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coring inference: 평가는 몇 개의 수행능력을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며, 이로부터 공정/정확/재생산가능한 양적 점수를 생성해내야 한다. 2 Generalisation inference: 일반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시험 상황'에서의 수행능력과 '실제 상황'에서의 것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일반화는 '시험 상황'의 수행능력에 대한 것이다. 이론적으로 시험 상황universe of assessment에서 만들 수 있는 문항의 숫자는 거의 무한하다. 따라서 '일반화'란 '얼마나 문항들을 잘 선택했는가'의 문제이다. 이에 대한 답은 크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test domain 내에서 적절한 표본 선정을 했는지에 관한 것이다(블루프린트 사용, 포화 등). 질적 자료에서 Trian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