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와 2

형성평가 - 총괄평가: 좋은 평가의 기준 적용

좋은 평가의 일곱 가지 기준을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로 나누어서 적용시켜보면 다음과 같다. 1 효과적인 형성평가는 일반적으로 저부담 평가이며, 주로 비공식적/기회적opportunistic이고, 학습을 촉진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형성평가의 정의상, 형성평가를 특징짓는 좋은 평가의 기준은 촉매 효과catalytic effect이다. 형성평가는 다음의 경우에 가장 잘 작동한다. (1) 교육 과정 또는 작업 흐름work flow에 내포되어 있다embed. (2)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3) 지속적ongoing이다. (4) 시기 적절timely하다. 따라서 덜 중요해지는 기준에는 동등성equivalence, 재현성-일관성reproducibility-consistency이 있다. 반면 더 중요..

평가(assessment)에 대한 각 이해관계자의 바른 자세

좋은 평가의 기준으로부터 각 이해관계자를 위한 행동 지침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1 피험자(Examinees) • 수험생은 자신이 받는 평가의 목적을 알아야 한다. • 수험생은 그들이 받는 평가의 질을 확신해야assured 한다. • 수험생은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하는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 • 수험생은 피드백을 받고 행동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 수험생은 적절한 시기에 채점scoring 및 합격선 설정standard setting 과정에 대한 정보를 받아야 한다. 2 환자(Patients) • 환자의 역할이 환자의 전문성(예 : 의사 소통 기술)과 일치한다면 환자는 평가자로 포함되어야 한다. • 환자는 역량 및 성과의 여러 측면facet에 대한 나은 이해를 만들어가는 데 기여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