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론 3

의과대학생은 프로페셔널리즘(전문직업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고정된(static) 것들, 즉 정책 문서, 핸드북, 강의만으로 전문직업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키워주기는 어려울 것이다. 더 중요하게는 비공식 교육과정과 잠재 교육과정이 프로페셔널리즘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을 완화하지 못한다. 공식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에게 능동적으로 의미를 형성할sense-making 기회를 제공해주어야(예 :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신의 경험에 대해 토론하고 탐구하는 경험) 프로페셔널리즘을 이해할 때 잠재교육과정이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즉, 학생들은 환경으로부터 전달받는 불완전하고 때로는 상충되는 메시지를 이해하기 위해, 동료 및 임상 교육자와의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자신의 경험을 탐색 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 받아야 한다. 이러한 활동을 하면, 학생들은 상호..

프로페셔널리즘(전문직업성)에 관한 네 가지 담론

1 의료 프로페셔널리즘(Medical professionalism)에 대한 단일한 관점이나 정의는 없다. "프로페셔널리즘은 포르노와 같아서 정의하기 어렵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다만 중요한 것은 의대생은 단순히 ‘전문가처럼 행동하는 것’을 넘어, ‘전문가가 되며become’, ‘적절한 직업적 정체성을 체화embody’ 해야 한다. 그리고 '오늘날의 학생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배우고 평가하는지가, 내일의 의학계의 진료 패턴practice pattern과 가치 체계 모두에 영향을 줄 것이다.' 2 '담론'이라는 단어는 라틴어의 discursus에서 왔으며, 'to run from and to'을 의미한다. 담론을 연구할 때에는 텍스트 (예 : 오디오, 성적표, 문서)로 작업하며, 사회 속에서 개인과 집단..

의학교육에서 감정(emotion)에 관한 담론

1 의학교육에서 이성(reason)과 감정(emotion)의 대립이 있다. 정신-신체와 이성-감정과 같은 데카르트적 이분법은 부분적으로 '감정이란 이성이 부패된 상태이며, 초월되어야 할 것'으로 바라보는 과학과 기술 발달에 의해 영속된다. 전문직업적 고정관념도 크게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보통 사람들이 흔히 하는 [무례하지만 뛰어난 외과의사]에게 치료를 받는 것과 [실력은 조금 떨어지지만 환자의 손을 잡아줄 외과의사]에게 치료받는 것이 더 나은 것인지와 같은 질문이 있다. 2 '담론이란 실천이며, 이를 통해 말하는 대상을 체계적으로 형성한다.' ‘Discourses are practices that systematically form the objects of which they speak.’ 3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