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CE 3

자기조절의 적용: 공부, OSCE, 튜터, 피드백

1 자기조절을 학업성취도(공부)에 다음과 같이 적용시켜볼 수 있다. 교과서의 한 챕터를 공부할 때, 결과 목표는 ‘챕터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과 같은 활동의 최종 산물이고, 과정 목표는 ‘결과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학습한 내용의 요점을 요약한다"와 같은 과정 목표는 목표 달성 여부와 적응적 변화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신속한 자기평가를 가능하게 하기에 초기 단계에서 특히 중요하다. 학습에 효과적인 전략을 사용해야 함에도, 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제한된 전략만을 사용하거나, 비효율적인 전략을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교과서와 강의 노트를 반복해서 읽어도 이해할 수 없었다고 말하는 의대생이 적지 않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성취도가 높은 학생은 지속적으로 자기-모니터링, 자기-평가를 하였고, 이를 ..

의사면허시험(의사국시) 변화의 트렌드

1 의사면허의 목적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의료행위에 필요한 지식과 스킬을 확실히 갖추게 하는 것’에 있다. 기저의 원칙은 ‘면허는 모든 의사에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어디서 수련을 받았든, 어떤 세팅에서 진료를 하든 면허가 있어야 한다. 나라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독립적 진료행위 면허(unrestricted license to practice)를 받기 위해서는 아래 세 가지의 전부 혹은 일부를 갖춰야 한다. • 인증받은 의과대학 졸업 • 일정 기간의 감독 하 의료행위(의과대학 졸업 후에 이뤄지기도 함)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의사면허시험에 합격 그렇다면, 의사면허시험(National Licensing Exam, 이하 NLE)는 어떠한 경향성(trends)을 가지고 있는가? 2 NLE는 ..

수행 평가: 2020 오타와 컨퍼런스의 합의 및 권고

1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는 학업 또는 직무 상황에서의 기술과 행동에 관한 평가(the assessment of skills and behaviours, both in academic and workplace settings)로 정의하고자 한다. 2 2011년 이후 평가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첫째, 단순히 개별 도구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평가 시스템을 설계한다는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평가의 타당성 기준의 측면에서 OSCE를 넘어 WBA에도 Kane의 Validity framework이 영향력을 주기 시작했다. 셋째, 평가자 인식(rater cognition)의 측면에서, 평가자 분산rater variance은 의미가 있으며, 평가자 간 차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