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son Centre

[Indigenous] 원주민과 고등 교육: 네 가지 R - 존중, 관련성, 호혜성, 책임성

Meded. 2024. 5. 27. 10:57

출처: Kirkness, V. J., & Barnhardt, R. (1991). First Nations and higher education: The four R's—Respect, relevance, reciprocity, responsibility. Journal of American Indian Education, 1-15.

https://iportal.usask.ca/record/3191

First Nations and Higher Education: The Four R's - Respect, Relevance, Reciprocity, Responsibility

서론

미국과 캐나다에서 원주민, 즉 아메리칸 인디언/퍼스트 네이션/네이티브 사람들은 대학 졸업생의 비율이 역사적으로 낮았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기관의 관점에서 낮은 성취도, 높은 중도 탈락률, 낮은 유지율 등으로 정의되어 학생이 적응해야 할 책임을 지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그러나 원주민 학생의 관점에서는 이 문제가 보다 인간적인 측면에서 다뤄지며, 그들이 누구인지를 존중하고, 그들의 세계관에 맞는 교육 시스템, 상호 관계에서의 상호 호혜, 그리고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다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의 필요성에 중점을 둡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관점 차이의 의미를 검토하고, 캐나다와 미국에서 원주민을 위한 고등 교육의 풍경을 변화시키는 다양한 노력들을 살펴봅니다.

 

인도네시아의 한 부족이 원숭이를 살아있는 상태로 포획하는 독창적인 방법을 가진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들은 코코넛 껍질에 원숭이가 손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큰 구멍을 뚫고, 그 안에 땅콩을 넣은 후 나무에 부착합니다. 원숭이는 껍질 구멍을 통해 손을 넣어 땅콩을 잡지만, 손을 뺄 때 주먹을 펴지 않으면 빠져나올 수 없게 되어 결국 포획됩니다.

 

처음에는 이 이야기를 듣고 우리는 인간의 기발한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더 깊이 들여다보면, 원숭이의 처지에 있는 우리의 모습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종종 습관적인 행동에 사로잡혀 미래의 복지를 위해 적시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하지 않으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단일 언어 정책을 강화하여 다문화 사회에 단일 언어를 강요하려는 노력이나, 자원 고갈에 대한 미래 세대의 필요를 거의 고려하지 않은 채 자원 추출 정책을 고수하는 경우가 그렇습니다. 이 논문에서는 캐나다와 미국의 대학들이 원주민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교육 기회와 관련하여 이와 유사한 '코코넛에 손 넣기'식의 근시안적 정책과 관행의 정도를 검토할 것입니다.

 

대학들은 일반적으로 "모두를 위한 평등한 교육 기회"라는 정치적 수사를 채택하고 있지만, 이러한 수사를 현실로 바꾸기 위한 많은 기관의 노력은 여전히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논문 주요 내용 요약

  1. 존중 (Respect)
    • 원주민 학생들을 그들이 누구인지에 따라 존중하는 교육 시스템의 필요성
    • 그들의 문화, 가치, 전통을 인정하고 포용하는 학문적 환경 조성
  2. 관련성 (Relevance)
    • 원주민의 세계관에 맞춘 교육과정 개발
    • 학습 내용이 원주민 학생들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관되고 의미 있게 느껴질 수 있도록 설계
  3. 상호 호혜 (Reciprocity)
    • 학생과 교수, 학교 간의 상호 유익한 관계 구축
    • 원주민 커뮤니티와의 협력 및 교류를 통해 상호 이해와 지원 강화
  4. 책임 (Responsibility)
    • 원주민 학생들이 자신의 삶에 대한 주체적 책임감을 갖도록 지원하는 교육 환경 제공
    • 개인의 성장과 자율성을 촉진하는 교육적 접근 방식

이 논문은 원주민 학생들을 위한 교육 기회가 단순히 학문적 성공만을 목표로 하지 않고, 그들의 문화와 정체성을 존중하며,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구축하며, 책임감을 갖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원주민 학생들이 고등 교육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질문들

이 지속적인 문제를 진지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몇 가지 어려운 질문을 스스로에게 물어야 합니다:

  1. 왜 대학들은 원주민 학생들에게 최악의 결과를 낳은 정책과 관행을 계속 유지하는가?
    • 수많은 연구와 문서 증거를 통해 더 적절하고 효과적인 대안이 존재함을 알면서도 왜 변화하지 않는가?
  2. 왜 대학들은 제도화된 차별의 존재에 둔감한가?
    • 일부 관행이 대학 자체의 존재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3. 대학들이 원주민 학생들의 참여와 졸업률을 높이기 위해 극복해야 할 장애물은 무엇인가?

이 복잡한 질문들에 대한 단순하거나 단일한 답변은 없습니다. 그러나 대학과 연관된 모든 사람들이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계속 노력해야 하며, 그 과정에서 가장 소중히 여기는 믿음을 일부 포기하고 적절한 대안을 자유롭게 고려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제 이 여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몇 가지 문제와 고려해야 할 정책 및 관행 옵션을 살펴보겠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한 고려 사항

  1. 정책과 관행의 검토 및 수정
    • 대학은 기존의 정책과 관행을 철저히 검토하여 원주민 학생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요소를 식별하고 수정해야 합니다.
  2. 제도화된 차별 인식 및 제거
    • 대학은 제도 내에 숨어 있는 차별적 요소를 인식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3. 참여와 완성도 향상 방안
    • 원주민 학생들의 참여와 졸업률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합니다.
  4. 연구와 증거 기반 접근
    • 기존의 연구와 증거를 바탕으로 원주민 학생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도입해야 합니다.
  5. 문화적 민감성 및 존중
    • 교육 과정과 환경에서 원주민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과 정체성을 존중하고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6. 커뮤니티와의 협력
    • 원주민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에 그들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합니다.

이러한 고려 사항들은 대학이 원주민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그들이 성공적으로 학업을 마칠 수 있도록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대학에 다닌다는 것: 두 가지 관점

먼저, 대학에 다닌다는 것이 두 가지 관점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하나는 대학의 관점에서 본 학생의 '오는' 것, 다른 하나는 학생의 관점에서 본 대학의 '가는' 것입니다. 대학의 관점에서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대학이 제공하는 것을 받아들이기 위해 '오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 관점에서는 대학이 사회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형성된 정책, 관행, 프로그램 및 기준을 가진 기관으로 간주됩니다. 대학에 오는 학생들은 대학이 제공하는 지식과 기술의 혜택을 얻기 위해 대학의 운영 방식에 적응해야 하며, 이러한 혜택은 일반적으로 더 나은 고임금 직업으로 번역됩니다. 이 관점에서 원주민 학생들과 같은 특정 학생 그룹이 기존의 제도적 규범과 기대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고 다른 학생들과 비교하여 '성공'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때, 대학의 일반적인 대응은 이탈한 학생들에게 집중하고 그들을 제도적 환경에 사회화시키는 노력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대학은 성취도와 유지율이 낮은 문제를 내부적으로 구성하고 외부적으로 강화된 문제로 간주할 때, 원주민 학생들에게 적응하고 대학의 사회적 구조에 통합될 것을 강요하는 압력을 강화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희생자 탓' 관점에서 나오는 일반적인 해결책은 특별 상담 및 조언 센터, '브리징' 및 '개발' 프로그램, 튜토리얼 및 다양한 추가 학생 지원 서비스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문제 학생들이 대학이 제공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받아들이도록 돕기 위한 것입니다. 학생들이 대학 문에서 자신의 문화적 성향을 체크인할 수 있는 한, 이러한 종류의 이니셔티브는 그들이 제도적 문화로의 전환을 돕지만, 이러한 강화 노력만으로는 원주민 학생들의 고등 교육에서의 완전하고 평등한 참여라는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캐나다와 미국의 대학들에서 확산된 많은 선의의 지원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원주민 학생들의 전체적인 '중도 탈락' 및 '유지율'은 여전히 두 나라의 모든 대학생들 중 최하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논점 요약

  1. 대학의 기존 관점
    • 대학은 학생들이 자신의 정책과 관행에 적응할 것을 기대합니다.
    • 원주민 학생들이 적응하지 못할 때, 대학은 학생들에게 책임을 돌리며 추가 지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학생의 관점
    • 원주민 학생들은 대학이 자신의 문화와 정체성을 존중하고 반영하지 못한다고 느낍니다.
    • 그들은 자신들의 문화적 배경을 유지하면서도 학업에 성공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을 원합니다.
  3. 대학의 대응
    • 대학은 원주민 학생들에게 적응할 것을 강요하는 압력을 강화합니다.
    • 다양한 지원 서비스에도 불구하고, 원주민 학생들의 성취도와 유지율은 여전히 낮습니다.

제안된 해결책

  1. 정책 및 관행의 전환
    • 대학은 원주민 학생들이 대학의 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이 원주민 학생들의 문화와 정체성을 존중하고 반영하도록 변화해야 합니다.
  2. 문화적 민감성 강화
    • 대학은 원주민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3. 지원 서비스의 효과성 증대
    • 단순히 적응을 돕는 서비스에서 벗어나, 원주민 학생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학업에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로 전환해야 합니다.
  4. 학생 중심의 접근 방식
    • 학생들의 문화적, 사회적 배경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대학은 원주민 학생들이 학업에서 성공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통계로 본 실태

통계는 다음과 같은 현실을 보여줍니다:

  • 캐나다 (1986년): 퍼스트 네이션(First Nations) 인구의 대학 졸업률은 1.3%로, 일반 인구의 9.6%에 비해 현저히 낮습니다. 즉, 비원주민이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보다 대학 학위를 성공적으로 취득할 가능성이 7.4배 높습니다(Armstrong, Oberle, Kennedy, 1990).
  • 미국 (1984년): 미국 원주민 학생의 고등학교 졸업률은 60% 이하였으며, 이 중 1/3만이 대학에 진학했습니다. 하지만 대학에 진학한 학생 중 15%만이 4년제 학위를 취득하여 전체 대학 졸업률은 3%로, 일반 인구의 16%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Tierney, 1991; Fries, 1987). 1990년대 중반에 대학에 진학한 미국 원주민 학생 중 24%만이 대학 진학 전 커리큘럼을 완료했습니다(전체 대학 진학 예정자 중 56%)(Pavel et al, 1998).
  • 캐나다 (1986년): 퍼스트 네이션 인구 중 25%만이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비원주민 인구의 절반에 비해 낮은 수치입니다. 대학에 진학한 퍼스트 네이션 학생 중 25%만이 학위를 취득했으며, 비원주민의 55%와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Armstrong, Kenney & Oberle, 1990).
  • 미국 (1986년): 미국에서 500명 이상의 미국 원주민 학생이 등록된 4년제 대학은 7개에 불과했으며, 대부분은 원주민 자치 대학이었습니다(Tierney, 1991).

미국과 캐나다의 주요 대학들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을 만족스럽게 유치하고 유지하는 환경을 아직 제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학의 정책과 프로그램은 주로 학생들이 자신들의 문화에서 대학의 문화로 전환하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Beaty and Chiste, 1986; Pottinger, 1989).

대학의 암묵적 가정

미국 원주민 학생들의 대학 경험을 연구한 Tierney는 대학이 학생들을 제도에 통합하려는 노력을 기반으로 하는 다섯 가지 암묵적 "공리"를 식별했습니다:

  1. 대학은 의례적인 상황으로서, 인생의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의 이동을 상징합니다.
  2.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의 이동은 이전 상태를 떠나 새로운 상태로의 이동을 필요로 합니다.
  3. 대학 교육의 성공은 개인이 새로운 사회의 관습에 성공적으로 통합되는 것을 요구합니다.
  4. 대학은 그 구성원을 비슷한 목표로 통합, 재생산, 통합하는 역할을 합니다.
  5. 대학은 학생들이 학문적, 사회적으로 통합되도록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을 개발해야 합니다.

요약

통계와 연구를 통해, 미국과 캐나다의 주류 대학들이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지 못하고 있으며, 대학 정책이 학생들의 문화를 존중하고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의 고등 교육 참여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문화적 민감성과 정책적 변화를 포함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학생의 시각에서 본 대학 교육

Tierney가 인터뷰한 미국 원주민 학생들의 관점에서 보면, 그들이 대학에 가는 이유는 단순히 대학의 문화에 사회적으로 통합되기 위해서가 아니었습니다. 특히, 그들의 문화를 희생하면서까지 대학 문화에 적응하는 것은 그들이 원하지 않는 일이었습니다. 한 학생의 인터뷰를 통해 이를 명확히 볼 수 있습니다:

"나는 백인들이 교육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지만, 인디언들은 종종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교육이 직업과 기술을 제공한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제가 여기 있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많은 아이들과 그들의 부모들은 교육이 학생들을 그들 자신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고 봅니다... 저는 대학에서 그들에게 교육이 나를 다른 사람으로 만들려고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내가 여기에 있지 않을 때, 나는 내가 누구인지 배웠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배웠을 때, 나는 여기로 다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잠시 동안 떠났다가 다시 돌아왔습니다. 그것은 내가 받은 최고의 선물 중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냥 떠나버립니다." (Tierney, 1993, p. 311)

 

이러한 관점에서 대학은 학생의 문화적 정체성을 존중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축되는 한에서만 유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학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의 문화적 성향과 목표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자신을 제시해야 합니다. 프로그램과 서비스는 학생들이 "집에 온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특별 프로그램과 지원 서비스는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을 유치하고 유지하는 데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대학 교육의 중요성

많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에게 직업 기회가 동기 부여 요소가 될 수 있지만, 이러한 "직업"은 종종 자치권 행사나 전문 직업 및 정책 결정 분야에서 퍼스트 네이션의 관점을 반영하는 것과 같은 더 넓은 집단적/부족적 고려 사항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고려 사항에 대한 이해와 주의가 부족하다는 점은 최근 캐나다의 "대학 교육과 경제적 복지"에 관한 정부 보고서에서 지적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정책과 프로그램이 대학 참여와 성공을 증가시키려면 동기 부여 요인에 대한 더 큰 이해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습니다(Armstrong, Kennedy and Oberle, 1990, p. 19). 달하우지 대학교 원주민 학생 협회의 회장인 Wendy Hull은 다음과 같은 관찰을 통해 이 점을 강조합니다:

"대학 교육은 내 인생에서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정부와 협상하기 시작할 때는 중요합니다." (Harrington, 1991, p. 4)

 

퍼스트 네이션 커뮤니티와 학생들에게 대학 교육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중요할 수 있습니다:

  • 기회의 평등 실현: 더 큰 사회에서의 기회에 동참하는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집단적 사회 및 경제적 이동 수단: 집단적 이동성을 위한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의존성 극복 및 신식민주의 탈피: 의존성과 신식민주의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퍼스트 네이션 지식 발전 연구: 퍼스트 네이션의 지식을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전문 지식과 리더십 제공: 퍼스트 네이션 커뮤니티에 필요한 전문 지식과 리더십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주류 문화의 이해: 주류 문화를 이해하고 인종 차별의 정치와 역사를 배우는 수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대학 교육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에게 단순한 학업적 성취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대학은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과 목표를 존중하고 반영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그들이 "집에 온 것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의 참여와 성공을 지속적으로 유도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대학교육에서의 "Four R's" 원칙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이유는 단순히 졸업률과 유지율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이들의 문제는 인간적이고 문화적으로 민감한 용어로 정의되며, 단순히 더 나은 직업을 얻기 위한 목적을 넘어서는 더 큰 목적을 반영합니다.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과 커뮤니티는 개인의 성취를 넘어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사회로 발전하기 위한 "역량 구축"의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교육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직업은 중요한 수단이지만,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닙니다.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이 자신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사, 의사, 변호사, 관리자, 회계사, 건축가, 역사학자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스콰미쉬(Squamish) 네이션의 원로인 사이먼 베이커(Chief Simon Baker)는 "백인 변호사가 당신의 밴드 정부를 운영하는 것은 퍼스트 네이션의 자치 정부가 아니다"라고 자주 언급하였습니다. 이러한 감정은 달하우지 로스쿨(Dalhousie Law School)의 교수이자 모호크(Mohawk) 출신인 패트리샤 몬투어(Patricia Monture)에 의해 공유되었습니다. 그녀는 대학 교육을 받는 것이 자치권을 얻기 위한 필수적이지만 종종 불쾌한 단계라고 지적하며, "캐나다는 우리와 대화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 우리가 두 배로 노력하여 그들과 대화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Harrington, 1991, p. 4).

 

따라서 대학이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과 커뮤니티의 고등교육 및 인적 자원 필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생산적인 양방향 교환을 촉진하기 위해 어떻게 재편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Four R's"인 존중(respect), 관련성(relevance), 상호성(reciprocity), 책임(responsibility)의 의미를 더 깊이 탐구해 보겠습니다.

존중 (Respect)

존중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의 문화적 정체성과 배경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입니다. 대학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문화적 유산을 유지하면서 학업을 추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포기하지 않고도 학문적 성공을 거둘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련성 (Relevance)

교육 프로그램과 커리큘럼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의 삶과 문화적 배경에 관련성이 있어야 합니다. 이는 교육 내용이 학생들의 실제 경험과 연결되고, 그들의 커뮤니티와 사회에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련성은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배운 것을 자신의 커뮤니티에 적용하고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상호성 (Reciprocity)

상호성은 교육 과정에서 학생과 대학 간의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대학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에게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와 지혜로부터 배우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이는 양방향의 지식 교환을 통해 상호 이해와 존중을 증진시키는 것입니다.

책임 (Responsibility)

대학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의 성공을 지원하는 데 있어 책임을 져야 합니다. 이는 학생들이 학업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들의 필요에 맞춘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대학은 학생들의 학문적, 정서적, 사회적 복지를 위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결론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과 커뮤니티의 필요와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대학은 "Four R's" 원칙을 중심으로 자신을 재편해야 합니다. 존중, 관련성, 상호성, 책임의 원칙을 통해 대학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이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학업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퍼스트 네이션 커뮤니티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RESPECT OF FIRST NATIONS CULTURAL INTEGRITY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이 대학에서 직면하는 가장 큰 문제는 개인으로서뿐만 아니라 민족으로서의 존중 부족입니다. 대학은 이들에게 비인격적이고 위협적이며 종종 적대적인 환경을 대표하며, 그들이 지닌 문화적 지식, 전통 및 핵심 가치를 거의 인정하지 않으며 존중받기는커녕 무시당하기 일쑤입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세계에서 가져온 문화적 성향을 대학 문 앞에 두고 새로운 형태의 현실을 받아들이도록 요구받습니다. 이 새로운 현실은 종종 그들의 현실과 상당히 다릅니다.

 

일반적인 대학 캠퍼스의 물리적 및 사회적 환경은 교수와 학생들을 "현실 세계"로부터 보호하려는 의도로 설계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대학은 그 자체로 하나의 독립된 현실입니다. 이는 문해 중심의 세계로서, 문맥이 제거된 문해 지식만이 중요하게 여겨지며, 그 지식은 고도로 전문화된 문해 형태로 표현되어야 합니다. 문해 지식을 영속시키는 기관으로서 대학은 우리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지만, 세상에는 다른 종류의 지식도 있으며, "아이보리 타워"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방식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과 관련된 지식은 전통 지식, 구술 지식, 원주민 지식 등으로 불리며, 문해 전통에 따라 다르게 불립니다. (Goody, 1982, p. 201) 이러한 지식은 집단마다 상당히 다를 수 있지만, 중요한 특징은 그 의미, 가치, 사용이 그 문화적 맥락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지식은 일상 생활에 철저히 통합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실제 활동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획득됩니다. 이러한 지식을 전체적으로 고려하면, 특정한 세계관, 의식 형태, 또는 현실 세트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북부 아사바스칸 공동체의 현대 가치와 생활 방식을 조사한 Ron과 Suzy Scollon (Scollon and Scollon, 1981, p. 100)은 이러한 "토착 현실 세트"가 "현대 의식"과 구별되는 네 가지 측면을 확인했습니다. 이들은 자급자족에 대한 높은 존중, 타인의 일에 대한 비개입, 유용한 지식의 총체적이고 내부적으로 일관된 세계관으로의 통합, 복잡한 조직 구조에 대한 경멸 등을 포함합니다. Scollon은 이러한 지역적 의식의 측면이 원주민이 서구 기관과 현대 의식의 구성 요소적, 전문적, 체계적, 관료적 형태와 마주칠 때 상당한 상호 긴장과 갈등을 초래한다고 지적합니다. 원주민의 총체적 통합 및 내부적 일관성은 관료적 기관의 구분된 세계와 쉽게 조화되지 않습니다.

 

퍼스트 네이션 학생이 대학에 올 때 (현대 의식의 가상 구현인 대학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의식을 획득하고 받아들여야 하는데, 이는 원주민 의식을 대체할 뿐만 아니라 종종 그것을 평가절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많은 학생에게 이는 그들이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희생입니다. 만약 그들이 입학한 후 "완료" 전에 철수하면, 대학은 그들을 "중도 탈락자"로 낙인찍습니다. 희생을 감수하고 견디는 사람들은 결국 두 세계 사이에서 찢어지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어, 경쟁하는 가치와 열망으로 인한 문화적 및 심리적 갈등을 조화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투쟁을 겪게 됩니다.

INSTITUTION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Scollon은 앨라스카 페어뱅크스 대학교에서의 원주민 학생 유치 및 유지 문제에 대한 연구에서 이 경쟁 현실 인식 문제의 일부를 요약했습니다. Scollon은 고등 교육 기관에서의 유지 문제는 다른 어떤 요인보다 문제 정의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현대 관료제 기관과 비서구 문화 집단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현실 인식 세트의 갈등 문제로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관료제 기관은 문해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관은 그 환경에 대해 매우 비응답적이라는 것입니다.

 

Scollon은 대학에서의 높은 원주민 학생 중도 탈락 문제를 "기관 지식"과 "인간 지식" 간의 갈등으로 설명했습니다. "기관 지식"은 개인 구성원 또는 클라이언트 간의 관계를 기관적 고려사항에 의해 통제되는 관계로 설명하며, "인간 지식"은 인간의 대인관계적 고려사항에 의해 통제되는 관계로 설명합니다. 문제를 "유지 문제"로 구성함으로써 기관은 앨라스카 원주민 학생의 관점에서 문제를 인식할 수 없었습니다. Scollon은 학생의 기관 참여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기관 구성원의 인간 지식 영역을 늘려야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퍼스트 네이션의 문화적 가치와 전통을 포함하고 존중하는 대학의 인간 지식 영역을 확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에게 더 친화적인 기관을 만들기 위해 반드시 시작해야 할 작업입니다. 대학 설정에서 지식의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문화적 거리와 역할 이분법을 줄이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문화적 통합 프로그램 도입: 퍼스트 네이션의 문화와 전통을 포함한 커리큘럼을 개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학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지원 서비스 확충: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심리 상담, 커뮤니티 연계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그들의 학업적, 정서적, 사회적 복지를 도모합니다.
  • 교직원 교육: 교직원이 퍼스트 네이션의 문화적 배경과 가치에 대해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교육과 워크숍을 실시합니다.
  • 학생 참여 확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이 대학의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대학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에게 보다 포용적이고 존중받는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RELEVANCE TO FIRST NATIONS PERSPECTIVES AND EXPERIENCE

대학이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과 커뮤니티의 문화적 무결성을 존중하려면, 단순히 문해 지식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것에서 나아가 원주민 지식과 기술을 제도적으로 인정해야 합니다. Goody (1982, p. 201)는 이를 "책에서 비롯되지 않은 지식 형태의 재평가"로 표현합니다. 이러한 책임은 원주민 지식에 대한 제도적 존중과 학생들이 자신들의 전통적인 의식과 표현 형식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퍼스트 네이션(구술) 관점을 일상적인 대학(문해) 운영에 포함시키는 작업은 두 개의 현실 세트를 하나의 관점으로 설명해야 하는 내재된 문제로 인해 복잡합니다. 그러나, 점점 더 많은 퍼스트 네이션 학자들의 도움으로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고 전달되는지에 대한 더 문화적으로 포용적인 관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Sto:lo 네이션의 Jo-ann Archibald는 문해와 구술의 관계에 대해 "문해와 구술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사고와 글쓰기 방식을 정의하고 창출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비디오, 텔레비전, 영화가 결합된 우리의 세계는 구술/문해/시각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조합은 퍼스트 네이션에게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공하며, 이는 역사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우리의 사람들을 치유하는 데 필요한 전통적인 총체적 접근 방식에 근접합니다 (Archibald, 1990, p. 66).

 

Eber Hampton은 퍼스트 네이션 교육 이론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몇 가지 자질을 확인하려고 노력했습니다 (Hampton, 1988, p. 19). 그는 이를 평가하기 위한 12가지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습니다:

  • Spirituality - 영적 관계에 대한 이해.
  • Service - 교육의 목적은 사람들에게 기여하는 것.
  • Diversity - 인디언 교육은 다양한 부족과 커뮤니티의 기준을 충족해야 함.
  • Culture - 문화적으로 결정된 사고, 의사소통 및 생활 방식의 중요성.
  • Tradition - 전통과의 연속성.
  • Respect - 개인과 그룹 간의 상호 강화 관계.
  • History - 대륙의 상실과 지속적인 인종적, 정치적 억압을 포함한 인디언 역사에 대한 이해.
  • Relentlessness - 인디언 아이들을 위한 좋은 학교를 위한 투쟁에 대한 헌신.
  • Vitality - 인디언 사람들과 문화의 강점에 대한 인식.
  • Conflict - 억압의 역학과 결과에 대한 이해.
  • Place - 장소, 땅, 영토의 중요성.
  • Transformation - 개인적 및 사회적 변화에 대한 헌신.

이러한 자질 목록은 대학(및 학교)이 퍼스트 네이션의 고려 사항에 얼마나 존중적이고 관련 있는지 정책과 관행을 검토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합니다. Hampton의 기준은 대학이 익숙한 평가 기준과 다를 수 있지만, 모든 학생이 공감할 수 있는 포괄적인 기준을 제시합니다. 대학이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의 관점과 경험을 더 잘 반영하고 수용할 수 있게 재구성할 수 있을수록, 모든 학생들의 필요에 더 잘 부응하고 반응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RECIPROCAL RELATIONSHIPS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에게 대학 경험에서 가장 좌절감을 주는 측면 중 하나는 대학 환경에서 지식의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역할 이분법입니다. 대학 교수진이 지식과 전문성을 창출하고 전달하는 역할과 학생이 그 지식과 전문성을 수동적으로 받는 역할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이 가장 잘 반응할 수 있는 개인화된 "인간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방해가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Scollon은 알래스카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우리의 연구는 알래스카 대학과 같은 현대 기관이 그 환경에 반응할 수 있게 되는 유일한 방법은 각 구성원이 각 제도적 행위에서 협상하는 제도적/인간적 인터페이스를 인정하고 활용하는 것임을 시사합니다. 학생들의 표현에 따르면, 우리는 끊임없이 인간적이고 비제도적인 것에 노출되어야 합니다. 교수진의 표현에 따르면, 우리는 자신을 취약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제도적 무취약성은 제도적 비반응성의 표시입니다." (Scollon, 1981, p.18)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이 자신이 속한 기관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헤쳐 나가는 방법을 배우도록 돕기 위해, Scollon은 "기관 환경에서의 문화적 차이"라는 입문 과정을 개발했습니다. 이 과정은 알래스카 대학 페어뱅크스 캠퍼스 1990년 카탈로그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

 

"문화적으로 조직된 사고 과정의 현상에 대한 소개, 현대 기관 환경에서 다양한 언어/문화 전통을 가진 사람들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 패턴에 중점을 둡니다. 알래스카 네이티브와 비네이티브 의사소통 패턴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입니다."

 

유사한 목적을 가진 또 다른 예로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에서 제공하는 "크로스-컬처럴 교육(네이티브 인디언)" 과정이 있습니다. 1990-91 캘린더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

 

"인디언 학생들의 필요에 맞춘 교육 기법; 모든 학생의 문화적 배경을 포함하여 교과 과정을 풍부하게 만드는 방법; 이 과정은 네이티브 인디언의 인류학적, 사회학적 및 역사적 배경을 일부 조사할 것이며, 교육과 관련된 현대적 상황에 중점을 둡니다."

요약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이 대학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지식의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역할 차이입니다. 대학의 기존 구조는 개인화된 인간적 관계를 방해하며, 이는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이 가장 잘 반응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은 인간적 요소를 포함하고 학생들이 대학 환경을 이해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을 개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알래스카 대학의 "기관 환경에서의 문화적 차이" 과정과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의 "크로스-컬처럴 교육(네이티브 인디언)" 과정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논문의 주요 내용

상호 교육 과정

  • 교육과 학습은 상호적인 과정이어야 하며,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해 모두가 새로운 이해의 수준에 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이러한 상호성은 교수가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구축할 때 달성됩니다.
  • 학생들은 자신이 속한 문화와 교육 기관의 내부 작동 방식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현장 기반 프로그램

  • 교수들이 퍼스트 네이션(First Nations) 학생들을 위해 더 접근 가능하고 "취약한" 자세를 취하려는 몇 안 되는 예 중 하나는 교수들이 외곽 지역에 위치한 현장 기반 프로그램입니다.
  • 캐나다와 미국에서 퍼스트 네이션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서 교수들이 외곽 지역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입니다.
  • 이런 배치는 교수와 학생 간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며, 효과적인 교육 경험을 제공합니다.

효과적인 교수 전략

  • 현장 프로그램에서 가장 효과적인 교수들은 주변 세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학생들과 함께 의미와 기술을 구축합니다.
  • 책과 종이, 연필을 사용해 학생들의 이해를 넓히고 깊이 있게 하지만, 지식의 유일한 출처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 학생들의 성취도는 의미 있고 맥락에 적합한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측정합니다.
  • 다양한 지식을 통합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그 지식을 적용하고 표현할 수 있는 과제를 학생들에게 부여합니다.
  • 교수와 학생이 함께 지식을 구축하며, 학생들이 자신만의 관점을 개발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 교수는 학생들과 함께 현실 세계의 모호성, 예측 불가능성, 복잡성을 경험하며, 이 과정에서 미래의 문제 해결에 더 잘 대비된 학생들을 양성합니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 이러한 상호적인 관계에 있는 교수와 학생들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나 설명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 이를 통해 문해력 중심의 세계관과 실제 현실 간의 더 큰 균형과 일치를 확립할 수 있습니다.
  • 모든 교수가 대학 캠퍼스를 떠나 현실 세계로 나갈 필요는 없지만, 일부는 대학 전체를 위한 현실 검증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그러나, 현실 세계로 나가는 교수들조차 자신의 권위와 신념의 효율성을 도전받는 것을 두려워하여 학문적 냉담함과 모호함 뒤에 숨으려 할 때가 있습니다.
  •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과 커뮤니티에게 이러한 자세는 더 이상 받아들여질 수 없습니다.

결론

  •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고등 교육은 상호성, 접근성, 현실 검증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교육자와 학생이 함께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실제 문제 해결에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릅니다.
  • 교육자는 학생들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학생들이 교육 과정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 이러한 접근 방식은 퍼스트 네이션 커뮤니티와의 진정한 협력과 존중을 기반으로 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책임을 통한 참여 (Responsibility Through Participation)

고등 교육의 중요성

  • 퍼스트 네이션 관점에서 대학은 중립적인 기관이 아닙니다. 대학에 접근한다는 것은 교육을 받는 것 이상으로, 권력과 권위를 얻고 일상 생활의 문제를 통제할 기회를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이는 대부분의 비원주민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기는 일들입니다.
  •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에게는 생존을 위해 공식 커리큘럼을 이수해야 하며, 낯선 권력 구조를 탐색하는 방법도 배워야 합니다.

경계 교육 (Border Pedagogy)

  • Henry Giroux의 경계 교육(border pedagogy)에 비유되며, 학생들은 차이와 권력의 좌표로 구성된 경계를 넘나드는 사람으로서 지식을 탐구해야 합니다.
  • 이러한 경계는 물리적 경계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구성되고 사회적으로 조직된 문화적 경계도 포함됩니다.
  • 학생들은 의미의 경계, 지식의 지도, 사회적 관계, 그리고 가치관을 넘나들며, 이 과정에서 이러한 경계를 구성하는 규칙과 규제가 불안정해지고 재구성됨에 따라 이를 협상하고 재작성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대학의 역할

  •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에게 더 환영받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진지하게 노력하는 대학은 이러한 경계 협상의 제도적 함의를 깊이 고려해야 합니다.
  • Giroux의 비판적 분석을 바탕으로 Tierney는 대학이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단계를 제안합니다:
    • 소수 학생들의 삶이 대학 문화 전반에서 축하되고 인정받는 조직을 만들어야 합니다.
    • 단순히 원주민 연구 센터나 원주민 관련 과목 몇 개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 아닙니다.
    • 소수 학생들이 자신의 역사를 축하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의 힘에 의해 어떻게 그들의 삶이 형성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 이러한 이론적 제안은 학생 행사를 조직하는 방식, 지식을 구성하는 방식, 평가의 역할, 대학 총장의 역할 등 조직의 거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칩니다.

결론

  •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이 대학에서 성공하려면 교육 기관은 그들의 문화와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고 이를 존중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 학생들은 경계를 넘나드는 과정에서 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삶과 사회의 힘을 비판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 대학은 소수 학생들이 자신의 정체성과 역사를 축하하고, 사회적 힘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를 탐구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비판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체계적 변화와 퍼스트 네이션 고등 교육 이니셔티브

포괄적 개혁의 도전과 희망적인 징후

  • 포괄적 개혁에 대한 "이론적 제안"이 대학 캠퍼스 전반에 급속히 확산될 가능성은 낮지만, 시스템적인 변화는 이미 일어나고 있습니다.
  •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이 책임을 지고 고등 교육에 더 많이 참여하는 가장 유망한 징후는 미국과 캐나다 전역에서 증가하고 있는 퍼스트 네이션 고등/성인 교육 이니셔티브입니다.
  • 이러한 예로는 미국의 24개 부족 대학, 캐나다의 Saskatchewan Indian Federated College, Nicola Valley Institute of Technology, Secwepemc Cultural Education Society, James Bay Education Centre, Gabriel Dumont Institute, First Nations House of Learning 등이 있으며, 이들 모두가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의 참여와 성공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 이들 기관의 구조와 초점은 매우 다양하며, 지역 사회부터 국가 수준까지 다양한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프로그램의 초점도 성인 및 직업 교육에서부터 대학원 수준의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 일반적인 프로그램 제공 분야는 자치 정부, 농촌/지역/경제 개발, 원주민 법률, 토지 청구 및 자원 관리, 원주민 교사 교육, 퍼스트 네이션 건강 및 사회 서비스, 원주민 언어 부흥, 퍼스트 네이션 공연 및 창작 예술, 성인 교육/문해력 개발 등입니다.
  • 이러한 모든 프로그램과 기관의 기저에는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을 위한 문화적으로 적절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고품질의 고등 교육에 대한 명확한 헌신이 있습니다.

사명 선언문

  • 이러한 기관과 관련된 전형적인 사명 선언문은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메릿에 위치한 Nicola Valley Institute of Technology (NVIT)의 사명 선언문입니다:
    •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에게 최고 품질의 고등 교육, 학문 및 직업/기술 교육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문화적으로 강화된 환경에서 제공한다." (NVIT, 1990, p.1).

기존 공공 기관 내에서의 유사 목적 달성

  • NVIT는 독립적인 퍼스트 네이션 기관으로 기능하지만, 유사한 목적은 기존 공공 기관의 구조 내에서도 달성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UBC)의 First Nations House of Learning은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의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키기 위해 모든 UBC 프로그램의 문화적 속성을 넓히는 사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 "First Nations House of Learning의 임무는 대학의 방대한 자원을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에게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대학이 퍼스트 네이션의 요구를 더 잘 충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퍼스트 네이션 커뮤니티와의 협의를 통해 우선 순위와 접근 방식을 결정합니다. First Nations House of Learning은 모든 고등 교육 분야에서의 질 높은 준비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질 높은 교육이 퍼스트 네이션의 철학과 가치에 대한 관련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믿습니다." (Kirkness, 1990, p.4).

결론

  •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이 고등 교육에 접근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이니셔티브는 다양하고 포괄적입니다.
  •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의 문화적 배경을 존중하고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고등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기존 공공 기관 내에서도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프로그램과 구조를 통해 유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퍼스트 네이션 고등 교육 이니셔티브의 미션, 목표 및 프로그램

퍼스트 네이션 주도 교육 기관

  • 캐나다와 미국 전역에서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이 주도하는 고등 교육 이니셔티브에서 유사한 미션, 목표 및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이러한 기관을 통해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이 리더십과 책임을 행사하면서 고등 교육 참여를 개선할 수 있는 장기적인 희망을 제시합니다 (Barnhardt, 1991).
  •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이 자신들의 기관을 만들고 통제함으로써 "교육"에 대한 더 포괄적인 정의를 내리고, 존중과 자결권을 재확인하고 있습니다.

미국 부족 대학의 중요성

  • 이러한 노력의 중요성은 카네기 재단의 미국 부족 대학에 대한 보고서에서 요약됩니다:
    • "부족 대학 운동의 핵심은 문화 유산을 회복하려는 원주민들의 헌신입니다. 전통을 재확인하려는 헌신은 세대를 거쳐 내려온 공동의 역사와 목표에 기반을 둔 정신에 의해 추진됩니다. 일부 부족은 전통의 많은 부분을 잃었고, 현재의 문제를 직면하면서도 과거로부터 가능한 모든 것을 회복해야 한다는 긴급한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노력의 장애물은 엄청나지만, 인디언들은 유산을 재확인하려고 결심했고, 부족 대학들은 그들의 커리큘럼과 캠퍼스 분위기를 통해 큰 약속의 장소가 되고 있습니다" (Boyer, 1989, p. xiii).

기존 서구 중심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의 변화 필요성

  • 부족 대학이 추구하는 문화적 강조의 변화는 퍼스트 네이션 학생들을 위한 기존 서구 중심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도 중요합니다.
  • 그러나 이러한 기관에서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과 소통하는 구조와 과정은 반드시 달라야 합니다.

대학의 역할과 비판적 분석

  • Tierney는 비판적 분석을 통해 원주민 학생들과 관련하여 대학의 역할을 설명합니다:
    • 비판적 분석의 초점은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권력이 없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어떤 전략을 개발할 수 있는지에서 권력이 조직 내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고, 권력이 작동하는 방식을 바탕으로 관계를 변형하려는 전략을 개발하는 것으로 이동합니다.
    • 모든 조직 참여자들이 조직의 문화를 재구성하고 변형할 방법을 모색하도록 권장됩니다.
    • 주류 조직이 원주민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상하 관리 접근 방식이 아니라, 원주민과 함께 참여 목표를 향해 일하는 비전을 바탕으로 전략과 정책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ierney, 1993, p. 323).

대학 문화의 재구성 및 변형

  • Tierney의 퍼스트 네이션 목적을 더 잘 달성하기 위해 대학 문화를 재구성하고 변형하자는 요구는 처음에는 벅찬 과제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존중, 관련성, 상호성, 책임성이라는 "Four R's"를 실천하는 문제에 불과합니다.
  • 이러한 접근 방식이 기존 기관 내에서, 그리고 퍼스트 네이션 사람들이 만든 기관에서도 이미 실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충분한 증거가 있습니다.

결론 (Conclusion)

핵심 개념: 권한 부여 (Empowerment)

  • First Nations의 고등 교육 참여의 핵심은 개인뿐만 아니라 밴드, 부족, 국가 및 하나의 민족으로서의 권한 부여입니다.
  • 교육 기관에 대한 도전 과제: First Nations 사람들이 추구하는 것은 단순히 평등한 교육이 아니라, 그들을 존중하고 그들의 세계관에 부합하며 상호 관계에서 상호성을 제공하고, 그들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더 나은 교육입니다.

기존 접근 방식의 한계

  • 대학들이 "중퇴율"과 "유지율"에만 집중하는 것은 문화 동화 노력을 강화하려는 변명에 지나지 않으며, 이러한 접근 방식은 큰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이는 추가적인 소외를 초래했습니다.
  • 고등 교육의 본질과 목적을 재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체 기관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가 강화되고 모든 사람이 혜택을 받을 것입니다.

중요한 질문

  • 기회 포착: 변화를 만들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제때에 기회를 포착하고 기관의 관성을 극복하여 또 다른 세대의 First Nations 사람들의 소외를 방지하고, 대학이 사회 전체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능력을 약화시키는 것을 피할 수 있을까요?
  • 필요한 적응: 필요한 적응을 할 수 있을지, 인도네시아 원숭이의 불운을 피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던집니다.

결론적 희망

  • 대학의 중요성: 대학은 너무 중요한 기관이기 때문에 동물원에서 끝나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이 결론은 First Nations 사람들의 고등 교육 참여를 위한 더 나은 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한 제도적 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더 큰 권한 부여와 참여를 가능하게 하고, 대학과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