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 3

U-포트폴리오 시스템을 처음 접하고 (2023년 1월 19일의 기록)

파트1 스타트업에 관한 영상이나 글을 읽으면서 Pain point 라는 표현을 접하게 되었다. 스타트업들은 시장과 사용자의 pain point를 파악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개발한다. 이렇게 생각해본다면, 어느 시점에서부터 전국 의대로 퍼져나간 e-portfolio도 임상실습에서 더 나은 교육이 이뤄지는데 장애요인이 되는 어떤 pain point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렇다면, 개발 초에 "꼭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정의되었던 "의과대학 임상실습 교육의 pain point"는 무엇이었을까 생각해본다. 나도 나름의 의견은 있지만, 섣불리 여기에 대해 답을 하려는 것은 아니다. 아마 입장과 관점에 따라 무수히 많고, 무수히 다양할 것이다. 결국 궁금한건 "포트폴리오 시스..

CCLCM의 포트폴리오 평가(운영방식)

1 한 사람의 수행능력의 전체 그림을 구성하는 데 ‘단일 스냅샷’은 불충분하다. 따라서 의학교육자의 과제 중 하나는 학습자의 역량에 대한 타당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성과 스냅샷’'의 유형과 양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포트폴리오가 수행능력의 종합적인 그림을 만들기 위한 평가도구로 적합하다고 여겨지나,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 평가 데이터를 누가 선택해야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학생이 선택한 근거자료를 신뢰할 수 있는가? 중요한 것은 그 근거자료를 포함하기로 결정한 사람이 누구든지, 타당도를 충족해야 한다는 점이다. 2 CCLCM의 포트폴리오는 다음과 같이 운영된다. (The Cleveland Clinic Lerner College of Medicine (CCLCM) started in 2002 a..

의과대학 초기에 포트폴리오 활용 전략

1 의과대학생들에게 이론과 실천의 연계는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적 학습authentic learning과 이론교육theory instruction의 결합이 필요하다. 포트폴리오는 이 중 Authentic learning을 지도하고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학생은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행동을 이론적 지식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대안적 행동 방법을 찾는다. 이러한 형태의 체계적인 자기 조절을 '성찰'이라 한다. 2 Maastricht 의과대학에서는 포트폴리오를 교육과정 초기에 도입함으로써, (1) 성찰을 자극하고 개발하는 것 외에도, (2) 멘토링 시스템에 활용하고, (3) 학습과 평가에 대한 학생의 책임을 키우고, (4) 포트폴리오를 공식적인 평가 요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