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L 2

자기조절의 적용: 공부, OSCE, 튜터, 피드백

1 자기조절을 학업성취도(공부)에 다음과 같이 적용시켜볼 수 있다. 교과서의 한 챕터를 공부할 때, 결과 목표는 ‘챕터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과 같은 활동의 최종 산물이고, 과정 목표는 ‘결과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학습한 내용의 요점을 요약한다"와 같은 과정 목표는 목표 달성 여부와 적응적 변화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신속한 자기평가를 가능하게 하기에 초기 단계에서 특히 중요하다. 학습에 효과적인 전략을 사용해야 함에도, 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제한된 전략만을 사용하거나, 비효율적인 전략을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교과서와 강의 노트를 반복해서 읽어도 이해할 수 없었다고 말하는 의대생이 적지 않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성취도가 높은 학생은 지속적으로 자기-모니터링, 자기-평가를 하였고, 이를 ..

자기조절(self-regulation)의 세 단계

1 자기조절(self-regulation)이란 무엇인가? 자기조절은 ‘개인적인 목표 달성을 위하여, 계획되고 주기적으로 적응하는, 스스로 만든 생각, 감정, 행동(‘self-generated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that are planned and cyclically adapted to the attainment of personal goals)’로 정의된 바 있다. 행동(활동), 인지(생각), 환경(주변)의 통제에 관한 몇 가지 모델이 있고, 그 중 하나는 반두라의 사회적인식모델social-cognitive models이다. 이에 따르면 사람은 자기 삶의 능동적 참여자active participants로서, 개인적 목적 달성을 위해 [생각, 행동, 환경요인을 조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