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부 국가에서는 역량 위원회가 졸업후 의학교육 프로그램의 필수 요소이다. 이 위원회에서는 전공의의 진행 상황progress을 평가하고, 프로그램 디렉터에게 교육생의 전반적 진행상황, 진급, 재교육progress, promotion, remediation에 대한 권고를 준다.
2
[그룹 신뢰group trust]에 대한 기존 연구는 ‘그룹 내(구성원 간)의 신뢰’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 예를 들면 ‘개인 신뢰individual trust의 집합 또는 조합’을 의미한다. 다르게 말하면 그룹의 결정group decisions에 대한 내부 또는 외부 구성원의 신뢰에 대한 것이 아니다.
3
그룹은 "규칙적인 접촉과 빈번한 상호 작용, 상호 영향, 공통의 동지적 느낌을 가지며,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개인들의 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a collection of individuals who have regular contact and frequent interaction, mutual influence, common feeling of camaraderie, and who work together to achieve a common set of goals.”).
4
의사결정 그룹이 합의에 도달하려면 사람, 사물, 환경 사이의 소통과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이는 상황적 인식situated cognition과 관련이 있다. 상황적 인식이란 사고와 학습이 더 큰 사회적, 물리적 맥락 안에 자리잡고 있다(situated, located)는 것을 중요시한다. 즉, 여기에 따르면 ‘그룹’이라는 상황setting에는 여러 구성 요소(즉,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가 존재하고, 이러한 구성 요소가 서로 상호작용할 기회가 풍부하기 때문에 가진 매우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상황적 인식에 따르면, 사람, 사물, 환경 사이의 복잡한 관계는 사람의 인지 능력을 증강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5
[신뢰]에 대한 가장 자주 인용되는 일반적인 정의는 "상대방을 감시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나의) 능력에 관계없이, 신탁자trustor에게 중요한 특정 행동을 할 것이라는 [긍정적 기대]에 근거하여, 한 사람이 상대의 행동에 취약해지고자 하는 의지" 이다. 이 정의에서 [긍정적 기대]란 다른 사람의 행동이 유익하거나, 호의적이거나, 적어도 해롭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이다. 또한 [취약해진다]라는 것은, 무언가 중요한 것을 잃을 수도 있음을 의미하며, 위험을 감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신뢰를 [상대방의 행동에 대해 취약해지고자 하는 있는 의지 willingness to be vulnerable to the actions of another party]로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수준(개인 또는 그룹)에서의 신뢰는 [이 관계에서 어느 정도의 위험을 발생시킬 의지가 있는지]를 측정하여 특징지을 수 있다.
6
이 밖에 다양한 신뢰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상대방이 상대방을 감시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능력에 관계없이 신탁자에게 중요한 특정 행동을 할 것이라는 [긍정적] 기대에 근거하여 상대방이 다른 당사자의 행동에 취약해지려는 의지" [15]
“The willingness of a party to be vulnerable to the actions of another party based on the [positive] expectation that the other will perform a particular action important to the trustor, irrespective of the ability to monitor or control that other party.” [15]
"팀 구성원들이 리더의 선의에 대해 갖는 신뢰의 정도, 특히 리더가 정직하고 성실하며 자신의 입장을 고려하는 데 있어 편견이 없다고 생각하는 정도"[16]
“The degree of confidence the members of a team have in the goodwill of its leader, specifically, the extent to which they believe that the leader is honest, sincere, and unbiased in taking their positions into account.” [16]
"다른 사람에 대한 행동에 대해 자신을 드러내는 심리 상태로서,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대한 기대와 그들과의 관계에 대한 위험을 초래하는 상황에서의 인식된 동기와 의도에 기초한다." [17]
“A psychological state that manifests itself in the behaviors towards others, is based on the expectations made upon behaviors of these others, and on the perceived motives and intentions in situations entailing risk for the relationship with those others.” [17]
"개인을 신뢰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행동이 선의에 의해 동기부여가 될 것이라는 기대나 믿음. 무엇보다, 상대방이 선의에서 행동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개인은 이 믿음에서 위험을 감수한다." [18]
“Trust in individuals is an expectation or belief that actions from another party will be motivated by good intentions. Moreover, individuals take a risk in this belief because the other party may not act out of benevolence.” [18]
"다른 사람의 향후 행동이 유익하거나 호의적이거나 최소한 자신의 이익에 해가 되지 않을 가능성에 대한 기대, 가정 또는 믿음" [19]
“Expectations, assumptions, or beliefs about the likelihood that another’s future actions will be beneficial, favorable, or at least not detrimental to one’s interests.” [19]
"상대 개인 또는 그룹이
(a) 명시적이거나 암시적으로 이루어진 어떤 약속에 따라 행동하기 위해 선의의 노력을 한다는 믿음,
(b) 그러한 약속에 앞서 어떤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든 정직할 것이며
(c) 기회가 이용 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다른 것을 과도하게 이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20]
“A belief (held by an individual or a group) that another individual or group
(a) makes good-faith efforts to behave in accordance with any commitments made both explicitly or implicitly,
(b) is honest in whatever interactions preceded such commitments, and
(c) would not take excessive advantage of another even when the opportunity became available.” [20]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말, 행동, 결정에 기초하여 자신 있고 행동하려고 하는 정도. 비판적으로 신뢰는 불확실성과 위험을 필요로 한다." [21]
“The extent to which a person is confident in, and willing to act on the basis of, the words, actions, and decisions of another. Critically, trust requires the presence of uncertainty and risk.” [21]
신탁자가, 자신이 의존할 다른 당사자(수탁자)에 대해서, 위험과 불확실성의 환경에서 수탁자가 신탁자 자신의 목표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확신에 찬 기대 [22]
“One party’s (the trustor) confident expectation that another party (the trustee), on whom the trustor must rely, will help the trustor reach his or her goals in an environment of risk and uncertainty.” [22]
"수탁자가 (불확실성을 괄호치기 함으로써) 신탁자의 이익을 챙길 것이라고 믿는 취약한 상황을 낙관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따라서 경험적으로, 불확실성의 간과와 다른 사람들의 동기 또는 역량의 고려에 기초한 가능한 부정적인 결과의 관점에서 신뢰를 설명할 수 있다." [23]
“The optimistic acceptance of a vulnerable situation in which the truster believes the trustee will care for the truster’s interests through the bracketing out of uncertainty. Empirically, we therefore delineate trust in terms of the overlooking of uncertainty and possible negative outcomes based on considerations of the motives and/or competencies of others.” [23]
"새로운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을 확신함으로써 경험된 위험을 감수하겠다는 결심. 그것은 특히 알려지지 않은 요소들이 있는 곳에서 신뢰를 위험으로 나타내는 과거의 경험에 대한 인정 때문에 유아가 부모에 대해 가질 수 있다는 맹목적이고 의심할 여지가 없는 믿음을 넘어선다. 보상return을 기대하며 다른 사람들과 호흡을 맞추는 결정. 다른 사람들을 신뢰함으로써, 우리는 우리 자신을 취약하고 권력을 양도하는 위치에 놓게 된다. 상호주의에 대한 기대감에서 주어진 신뢰는 상호간의 의무감을 낳는다." [24]
“A resolve to bear an experienced risk by confiding in the new and unknown. It goes beyond the blind, unquestioning faith that an infant may have of a parent because there is an acknowledgement of past experience that denotes trust as a risk, especially where there are unknown elements. It is a decision to act in concert with others in anticipation of a return. By placing trust in others, we place ourselves in a position of vulnerability, ceding power. Trust given in the anticipation of reciprocity creates a sense of mutual obligation.” [24]
"타인으로부터 예측 가능하고 자애로운 동기 또는 행동에 대한 일반화된 기대" [25]
“The generalized expectation of predictable and benevolent motives and/or behavior from others.” [25]
출처:
Sapp, J. E., Torre, D. M., Larsen, K. L., Holmboe, E. S., & Durning, S. J. (2019). Trust in Group Decisions: a scoping review. BMC medical education, 19(1), 1-13.
'논문을 읽고 씁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러다임, 방법론, 방법, 그리고 혼합방법연구 (0) | 2022.01.28 |
---|---|
이것저것: 전문직정체성, 전문직정체성형성, 회복탄력성 (0) | 2022.01.28 |
CCLCM의 포트폴리오 평가(운영방식) (0) | 2022.01.27 |
상호존중을 위한 행동규범의 바람직한 운영 전략 (0) | 2022.01.27 |
의대 입시(선발)에서 자연과학(물리, 화학, 생물)이 중요하다는 미신 (0) | 2022.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