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된(static) 것들, 즉 정책 문서, 핸드북, 강의만으로 전문직업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키워주기는 어려울 것이다. 더 중요하게는 비공식 교육과정과 잠재 교육과정이 프로페셔널리즘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완화하지 못한다. 공식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에게 능동적으로 의미를 형성할sense-making 기회를 제공해주어야(예 :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신의 경험에 대해 토론하고 탐구하는 경험) 프로페셔널리즘을 이해할 때 잠재교육과정이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즉, 학생들은 환경으로부터 전달받는 불완전하고 때로는 상충되는 메시지를 이해하기 위해, 동료 및 임상 교육자와의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자신의 경험을 탐색 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 받아야 한다. 이러한 활동을 하면, 학생들은 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