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가르치게 돕습니다.

의과대학 초기에 포트폴리오 활용 전략

Meded. 2022. 1. 7. 06:06

1

의과대학생들에게 이론과 실천의 연계는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적 학습authentic learning과 이론교육theory instruction의 결합이 필요하다. 포트폴리오는 이 중 Authentic learning을 지도하고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학생은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자신의 행동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행동을 이론적 지식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대안적 행동 방법을 찾는다. 이러한 형태의 체계적인 자기 조절을 '성찰'이라 한다.

 

2

Maastricht 의과대학에서는 포트폴리오를 교육과정 초기에 도입함으로써,

(1) 성찰을 자극하고 개발하는 것 외에도,

(2) 멘토링 시스템에 활용하고,

(3) 학습과 평가에 대한 학생의 책임을 키우고,

(4) 포트폴리오를 공식적인 평가 요소로 도입하여 모든 학생이 피드백을 검토하고 통합하도록 유도하고자 했다.

 

3

포트폴리오에서 다음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구조(structuring)이다. 지나치게 많은 요소를 지정해놓는 것도, 구조가 전혀 없거나 거의 없는 것도 둘 다 문제다. 작성해야 하는 내용에 대한 설명서를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예를 들어, “The doctor as healthcare worker”라면, 보건의료종사자의 역할이 무엇인지, 여기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질문은 무엇인지, 어떤 (근거)자료를 포트폴리오에 기록해야 하는지 등을 설명해주는 것이다.

 

둘째, 멘토링이다. 포트폴리오가 성찰을 자극하는 목적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되려면 다른 사람과의 정기적인 토론이 필요하다. 멘토는 (1) 학습 요구를 인식하고 학습 계획을 수립하도록 도와주고, (2) 실무적인 측면 외에도 감정적 측면까지 학습 과정의 일부가 되도록 도와주며, (3) 포트폴리오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다.

 

셋째, 평가(assessment)이다. 적절한 보상(credits)없이 온전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그렇다고 포트폴리오가 그냥 하나의 관례적 절차(ritual)가 되어서도 안 된다. 물론 평가와 성찰의 두 가지 목표를 결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한 문헌에서는, “시험 목적으로 쓰는 포트폴리오의 타락the corruption of portfolios for testing purposes”이라고 부른다.

 

신뢰도 향성을 위해서는 (1) 포트폴리오의 표준화, (2) 평가 기준을 통한 객관화, (3) 평가자 수 증가의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 포트폴리오의 성격을 고려한다면 이론상 세 번째가 효과적이다. 포트폴리오 평가에서 평가자의 '전문적인 판단'이라는 전인적이고 질적인 접근법을 피할 수 없지만, 그러나 어느 정도의 표준화는 도입 될 수 있다. 또한 평가 과정에서 여러 차례의 토론 시간을 도입할 수 있다.

 

4

포트폴리오가 성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종종 실망스러운 결과를 보여왔다. 포트폴리오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이 필요할 것이다.

• 학생을 지도하는 지지적 멘토 제도

• 학생이 내용과 형태를 결정할 수 있는 명확한 구조

• 자기 성찰을 중심으로 조직화

• 포트폴리오를 초기에, 모호하지 않게 도입

• 성찰을 방해하지 않는 평가 절차

 

출처: 

Driessen, E., Van Tartwijk, J., Vermunt, J., & van der Vleuten, C. (2003). Use of portfolios in early undergraduate medical training. Medical teacher, 25(1),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