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PE와 관련된 이슈에 관한 연구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은 오직 우리의 상상력뿐이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우리에게는 익숙한 패러다임(home paradigm)의 안과 바깥 모두에서 보고 생각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패러다임, 방법론, 방법을 명확히 해야 한다.
• 패러다임은 조사의 특정 접근방식을 형성하는, 특정 학문의 담론 내에서 공유되는, 철학적 공리와 가정이다.
• 방법론은 조사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구조적 접근법이다.
• 방법은 연구를 집행하는 구체적인 기법과 절차이다.
Paradigms are the philosophical axioms and assumptions that shape a particular approach to inquiry and that are shared within a disciplinary discourse.
Methodologies are the structural approaches to conducting acts of inquiry.
Methods are the specific techniques and processes of enacting inquiry.
예를 들어
• 실증주의는 패러다임이고,
• 무작위화된 통제 실험RCT은 방법론이며,
• 다양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 도구가 그 방법이다.
2
HPE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방법론은 풍부하다. 뿐만 아니라 학문분야가 발전하면, 의심의 여지 없이 자료 수집과 분석 도구 및 접근방식의 더 많은 혁신을 보게 될 것이다. 하지만 그 많은 방법을 모두 설명하려고 하기보다는, [특정 방법이 특정한 패러다임에만 속하거나 그것을 대변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실험이 반드시 실증주의자만의 것은 아니다. 관찰 작업이 단지 사회물질주의 학자만의 것은 아니다. 하나의 패러다임은 다수의 방법론을 가질 수 있고, 하나의 방법론은 다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수의 방법론이 다수의 패러다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방법은 다수의 방법론에 동원될 수 있다.
3
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문헌고찰(literature review)을 생각해 보자. 연구자의 패러다임이나 방법론이 달라지면, 문헌고찰에 어떤 유형의 문헌을 포함할지도 달라질 수 있다. 양적 연구가 될 수도 있고, 질적 연구가 될 수도 있으며, 둘 다가 될 수도 있다. 피어리뷰된 논문만 포함할 수도 있고, 회색(gray)문헌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문헌고찰에 대한 어떤 방법론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어떤 문헌을 분석할 것이며, 어떻게 문헌을 분석할지가 달라진다.
• Meta analysis: 여러 과학 연구에서 얻은 효과를 통계적으로 합성하는 데 초점을 두며, 일반적으로 실증주의적 관점과 일치한다.
• Scoping review: 이해를 형성하기 위해 문헌을 지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일반적으로 구성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 Realist review: 개입의 영향과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현실주의 패러다임의 대표적인 방법론이다.
4
정리하자면, 특정한 방법이나 방법론을 사용했다는 것이 곧바로 특정한 패러다임 접근법을 지칭indicative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떻게'보다는 '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물론, 많은 학자들은 하나의 연구 패러다임 안에 파묻혀(embed)있다는 것도 이해 못 할 바는 아니다. 누구에게나 자신의 패러다임적 고향(paradigmatic home)이 있다. 하지만 그것이 다른 패러다임이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기 어렵게 만들 수도 있다. 특정한 방법에 지나치게 의존할 때, 게다가 그 방법에 대한 검증되지 않은 신념이 더해질 때, 복잡한 문제를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이 제한될 것이다.
5
성공적인 연구 중 다학제간 협력을 통한 혼합 방법 연구mixed method research를 찾아볼 수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각 패러다임의 장점을 결합함으로써 개별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연구결과를 보다 의미있게 해석하고 적용방법을 도출할 수 있는 잠재력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무비판적, 비성찰적으로 학제간 연구 및 혼합 방법 연구를 하는 것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각 연구 방법론과 방법은 특정한 철학적 뿌리를 가지기에, 연구 방법을 혼합함에 있어 패러다임적 뿌리를 고려하고 존중하지 않는다면, 단순히 테크닉의 결합에 그치고 말 것이다.
출처:
MacLeod, A., Ellaway, R. H., Paradis, E., Park, Y. S., Young, M., & Varpio, L. (2020). Being edg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cluding the philosophy of science series. Academic Medicine, 95(7), 995-998.
'논문을 읽고 씁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스터 적응적 학습자(Master Adaptive Learner)의 개념적 모델 (0) | 2022.01.30 |
---|---|
일상적 전문성과 적응적 전문성(adaptive and routine expertise) (0) | 2022.01.28 |
이것저것: 전문직정체성, 전문직정체성형성, 회복탄력성 (0) | 2022.01.28 |
신뢰(trust)의 다양한 정의 (0) | 2022.01.27 |
CCLCM의 포트폴리오 평가(운영방식) (0) | 2022.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