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awa 3

형성평가 - 총괄평가: 좋은 평가의 기준 적용

좋은 평가의 일곱 가지 기준을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로 나누어서 적용시켜보면 다음과 같다. 1 효과적인 형성평가는 일반적으로 저부담 평가이며, 주로 비공식적/기회적opportunistic이고, 학습을 촉진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형성평가의 정의상, 형성평가를 특징짓는 좋은 평가의 기준은 촉매 효과catalytic effect이다. 형성평가는 다음의 경우에 가장 잘 작동한다. (1) 교육 과정 또는 작업 흐름work flow에 내포되어 있다embed. (2)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3) 지속적ongoing이다. (4) 시기 적절timely하다. 따라서 덜 중요해지는 기준에는 동등성equivalence, 재현성-일관성reproducibility-consistency이 있다. 반면 더 중요..

좋은 평가(assessment)의 기준

1 좋은 평가의 기준을 정하는 것은 몇 가지 이유로 중요하다. 2 우선, 다양한 이해 관계자가 평가 및 결과에 관련되거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해 관계자에는 환자, 일반 대중, 보건의료계 고용주, ​​전문직 및 규제 기관, 대학, 의과 대학, 교육 기관, 개별 교사/교수자, 수험자(examinee)가 포함된다. 이해관계자들은 동일한 평가를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하며, 당연히 평가를 판단하는 준거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다. 3 좋은 평가의 기준은 평가의 퀄리티 향상 뿐만 아니라 평가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피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평가와 교육과정의 불일치는 학생 행동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과정을 강의 중심에서 병동 중심 교육으로 바꾸었더라도, 강..

수행 평가: 2020 오타와 컨퍼런스의 합의 및 권고

1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는 학업 또는 직무 상황에서의 기술과 행동에 관한 평가(the assessment of skills and behaviours, both in academic and workplace settings)로 정의하고자 한다. 2 2011년 이후 평가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첫째, 단순히 개별 도구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평가 시스템을 설계한다는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평가의 타당성 기준의 측면에서 OSCE를 넘어 WBA에도 Kane의 Validity framework이 영향력을 주기 시작했다. 셋째, 평가자 인식(rater cognition)의 측면에서, 평가자 분산rater variance은 의미가 있으며, 평가자 간 차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