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 2

의사의 감정(다니엘 오프리) 중

"의사-환자의 상호작용은 기본적으로 사람과 사람의 연결이다. 따라서 감정이 개입될 수 밖에 없다." "의사들, 특히 수련 받는 의사들은 감정이 '합리적' 의사결정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제롬 그루프먼은 그의 책 에서 (중략) 지적했다. "대다수 의료 실수는 생각을 잘못하는 바람에 발생하는데, 그 중 일부는 감정이 그 원인이다. 그러나 의사들은 이를 인정하려고 하지 않으며, 대부분은 자신에게 그런 감정이 있었는지조차 모른다."" "신경과학자인 안토니오 다마지오는 감정을 '우리 마음속에서 계속 연주되는 음악, 멈출 수 없는 흥얼거림'같은 것이라고 묘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사들이 꽤나 감정이 없다는 고정관념은 쉽게 바뀌지 않는 것 같다." "병원들은 사명문에 연민 이..

의학교육에서 감정(emotion)에 관한 담론

1 의학교육에서 이성(reason)과 감정(emotion)의 대립이 있다. 정신-신체와 이성-감정과 같은 데카르트적 이분법은 부분적으로 '감정이란 이성이 부패된 상태이며, 초월되어야 할 것'으로 바라보는 과학과 기술 발달에 의해 영속된다. 전문직업적 고정관념도 크게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보통 사람들이 흔히 하는 [무례하지만 뛰어난 외과의사]에게 치료를 받는 것과 [실력은 조금 떨어지지만 환자의 손을 잡아줄 외과의사]에게 치료받는 것이 더 나은 것인지와 같은 질문이 있다. 2 '담론이란 실천이며, 이를 통해 말하는 대상을 체계적으로 형성한다.' ‘Discourses are practices that systematically form the objects of which they speak.’ 3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