructed in very different ways. The second stage of analysis aims to locate the various discursive constructions of the object within wider discourses. For example, within the context of an interview about her experience of her husband's prostate cancer, a woman may draw on a biomedical discourse when she talks about the process of diagnosis and treatment, a psychological discourse when she explains why she thinks her husband developed the illness in the first place, and a romantic discourse when she describes how she and her husband find the strength to fight the illness together. Thus, the husband's illness is constructed as a biochemical disease process, as the somatic mani¬ festation of psychological traits, and as the enemy in a battle between good (the loving couple) and evil (separation through death) within the same text.

 

Stage 2: Discourses는 **담론적 구성물(Discursive Object)**이 어떻게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로, 이를 더 넓은 담론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다음은 이 단계에 대한 해석 및 설명입니다.


1. 주요 목표

  • 동일한 담론적 구성물이 다양한 담론(discourses) 속에서 **다르게 구성(construction)**되는 방식을 탐구합니다.
  • 텍스트 내에서 발견된 담론적 구성물을 더 넓은 사회적, 문화적, 또는 맥락적 담론의 일부로 위치시킵니다.

2. 분석의 핵심

  • 차이점(differences)에 주목:
    • 동일한 담론적 구성물도 서로 다른 텍스트나 맥락에서 다르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 예: 동일한 '질병'도 과학적, 심리적, 또는 사회적 관점에서 다르게 이해될 수 있음.
  • 넓은 담론에 위치시키기:
    • 텍스트 내 특정 진술이 어떤 종류의 담론에 의존하고 있는지를 분석합니다.
    • 예: 의학적 담론, 심리학적 담론, 로맨틱 담론 등.

3. 구체적 사례

  • 인터뷰 예시: 남편의 전립선암
    한 여성의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담론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 의학적 담론(Biomedical Discourse)
      • 남편의 진단 및 치료 과정을 설명할 때 사용.
      • 질병은 **생화학적 질환(biochemical disease process)**으로 구성됨.
    • 심리학적 담론(Psychological Discourse)
      • 남편이 왜 질병에 걸렸는지에 대한 심리적 요인을 설명할 때 사용.
      • 질병은 **심리적 특성의 신체적 발현(somatic manifestation of psychological traits)**으로 구성됨.
    • 로맨틱 담론(Romantic Discourse)
      • 남편과 아내가 함께 질병에 맞서 싸우는 과정을 묘사할 때 사용.
      • 질병은 **'악'(separation through death)과 싸우는 '선'(loving couple)의 적(enemy)**으로 구성됨.

4. 단계별 분석 절차

  1. 담론적 구성물의 다양성 식별
    • 텍스트 내에서 동일한 담론적 구성물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는지 확인.
    • 예: 질병 → 의학적, 심리적, 사회적 관점에서 다르게 묘사.
  2. 넓은 담론과 연결
    • 각 구성 방식이 어떤 사회적 담론을 반영하는지 탐구.
    • 담론이 어떻게 특정 세계관이나 가치관을 반영하는지 분석.
  3. 담론 간 차이와 관계 탐구
    • 다양한 담론이 동일한 구성물을 통해 어떻게 협력하거나 대립하는지 확인.
    • 예: 의학적 담론은 치료를 강조하지만, 심리학적 담론은 원인 분석에 초점을 둘 수 있음.

5. 학술적 의의

  • 맥락에 따른 다중적 해석:
    • 동일한 담론적 구성물이라도 다양한 담론을 통해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권력과 지식의 관계 탐구:
    • 각 담론이 특정 집단(의료 전문가, 심리학자, 가족 등)의 권력과 지식을 어떻게 강화하거나 제한하는지 이해 가능.
  • 복합성 탐구:
    • 한 텍스트 내에서도 서로 다른 담론이 복합적으로 작동하여 개인의 경험과 세계관을 형성하는 과정을 드러냅니다.

6. 실제 적용 예시

  • 의료 현장 연구
    • 의사와 환자가 질병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의사가 의학적 담론에 의존하는 반면, 환자는 감정적 담론을 강조할 수 있음.
    • 이러한 차이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불일치를 유발할 수 있음.
  • 교육 연구
    • '전문직업성'이라는 개념이 교사와 학생 간 다르게 구성되는 방식 분석.
    • 예: 교사는 규율과 지식을 강조하지만, 학생은 관계와 소통을 강조할 수 있음.

7. 한 줄 요약

Stage 2는 담론적 구성물이 텍스트 내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는 방식을 탐구하고, 이를 더 넓은 사회적 담론의 맥락에서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이는 다양한 담론 간 상호작용과 권력-지식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Stage 3: Action Orientation The third stage of analysis involves a closer examination of the discursive contexts within which the different constructions of the object are being deployed. What is gained from constructing the object in this particular way at this particular point within the text? What is its function and how does it relate to other constructions produced in the surrounding text? These ques¬ tions are concerned with what discursive psychology refers to as the action orientation of talk and text. To return to our example of a wife talking about her husband's cancer, it may be that her use of biomedical discourse allows her to attribute responsibilit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to medical pro¬ fessionals and to emphasize that her husband is being taken good care of. Her use of romantic discourse may have been produced in response to a question about her own role in her husband's recovery after surgery and may have served to emphasize that she is, in fact,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his recovery. Finally, psychological discourse may have been used to account for her husband's cancer in order to disclaim responsibility for sharing in a carcinogenic lifestyle (for example, 'I told him to slow down and take better care of himself but he wouldn't listen'). A focus on action orientation allows us to gain a clearer understanding of what the various constructions of the discursive object are capable of achieving within the text

 

Stage 3: Action Orientation는 텍스트 또는 대화에서 특정 담론적 구성물이 어떤 맥락에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여기서 강조하는 것은 **구성물의 실용적 목적과 행위 지향성(action orientation)**입니다.


1. 주요 질문

  • 왜 특정 시점에서 특정 방식으로 담론적 구성물이 사용되는가?
    • 텍스트에서 특정 담론이 어떤 기능을 수행하며,
    • 다른 담론적 구성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분석합니다.
  • 행위 지향성(Action Orientation)이란?
    • 담론적 구성물이 텍스트 내에서 어떤 목적이나 효과를 가지며,
    • 특정 대화나 발언에서 어떤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지에 주목합니다.

2. 분석 방법

  1. 맥락 분석
    • 특정 담론이 사용된 맥락을 살펴보고, 그것이 어떤 목표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었는지 탐구합니다.
    • 예: 특정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특정 담론이 사용되는 경우, 그 의도를 분석.
  2. 기능적 역할 이해
    • 담론적 구성물이 텍스트나 대화에서 어떤 의미적 또는 실용적 역할을 하는지 평가.
    • 예: 책임 전가, 자기 방어, 긍정적 이미지 구축 등.
  3. 다른 구성과의 관계 분석
    • 동일한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여러 담론적 구성물 간의 연결성과 대조를 분석.
    • 어떤 구성물이 다른 구성물을 보완하거나, 상충되거나, 대체하는지 탐구.

3. 예시 설명: 남편의 암에 대한 아내의 발언

이 사례는 텍스트 내에서 세 가지 주요 담론(의학적, 로맨틱, 심리적 담론)이 각각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을 보여줍니다.

1. 의학적 담론(Biomedical Discourse)

  • 맥락: 남편의 진단과 치료 과정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사용됨.
  • 기능:
    • 진단과 치료의 책임을 의료 전문가에게 귀속시킴.
    • 남편이 의료적으로 잘 돌봄을 받고 있다는 점을 강조.

2. 로맨틱 담론(Romantic Discourse)

  • 맥락: 자신의 역할에 대해 질문을 받았을 때 사용.
  • 기능:
    • 자신의 기여도를 강조하여 남편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표현.
    • 사랑과 헌신을 통해 질병에 맞서 싸우는 적극적인 주체로 자신을 묘사.

3. 심리적 담론(Psychological Discourse)

  • 맥락: 남편의 암 발생 원인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
  • 기능:
    • 암의 원인을 남편의 생활 방식으로 귀속시켜, 자신에게는 책임이 없음을 강조.
    • 예: "그가 쉬고 자기 관리를 하도록 내가 설득했지만, 말을 듣지 않았다."

4. 주요 시사점

  • 다양한 담론의 실용적 목적
    • 동일한 텍스트 내에서도 특정 담론은 책임 전가, 자기 방어, 긍정적 이미지 구축 등의 다양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음.
  • 텍스트 맥락의 중요성
    • 특정 담론이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었는지를 이해하면, 그것이 특정 행위를 정당화하거나 가능하게 하는 방식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음.
  • 행위의 사회적 의미 분석
    • 담론적 구성물이 어떻게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개인의 위치를 조정하며,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는지를 탐구.

5. 실제 적용 예시

의료 커뮤니케이션 연구

  • 의사-환자 관계에서 환자가 자신의 증상과 경험을 이야기하는 방식은 진단의 책임을 의사에게 전가하거나, 자신의 경험을 정당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

교육 환경 연구

  • 학생들의 학업 성과에 대해 교사가 사용하는 담론:
    • "학생의 책임" 담론: 학생의 노력 부족으로 원인을 귀속.
    • "시스템의 한계" 담론: 교육 시스템의 문제로 귀속.

6. 학술적 의의

  • 담론이 특정 맥락에서 어떤 실질적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개인이나 집단이 자신들의 위치를 구성하고, 관계를 형성하며, 특정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Stage 3은 단순한 담론 분석을 넘어 담론의 행위적 기능을 조명함으로써, 텍스트와 대화의 역동성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도구를 제공합니다.

한 줄 요약

Stage 3: Action Orientation은 특정 담론이 텍스트 내에서 어떤 목적과 기능을 수행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맥락과 상호작용하여 어떤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지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Stage 4: Positionings Having identified the various constructions of the discursive object within the text, and having located them within wider discourses, we now take a closer look at the subject positions which they offer. A subject position within a discourse identifies 'a location for persons within the structure of rights and duties for those who use that repertoire' (Davies and Harre, 1999: 35). In other words, discourses construct subjects as well as objects, and, as a result, make available positions within networks of meaning which speakers can take up (as well as place others within). Subject positions are different from roles in that they offer discursive locations from which to speak and act rather than prescribing a particular part to be acted out. In addition, roles can be played without subjective identification, whereas taking up a subject position has direct implications for subjectivity (see stage 6 below).

 

Stage 4: Positionings는 담론이 **주체(subject)**와 **객체(object)**를 구성하는 방식을 분석하며, 이들이 텍스트 내에서 **어떤 위치(subject position)**를 점유하거나 부여받는지 탐구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는 담론이 제공하는 위치를 통해 사람들이 자신의 정체성과 관계를 형성하고, 그들의 행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1. 주요 개념

  • 주체 위치(Subject Position):
    • 담론 내에서 개인이 점유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합니다.
    • 이는 권리와 의무의 구조 안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개인의 위치를 설명합니다.
    • 예: 의학적 담론에서는 의사가 권위적이고 과학적 지식의 소유자로 위치지어질 수 있고, 환자는 수동적이고 돌봄을 받는 위치에 놓일 수 있음.
  • 주체 위치와 역할(Role)의 차이점:
    • 역할은 특정 행동을 요구하거나 규정하는 반면, 주체 위치는 담론적 맥락에서 행위하고 말할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합니다.
    • 역할은 정체성과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지만, 주체 위치를 받아들이는 것은 **주관적 정체성(subjectivity)**과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2. 분석 방법

  1. 주체 위치의 식별:
    • 담론적 구성물이 텍스트에서 개인과 집단에게 어떤 위치를 제공하는지 탐구.
    • 예: '돌보는 사람'으로서의 간호사, '결정권자'로서의 의사, '치료 대상'으로서의 환자.
  2. 위치 간 상호작용 탐구:
    • 주체 위치가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분석.
    • 예: 의사가 환자에게 지시할 때 권위적 위치를 취할 수 있지만, 환자는 '전문적 조언을 따르는 책임 있는 환자'라는 위치를 점유.
  3. 담론과 정체성 연결:
    • 특정 위치가 개인의 **자아 인식과 정체성(subjectivity)**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
    • 예: '좋은 어머니'라는 담론적 위치는 아이를 잘 돌봐야 한다는 사회적 기대를 반영하며, 어머니가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음.

3. 예시 분석: 남편의 암에 대한 아내의 발언

이 사례에서 텍스트 내 다양한 주체 위치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1. 의학적 담론(Biomedical Discourse):

  • 위치:
    • 의사: 치료의 책임자, 전문적 판단을 내리는 위치.
    • 아내: 남편의 상태를 관찰하고 의사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수동적 지원자.
  • 정체성:
    • 아내는 의료 시스템에 의존하며, 남편의 건강을 책임지지 않는 위치에서 자신을 인식할 수 있음.

2. 로맨틱 담론(Romantic Discourse):

  • 위치:
    • 아내: 남편의 회복을 돕는 헌신적인 배우자, 사랑의 상징.
    • 남편: 힘든 상황에서도 아내와 함께 싸우는 동반자.
  • 정체성:
    • 아내는 자신을 남편의 회복 여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체로 정체화할 수 있음.

3. 심리적 담론(Psychological Discourse):

  • 위치:
    • 아내: 남편의 암 발생 원인을 예측하고, 자신의 책임을 부정하는 위치.
    • 남편: 자신의 생활 방식 때문에 암에 걸린 사람으로 위치.
  • 정체성:
    • 아내는 남편의 행동과 질병을 객관화하며, 자신의 책임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음.

4. 주요 시사점

  • 주체와 객체의 담론적 구성:
    • 담론은 단지 객체(질병, 상황 등)를 구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주체(개인)가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며 관계를 형성하는지도 형성합니다.
  • 권리와 의무의 구조:
    • 특정 담론은 주체 위치에 따라 누가 무엇을 할 권리와 의무를 가지는지를 규정합니다.
    • 예: 의학적 담론에서 환자는 치료를 받을 권리가 있지만, 동시에 지시에 따를 의무를 가짐.
  • 주체성의 잠재적 갈등:
    • 하나의 텍스트에서 서로 다른 담론이 주체에게 상충하는 위치를 제공할 수 있음.
    • 예: 아내는 '돌보는 배우자'라는 위치와 '의료 책임의 방관자'라는 위치 사이에서 갈등할 수 있음.

5. 실제 적용 예시

교육 연구:

  • 학생들의 위치
    • "학생은 학습의 주체"라는 담론은 학생을 능동적 학습자로 위치시킴.
    • "교사는 지식을 전달하는 권위자"라는 담론은 학생을 수동적 지식 수용자로 위치시킴.

조직 연구:

  • 리더십 담론
    • "리더는 조직을 변화시키는 비전의 소유자"라는 담론은 리더를 혁신적 위치에 놓음.
    • "리더는 팀의 균형을 유지하는 관리자"라는 담론은 리더를 안정적 관리자로 위치시킴.

6. 학술적 의의

  • 정체성의 사회적 구성:
    • 특정 담론적 위치를 통해 개인이 자신을 어떻게 정체화하고, 타인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권력 관계 분석:
    • 담론이 주체를 특정 방식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사회적 권력 관계를 형성하고 강화하는 과정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한 줄 요약

Stage 4: Positionings는 담론이 개인과 집단에게 제공하는 주체 위치를 분석하며, 이러한 위치가 권리, 의무,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관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 탐구하는 단계입니다.

 

Stage 5: Practice This stage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urse and practice. It requires a systematic exploration of the ways in which discursive con¬ structions and the subject positions contained within them open up and/or close down opportunities for action. By constructing particular versions of the world, and by positioning subjects within them in particular ways, discourses limit what can be said and done. Furthermore, non-verbal prac¬ tices can, and do, form part of discourses. For example, the practice of unprotected sex can be bound up with a marital discourse which constructs marriage and its equivalent, the 'long-term relationship', as incompatible with the use of condoms (Willig, 1995). Thus, certain practices become legitimate forms of behaviour from within particular discourses. Such prac¬ tices, in turn, reproduce the discourses which legitimate them in the first place. In this way, speaking and doing support one another in the construc¬ tion of subjects and objects. Stage 5 of the analysis of discourse maps the possibilities for action contained within the discursive constructions identified in the text.

 

Stage 5: Practice는 담론과 실천의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로, 특정 담론이 행동의 가능성과 한계를 어떻게 규정하고 형성하는지를 탐구합니다. 이 단계는 언어적 구성과 비언어적 실천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담론이 행동을 어떻게 정당화하거나 제약하는지를 조명합니다.


1. 주요 질문

  • 특정 담론이 어떤 행동이나 실천을 가능하게 하거나 제한하는가?
  • 담론적 구성물과 주체 위치가 행동 가능성을 어떻게 열거나 닫는가?
  • 행동(실천)이 담론을 어떻게 재생산하거나 강화하는가?

2. 주요 개념

  1. 담론과 행동의 상호작용:
    • 담론은 특정 행동을 합법적이고 적절한 것으로 만들거나 반대로 부적절한 것으로 규정함.
    • 예: 의료적 담론에서 수술은 "치료"라는 맥락에서 정당화되지만, 비의료적 맥락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음.
  2. 비언어적 실천의 역할:
    • 행동(예: 의식, 일상적 습관, 몸짓 등)도 담론의 일부로 간주됨.
    • 이러한 실천은 특정 담론을 강화하거나 유지하는 데 기여함.
    • 예: 결혼 담론에서 결혼한 부부가 피임 없이 성관계를 가지는 것은 담론적 규범을 따른 실천으로 간주될 수 있음.
  3. 담론의 자기 강화:
    • 행동(실천)은 담론을 강화하고, 담론은 다시 그 행동을 정당화하는 순환적 관계를 형성함.
    • 예: 특정 의학적 치료 방식이 환자 돌봄의 표준으로 받아들여지면, 그 치료를 수행하는 행동이 표준을 유지함.

3. 분석 방법

  1. 행동 가능성의 맵핑:
    • 텍스트 내에서 특정 담론이 어떤 행동을 허용하거나 금지하는지 탐구.
    • 예: 교육 담론에서 "좋은 학생"으로 구성된 학생이 적극적으로 질문하는 것은 장려되지만, 수업을 방해하는 행동은 금지됨.
  2. 행동과 담론의 상호작용 탐구:
    • 행동이 담론을 어떻게 재생산하고, 담론이 행동을 어떻게 정당화하는지 분석.
    • 예: 결혼 담론에서 특정 의식(결혼식)은 결혼이라는 담론적 구성물을 강화.
  3. 비언어적 실천 포함:
    • 텍스트에 드러나지 않는 비언어적 행동이 담론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탐구.
    • 예: 특정 옷차림, 몸짓, 의례 등이 담론적 의미를 담고 있을 수 있음.

4. 예시 분석: 결혼 담론과 콘돔 사용

사례 설명:

  • 결혼 담론(Marital Discourse):
    • 결혼이나 장기적인 관계는 신뢰와 안정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구성됨.
    • 이런 구성은 **피임(특히 콘돔 사용)**을 불필요하거나 부적절한 행동으로 간주할 수 있음.

분석:

  • 행동의 가능성:
    • 결혼 담론은 부부 사이에서 콘돔 사용을 제한하거나 배제함으로써 **'안정된 관계'**라는 담론적 규범을 유지.
    • 따라서 결혼한 사람들 사이에서 콘돔을 사용하는 것은 신뢰 부족이나 관계 외적 문제를 암시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
  • 비언어적 실천:
    • 콘돔 사용의 배제는 비언어적 실천으로 결혼 담론을 강화함.
    • 이러한 실천은 결혼을 신뢰와 안정성의 상징으로 구성하는 담론을 재생산.
  • 담론과 행동의 순환:
    • 담론이 행동을 제한 → 행동이 다시 담론을 강화 → 결과적으로 담론은 더욱 굳건해짐.

5. 주요 시사점

  • 담론의 규범 형성:
    • 특정 담론은 행동의 규범과 한계를 정함으로써, 사회적 실천을 특정 방향으로 유도함.
    • 예: 의료 담론은 치료의 윤리적 경계를 설정하고, 교육 담론은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을 정의.
  • 행동과 정체성의 연결:
    • 특정 행동이 허용되거나 금지되는 방식은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사회적 위치에 영향을 미침.
    • 예: '모범적인 부모' 담론은 특정 양육 방식(예: 자녀와의 시간 보내기)을 요구.
  • 비언어적 실천의 중요성:
    • 담론 분석은 언어적 표현뿐만 아니라, 행동, 의식, 신체적 표현과 같은 비언어적 요소도 포함하여 더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6. 실제 적용 예시

의료 분야:

  • 담론: "의사는 환자의 생명을 구해야 한다."
  • 행동: 응급 상황에서 수술이나 약물 처방이 정당화됨.
  • 비언어적 실천: 환자의 동의 없이 응급 수술을 수행하는 것은 담론적 책임에 기반.

교육 분야:

  • 담론: "좋은 학생은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 행동: 시험 준비를 위해 과도한 학습 시간이 정당화됨.
  • 비언어적 실천: 늦은 밤까지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행동은 학습 담론을 강화.

7. 학술적 의의

  • 행동의 사회적 규정:
    • 담론이 사회적 행동을 규정하고 정당화하는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사회적 규범과 제도의 형성 과정을 분석할 수 있음.
  • 담론의 자기 강화 이해:
    • 행동이 담론을 강화하고, 담론이 행동을 제한하는 순환적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담론의 지속 가능성과 변화 가능성을 파악.

한 줄 요약

Stage 5: Practice는 담론이 특정 행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제한하는 방식을 탐구하고, 언어적 구성과 비언어적 실천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행동과 담론의 순환적 관계를 이해하는 단계입니다.

 

Stage 6: Subjectivity The final stage in the analysis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urse and subjectivity. Discourses make available certain ways of seeing the world and certain ways of being in the world. They construct social as well as psychological realities. Discursive position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As Davies and Harre (1999: 35) put it:

 

Once having taken up a particular position as one's own, a person inevitably sees the world from the vantage point of that position and in terms of the particular images, metaphors, storylines and concepts which are made relevant within the particular discursive practice in which they are positioned.

 

This stage in the analysis traces the consequences of taking up various subject positions for the participants' subjective experience. Having asked questions about what can be said and done from within different discourses (Stage 5), we are now concerned with what can be felt, thought and experi¬ enced from within various subject positions.

 

 

Stage 6: Subjectivity는 담론이 개인의 **주관성(subjectivity)**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는 특정 담론 내에서 취해진 **주체 위치(subject position)**가 개인의 세계관, 정체성, 감정, 사고 방식, 경험에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탐구합니다.


1. 주요 개념

  1. 담론과 주관성:
    • 담론은 단순히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심리적 현실(감정, 사고, 경험)**도 형성합니다.
    • 개인은 특정 담론 내에서 취해진 주체 위치를 통해 세상을 인식하고 자신을 이해합니다.
  2. 주체 위치와 주관적 경험:
    • 특정 주체 위치를 취하면 그 위치에서 제공되는 이야기(storylines), 은유(metaphors), **개념(concepts)**에 따라 세상을 보고 경험하게 됩니다.
    • 예: 의료 담론에서 '의사'로서의 위치는 개인이 환자를 돌보는 책임을 느끼도록 하는 주관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
  3. 주체 위치와 세계관의 상호작용:
    • 개인이 특정 주체 위치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일 때, 그 위치는 세계를 보는 렌즈가 되며, 이는 개인의 사고, 감정, 행동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2. 분석 방법

  1. 주체 위치와 주관적 경험 간의 관계 탐구:
    • 특정 담론 내에서 개인이 취하는 주체 위치가 그들의 감정, 사고,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 예: ‘환자’ 위치를 가진 사람은 취약성과 의존을 느낄 수 있음.
  2. 담론적 이야기와 감정적 반응 분석:
    • 특정 담론이 제공하는 이야기나 은유가 개인의 정체성과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
    • 예: '강한 부모'라는 담론은 부모에게 끊임없이 강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줄 수 있음.
  3. 주관적 경험의 결과 이해:
    • 특정 주체 위치를 취함으로써 생기는 긍정적 또는 부정적 결과를 분석.
    • 예: ‘전문가’ 위치를 가진 사람은 자신감을 가질 수 있지만, 동시에 실패에 대한 두려움도 느낄 수 있음.

3. 예시 분석: 남편의 암에 대한 아내의 발언

1. 의학적 담론에서의 주체 위치:

  • 위치: 남편의 건강을 의사에게 맡기는 ‘수동적 지원자’로서의 아내.
  • 주관적 경험:
    • 신뢰감을 느낄 수 있지만, 동시에 무력감이나 의존성을 느낄 가능성.
    • "내가 더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느낌으로 이어질 수 있음.

2. 로맨틱 담론에서의 주체 위치:

  • 위치: 남편의 회복을 돕는 사랑과 헌신의 상징으로서의 아내.
  • 주관적 경험:
    • 사랑과 헌신으로 인한 긍정적 정체감을 느낄 수 있음.
    • 그러나, 실패하거나 좌절할 경우 자기비난이나 부담감을 느낄 가능성.

3. 심리적 담론에서의 주체 위치:

  • 위치: 남편의 생활 방식을 조언했지만, 그가 이를 따르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위치.
  • 주관적 경험:
    • 책임감에서 벗어나 안도감을 느낄 수 있음.
    • 그러나 남편의 질병에 대해 죄책감이나 책임 회피로 인해 관계의 갈등을 느낄 가능성.

4. 주요 시사점

  1. 주체 위치의 감정적 결과:
    • 담론은 개인의 감정적, 심리적 경험을 형성하며, 이는 개인의 행동과 세계관에 장기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예: 특정 담론에서 취약성을 강조하면 개인이 무력감을 느낄 수 있음.
  2. 담론적 세계관의 개인화:
    • 개인은 담론적 구성물을 통해 세계를 인식하고, 자신과 타인을 특정 방식으로 이해함.
    • 예: 의료 담론에서 환자는 자신의 몸을 문제로 인식하게 되는 경향이 있음.
  3. 정체성과 사회적 역할의 연결:
    • 특정 담론에서 주체 위치를 받아들이는 것은 개인의 정체성과 역할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
    • 예: ‘전문가’ 위치를 채택한 사람은 자신을 항상 지식이 풍부하고 실수를 하지 않아야 하는 존재로 정체화할 수 있음.

5. 실제 적용 예시

의료 분야:

  • 담론: 환자는 "치료를 받아야 하는 존재"로 구성.
  • 주관적 경험: 환자는 자신의 의존성을 받아들이며, 스스로 무기력하다고 느낄 수 있음.
  • 결과: 환자는 의료진의 결정에 지나치게 의존하거나, 자신의 상태에 대한 자율성을 잃을 가능성.

교육 분야:

  • 담론: "좋은 학생은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 주관적 경험: 학생은 노력과 성과를 연결 짓고, 실패를 개인적 결함으로 받아들일 가능성.
  • 결과: 자신감 상승 또는 낮은 성과로 인해 자존감 저하.

6. 학술적 의의

  • 개인의 심리적 현실 탐구:
    • 담론이 단지 외부적 실천이나 규범을 형성하는 것을 넘어, 개인의 내면적 경험과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명합니다.
  • 정체성과 담론의 관계:
    • 담론은 개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개인의 삶에서 지속적 영향을 미칩니다.
  • 비판적 시각 제공:
    • 특정 담론이 개인에게 부정적 감정이나 경험을 강요할 수 있음을 드러내고, 이러한 담론을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합니다.

한 줄 요약

Stage 6: Subjectivity는 특정 담론 내 주체 위치가 개인의 정체성과 세계관, 그리고 심리적, 감정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여 담론과 주관성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단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