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읽고 씁니다.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원리

Meded. 2022. 2. 10. 05:27

1

PBL에서 학생들은 소규모 그룹(6-10)으로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PBL에서 학생들은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정보를 사전 지식과 연관시키고, 아이디어를 구조화하고, 기저 원리를 찾고, 지식을 비판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하지만 PBL이 전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에도, 많은 학교는 다양한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려면, PBL의 실천이 이론과 더 잘 정렬align 되도록 조정해야 한다.

 

그렇다면 이론은 무엇인가? 이론은 어떤 것이 어떻게 작동할지에 대해 생각하는 방법이다. 이론은특정한 관점에서, 문제를 정의하거나 분석하는 일군의 원칙들으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이론은 특정한 문제를 이해하거나, 특정한 관점에서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이론이 필요하다

 

2

PBL은 네 가지 원칙(맥락적, 구성적, 자기주도적, 협업적 학습)에 기반하고 있다.

 

3

맥락적 학습contextual learning 원칙은 새로운 상황으로 학습을 전이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으로 관련된 맥락에서 파생된 과제tasks에 학생을 참여시키는 것으로 시작해야함을 의미한다. 다르게 말하면, 모든 학습을 task-centered instruction이라고 하는, [전체의whole, 복잡한, 잘 정의되지 않는 과제]를 중심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과제는 문제problem로 제시될 수 있지만, 사례나 프로젝트로도 제시될 수 있다.

 

방법이 무엇이든, 기본은 학습 과제를 통해 (일군의 지식, 기술, 태도 집합을 분절적으로가 아니라) 통합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지식, 기술, 태도를 하나하나 가르치는 대신, 이 셋의 통합을 강화해야 한다. PBL에서 학습은 학생이 미래에 수행할 전문직의 직무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토론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학습의 중심에는 향후 직무 환경에서 발생하는 실제 문제real-life problems에 기초한 문제가 있다.

 

4

건설적 학습Constructive learning 원칙에 따라 PBL은 학생들이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도록 자극함에 있어서, 가급적 스스로 지식 네트워크를 구성 및 재구성하고, 심화된 이해를 얻기 위한 의미를 창조하는 적극적인 과정을 자극해야 한다. [사전 지식 활성화 이론prior knowledge activation theory]에 따라 사전지식을 활성화하도록 유도하는 것, [정교화 이론elaboration theory]에 따라 무언가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격려하는 것 등이 필요하다. 정교화Elaboration란 새로운 정보와 사전 지식을 연관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또한 PBL에서 토론을 할 때, 학생들은 비판적인 질문을 하고, 추론을 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을 하고, 인지적 불일치에 대해 토론하고, 다양한 과제와 실세계real life 문제에 새로운 지식을 적용하도록 격려받아야 한다.

 

5

자기주도학습Self-directed learning 원칙에 따르면 학생은 주도적으로 자신의 학습 니즈를 결정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와 전략을 설정하고, 자신의 학습을 평가한다SDL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가 학습을 주도하려면, 학습 환경을 잘 설계하여 자율성을 부여하고, 학습 요구에 맞춰 학습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 [학습 환경]SDL을 촉진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SDL은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서포트를 줄이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반대로 학습환경에서 충분한 지원support과 학습을 스스로 지도할 수 있는 선택option이 동시에 주어져야 한다.

 

종종, SDL 대신 자기 조절 학습(SR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후자는 학습과 행동을 모니터링하고 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감정, 감정, 동기를 조절하는 것까지 포괄한다. 이 둘은 많은 유사점이 있지만, SDL에서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학습 문제 및 자원을 학생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는데, 이는 PBL의 중요한 특징이다.

 

6

협력적 학습Collaborative learning 원칙에 따르면, 둘 이상의 학습자 간 협력이 복잡한 과제에 직면했을 때의 학습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협력적 학습이 효과적이기 위한 중요한 조건은 [학습 과제의 복잡성]이다. , 학습 과제는 ill-defined 되거나 complex해야 한다. [상호의존성 이론interdependence theory]에 따라 학생들은 공통의 목표를 공유해야 하며, 이 목표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서로의 기여에 의존해야 한다. 협력적 학습에서는 그룹이 성공하기 위하여 지식과 정보를 공유해야 하며, 또한 정보의 공동 구성(, 서로의 아이디어를 구축하고 통합하는 것)과 인지적 불일치에 대한 열린 대화도 필요하다. [실천 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 이론의 이면의 원칙은 [학습은 특정한 장소와 시간에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수반하며, 상호 목표와 관심사를 가진 구성원들의 공동체에 참여하는 것에 달려 있다]는 점이다. 종합하면, 협력적 학습은 학생이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면서, 상호의존감을 느끼고,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의 기여를 기반으로 할 때 가장 도움이 된다.

 

 

출처:

Dolmans, D. H. (2019). How theory and design-based research can mature PBL practice and research.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24(5), 879-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