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가르치게 돕습니다.

컨샙맵(개념지도, concept map)을 활용한 교육

Meded. 2022. 2. 11. 06:19

1

슐먼은 이렇게 말했다. “여러 전문직의 시그니처 교수법은 영원한 것도 아니고, 불변하는 것도 아니다. 언제나 늘 그대로인 것처럼 보이지만, 전문직 자신은 물론, 전문직이 소속되어 서비스나 관리를 제공하는 기관이 처한 여건은 광범위한 사회적 변화를 겪기 때문에 언제나 변화의 대상이 된다.'

 

유의미 학습meaningful learning이란, 서로 관련성이 있는 의학적 개념을 사전 지식에 연결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써, 의대생들에게 중요한 형성적formative 가치를 갖는다. 그리고 컨셉맵(개념지도, concept map)은 이러한 유의미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이다.

 

2

개념지도란 명제의 프레임에 내재된 개념의 의미 집합을 나타내는 도식적 장치(‘a schematic device for representing a set of concept meanings embedded in a framework of propositions’)이다. 이 관점에서 본다면, 인간은 새로운 개념이미 알고 있는 것과 연결시킴으로써 개념에 대해서 생각하고 배운다. 따라서 개념지도를 사용한다는 것은 학습자가 개념을 서로 연결하고, 구별하고, 관련짓기 위해 의도적으로 노력함을 뜻한다.

 

3

개념을 사용한 사고와 학습에는 세 가지 과정이 수반된다.

 

첫째, 포섭(subsumption)이다. 이는 하위 개념을 상위 개념으로 포괄시키는 것이다.

둘째, 점진적 분화(progressive differentiation)이다. 이는 개념을 점점 더 미세한finer 요소로 세분화하는 것이다. 일종의 분석analysis 프로세스이다.

셋째, 통합적 화해(integrative reconciliation)이다. 지도 좌측의 개념을 우측의 개념과 조화시키고 연결시키는 과정이다. 일종의 통합(synthesis) 프로세스이다.

 

4

개념지도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만들 수 있다.

 

첫째, 가장 일반적 개념general concepts을 식별하여 지도의 맨 위에 배치한다.

둘째로, 일반적 개념과 관련된 보다 구체적 개념specific concepts을 식별한다.

셋째로, 일반적 개념과 구체적 개념을 연결 단어linking word를 사용해서 의미가 만들어지도록 잇는다.

마지막으로, 적극적으로 지도의 한쪽에서 다른 쪽 개념으로 개념을 묶는 횡단결합cross-linkage을 찾는다.

 

 

 

5

의학교육에서 개념지도를 사용할 때 몇 가지 문제에 맞닥뜨릴 수 있다.

 

우선 초기 단계에서 학생들의 저항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보통 개념지도를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과 관련이 있다. 또한 개념지도를 만들고 이를 가지고 공부하는 것이 시험에서 점수를 잘 받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학생들이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기도 한다.

 

한편 교수들도 학생들이 만든 개념지도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개념지도가 유의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기에, ‘교수가 가르친 것보다, ‘학생이 자신의 맥락 안에서 의미를 만들고 이해하는 것에 더 중심을 둔다. 따라서 개념지도에는 공식 교육과정의 내용 외에도 임상 실습에서의 경험도 포함될 것이며, 시간의 흐름과 학생의 발전에 따라 개념지도도 바뀌어갈 것이다. 교수의 입장에서 이는 일관되지 못함unreliability’로 여겨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는 오히려 의사의 전문지식이 발달해나가는 과정과 유사하다.

 

5

의학교육에서 개념지도는 여러가지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첫째, 유의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PBL에서 사용되기도 하고, 소그룹 교육에서 협력적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둘째, 학습을 위한 리소스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교수자는 사전에 개념지도를 만들거나 제공함으로써 대규모 강의에서 대안적이고 혁신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셋째,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개념지도의 주요 목적은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에서 공유된 의미의 개발의 촉진이 될 수 있다. 교수와 학생이 개념지도를 토론하고, 생각하고, 수정하면서, 학습과 공유된 의미 부여 과정이 더 심화된다.

 

넷째, 학습과 수행능력 평가에 사용된다. 이 때 개념지도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채점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단순히 최종 결과물만 평가하는 데 그치기보다는, 학습 그 자체를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출처:

Daley, B. J., & Torre, D. M. (2010). Concept maps in medical education: an analytical literature review. Medical education, 44(5), 440-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