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Introduction and Epistemologies of Educ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s By Colleen A. Capper. Organizational Theory for Equity and Diversity
교육 리더십 및 조직의 서론과 인식론
초기 경험과 다중 패러다임 접근
- 초기 조직 이론 경험: 저자는 밴더빌트 대학에서 테리 딜 교수와 함께 조직의 네 가지 프레임(Bolman & Deal, 2017)을 학습한 경험을 설명합니다.
- 다양한 시각의 필요성: 저자는 켄터키 동남부 애팔래치아 지역 학교에서의 리더십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의 교육행정 이론과 연구가 다양한 "다른 사람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느꼈습니다 (Capper, 1993).
- 비판적 이론의 중요성: 저자는 William Foster의 비판적 이론을 학습한 후, 구조적 기능주의와 해석적 인식론을 넘어 비판적 이론과 페미니스트 포스트구조주의와 같은 인식론을 포함한 다중 패러다임 접근을 주장했습니다 (Capper, 1993).
다양한 인식론의 이해
- 교육 실천 분석: 구조적 기능주의, 해석적, 비판적 인식론을 활용하여, 저자는 교육 실천의 한계와 가능성을 분석했습니다. 예를 들어, 총체적 품질 관리(Total Quality Management)와 같은 현재의 학교 개선 운동과 유사한 교육 실천을 분석했습니다 (Bryk, Gomez, Grunow, & LeMahieu, 2015).
- 비판적 관점에서의 영성: 교육에서의 영성 문헌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다양한 인식론을 결합하여 연구했습니다 (Capper, Keyes, & Theoharis, 2000).
- 커뮤니티와 사회 정의: 영성을 중심으로 한 리더십에서의 커뮤니티를 비판적으로 검토했습니다 (Capper, Keyes, & Hafner, 2002).
- 실천의 인식론적 갈등: 리더가 구조적 기능주의, 해석적, 비판적 인식론에서 직면할 수 있는 인식론적 갈등을 연구했습니다 (Keyes, Capper, Jamison, Martin, & Opsal, 1999).
포스트구조주의와 페미니스트 포스트구조주의
- 비전통적 이론과 실천 비판: 비전통적 이론과 연구를 페미니스트, 포스트구조주의 관점에서 비판하고 분석했습니다 (Capper, 1992; Capper, 1994a).
- 포스트모던 인식론 적용: 교육 리더십에 포스트모던 인식론이 적용되기 시작했을 때, 전통적인 관점에서 비판 이론과 포스트구조주의 인식론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에 대해 저자는 두 인식론의 차이점과 리더십 실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했습니다 (Capper, 1998).
- 비판적 관점 하위 이론: 비판적 관점의 우산 아래 페미니스트 이론, 비판적 인종 이론(Critical Race Theory), 퀴어 이론(Queer Theory)을 간략히 설명했습니다.
결론
- 다양한 인식론의 중요성: 저자는 다양한 인식론이 교육 리더십과 실천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도구임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인식론의 이해는 교육 실천의 한계와 가능성을 명확히 하고, 보다 포괄적이고 공평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 챕터에서는 저자의 초기 조직 이론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 행정에서 다양한 인식론을 어떻게 적용하고 분석했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교육 리더십과 실천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인식론적 프레임워크
확장된 인식론적 분석
- 추가된 이론들: 저자는 본 텍스트에서 비판적 인종 이론(Critical Race Theory), 흑인 비판 이론(Black Crit), 라틴계 비판 이론(LatCrit Theory), 아시아계 비판 이론(Asian Crit), 부족 비판 이론(Tribal Crit), 퀴어 이론(Queer Theory), 장애학 이론(Disability Studies theories), 흑인 페미니스트 인식론(Black feminist epistemology), 교차성 이론(Theories of intersectionality)을 다루며, 이러한 인식론들이 조직 이론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논의합니다.
인식론의 관계
- 도식화: 저자는 이 책에서 다루는 인식론과 그들 간의 관계를 도식으로 표현했습니다(그림 1.1 참고).
- 경계의 한계: 저자는 고정된 경계를 그리는 것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Lather(1991)의 말을 인용하여, 이와 같은 도식이 이분법적 논리를 재생산할 수 있고, 인식론을 단순화하고 이원화할 수 있음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교육 도구로서 유용하다고 언급합니다.
인식론의 특성과 비교
- 인식론의 유연성: 각 인식론의 특성과 비교 정도는 다를 수 있으며, 교육적, 조직적, 사회적 삶의 복잡성과 인식론의 논쟁적인 역사 때문에 인식론과 그 적용에 대한 설명은 완전한 것으로 간주될 수 없습니다.
- 선정 기준: 저자는 조직, 리더십, 교육, 평등과 관련성이 높은 인식론을 선정했지만, 다른 유형학을 주장할 수도 있음을 인정합니다 (English, 1993; Sirotnik & Oakes, 1986).
Burrell과 Morgan의 사회학 이론 프레임워크
- 축의 의미: 수평 축은 과학의 본질 또는 지식의 본질(즉, 인식론)을 나타내며, 객관적에서 주관적까지의 연속성을 갖습니다. 수직 축은 변화의 본질을 나타내며, 하단에서는 규제 지향적, 상단에서는 급진적 사회 정의 지향적 변화를 나타냅니다.
- 급진적 변화의 연속성: 급진적 변화 연속성의 상단에서는, 객관적 지식의 본질과 관련된 급진적 구조주의와 주관적 지식의 본질과 관련된 급진적 휴머니즘을 구분했습니다. 여기서는 이러한 차이를 분석하는 대신, 주관적/객관적 지식의 본질을 아우르는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을 검토합니다.
인식론 개요
- 짧은 개요: 각 장에서 다룰 인식론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이는 갤러리를 오토바이로 지나가는 것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각 장에서는 각 인식론에 대해 상세히 다룹니다.
이 부분에서는 다양한 비판적 인식론을 소개하고, 이들이 조직 이론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합니다. 이를 통해 인식론의 복잡성과 그 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Burrell과 Morgan의 사회학 이론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인식론의 위치를 설명하고, 각 인식론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인식론적 프레임워크 설명
도식의 구성
- 수평 축 (X축): 지식의 본질(Nature of Knowledge)을 나타내며, 좌측은 주관적(subjective), 우측은 객관적(objective)으로 구분됩니다.
- 수직 축 (Y축): 변화의 본질(Nature of Change)을 나타내며, 하단은 규제(Regulation) 지향적, 상단은 급진적 변화(Radical Change) 지향적입니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 모더니즘 (Modernism): 도식의 좌측 상단과 하단에 위치하며, 주요 인식론으로는 구조적 기능주의(Structural Functionalism)와 해석주의(Interpretivism)가 있습니다.
-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 도식의 우측에 위치하며, 급진적 변화 지향 인식론에는 페미니스트 포스트구조주의(Feminist Poststructuralism), 흑인 페미니스트 사상(Black Feminist Thought), 장애학 이론(Disability Studies Theories), 퀴어 이론(Queer Theory), 교차성 이론(Theories of Intersectionality)이 포함됩니다.
급진적 변화 지향 인식론
- 좌측 급진적 변화 지향:
- 주관적 지식: 비판 이론(Critical Theory), 페미니스트 이론(Feminist Theories), 비판적 인종 이론(Critical Race Theory), 라틴계 비판 이론(LatCrit), 아시아계 비판 이론(Asian Crit), 부족 비판 이론(Tribal Crit), 흑인 비판 이론(Black Crit).
규제 지향 인식론
- 구조적 기능주의 (Structural Functionalism): 객관적 지식 기반 규제 지향 인식론.
- 해석주의 (Interpretivism): 주관적 지식 기반 규제 지향 인식론.
도식의 요약
- 급진적 변화 지향 인식론은 사회 정의를 목표로 하며, 주관적 및 객관적 지식 모두를 포괄합니다.
- 규제 지향 인식론은 사회 구조를 유지하고 안정성을 목표로 합니다.
- 포스트모더니즘 인식론은 모더니즘 인식론의 한계를 넘어서며, 특히 페미니스트와 교차성 이론을 강조합니다.
이 도식은 교육 리더십과 조직 이론에서 다양한 인식론이 어떻게 위치하고 서로 어떤 관계를 갖는지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각 인식론의 역사적 궤적과 상호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인식론적 프레임워크의 세부 설명
구조적 기능주의 (Structural Functionalism)
- 위치: 우측 하단 사분면
- 지식의 본질: 객관적
- 변화의 본질: 규제 지향적
- 주요 목표: 효율성에 중점을 둠
- 관련 이론 및 방법:
- Bolman과 Deal의 구조적 프레임 (2017): 관료제, 상향식 리더십
- 실증주의 및 양적 연구 방법: 평등에 중점을 두지 않음
- 참고 장: Chapter 3
해석주의 (Interpretivism)
- 위치: 좌측 하단 사분면
- 지식의 본질: 주관적
- 변화의 본질: 규제 지향적
- 주요 목표: 이해에 중점을 둠
- 관련 이론 및 방법:
- 인간 관계 이론: Bolman과 Deal의 인간 자원 프레임 (2017)
- 질적 연구 방법: 평등을 다루지 않음
- 비판: 참여와 인간 관계에 중점을 두는 해석주의 인식론은 종종 구조적 기능주의의 해독제로 간주되지만, 두 인식론 모두 특권, 권력, 정체성, 억압, 평등, 사회 정의를 무시함
- 참고 장: Chapter 4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 (Critically Oriented Epistemologies)
- 위치: 변화 축의 상단
- 지식의 본질: 주관적 및 객관적 모두 포함
- 변화의 본질: 급진적 변화 지향적, 정의를 목표로 함
- 관련 이론 및 방법:
- 비판 이론 (Critical Theory): 사회 정의, 평등, 비판적 질적 연구 방법을 포함
- 페미니스트 이론 및 비판적 인종 이론 (CRT): 성별과 인종에 대한 비판적 관점 추가
- 흑인 비판 이론 (Black Crit): CRT의 비판으로 등장
- 중요성: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 사이의 논쟁은 급진적 변화 연속성의 끝에 있는 비판적 접근 방식을 무시함
- 참고 장: Chapter 5 (비판 이론), Chapter 6 (페미니스트 이론), Chapter 7 (CRT), Chapter 8 (LatCrit, Asian Crit, Tribal Crit), Chapter 9 (흑인 페미니스트 인식론)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의 추가 발전
- LatCrit, Asian Crit, Tribal Crit: 법학에서 CRT의 한계를 인식한 후 등장, 교육에 적용
- 흑인 페미니스트 인식론 (Black Feminist Epistemology): 페미니즘 및 페미니스트 포스트구조주의의 한계를 기반으로 발전
이 설명에서는 다양한 인식론이 교육 리더십과 조직 이론에서 어떻게 위치하고 상호 관계를 갖는지, 그리고 각 인식론의 주요 목표와 관련 이론을 상세히 다룹니다. 이는 각 인식론이 조직 이론과 리더십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연속체
모더니즘 인식론
- 포함된 인식론: 구조적 기능주의, 해석주의,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비판 이론, 페미니스트 이론, 비판적 인종 이론, LatCrit 이론, Tribal Crit 이론, Asian Crit 이론, Black Crit 이론).
- 공통점:
- 지식의 연속성: 객관적에서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간주.
- 권력의 개념: 권력은 전부 아니면 전무로 이해됨. 권위적이거나(구조적 기능주의) 권한을 부여하는(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 것으로 구분.
- 본질적 성향: 개인은 본질적인 성향을 가지며, 이는 안정적이고 완전하게 인식되거나 다른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함.
- 변화의 방식: 변화는 점진적이거나 급진적으로 진화하며, 이는 원인과 결과의 아이디어와 연결됨.
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구조주의 인식론
- 등장 시기: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 교육 리더십에 처음 도입됨 (Anderson, 1990; English, 1998).
- 핵심 개념:
- 목표에 대한 의문: 변화의 목표 자체에 의문을 제기함. 효율성(구조적 기능주의), 이해(해석주의), 사회적 변화(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 등.
- 복잡성 강조: 의사 결정과 이견의 복잡성에 관심. 대화와 합의로 연결된 의사 결정을 단순화하고 권력 불균형을 은폐할 수 있는 것에 의문을 제기.
- 권력의 개념: 권력은 복잡하고 다원적이며 분산된 것으로 봄. 이는 모더니즘 인식론에서의 권력 개념과 대조됨.
추가된 인식론
- 페미니스트 포스트구조주의 (Feminist Poststructuralism): 비판 이론과 포스트모던 철학의 많은 측면에 동의하지 않는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에 의해 등장 (Chapter 6).
- 장애학 이론 및 퀴어 이론 (Disability Studies Theories and Queer Theory):
- 영향: 포스트모던 사상의 영향을 강하게 받음.
- 반영: 이 두 인식론의 원칙은 포스트모던 사상의 영향을 반영.
- 교차성 이론 (Theories of Intersectionality):
- 등장 배경: 법학자 Crenshaw (1991)의 연구와 함께 등장.
- 교육 리더십 적용: 교육 지도자들이 학생들의 차이점에 걸쳐 어떻게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음 (Frattura & Capper, 2007; Scanlan & Theoharis, 2015).
- 조직 이론 및 교육 리더십에의 적용: 아직 완전히 적용되지 않음 (Chapter 12).
이 부분에서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인식론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포스트모더니즘 인식론의 복잡성과 권력의 다원적 개념을 강조합니다. 또한,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과 포스트모더니즘 인식론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새로운 인식론들을 소개합니다. 이를 통해 교육 리더십과 조직 이론에서 다양한 인식론이 어떻게 발전하고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용어 정리 (Terminology)
패러다임/관점/인식론
- 패러다임 (Paradigm): 전통적으로, 이론들의 집합체를 의미하며, Burrell과 Morgan(1982)이 사용한 용어입니다. 그러나 저자는 Lather(1991)와 Cherryholmes(1988)의 영향을 받아, 패러다임이 모더니즘 전통 내에서 경직되고 불투명한 경계를 나타낸다고 보았습니다.
- 관점 (Perspective): Best와 Kellner(1991)의 정의를 따르며, 특정 현상을 분석하는 시각이나 분석적 틀을 의미합니다. 관점은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않으며, 개인의 사전 가정, 이론, 가치, 관심사에 의해 선택적이고 중재된다는 것을 내포합니다.
- 인식론 (Epistemology): 지식의 본질이나 개인이 지식을 얻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Ladson-Billings(1998)에 따르면, 인식론은 전체 사회적 지식 체계와 무엇이 지식으로 간주되는지, 그리고 누가 그 지식을 만드는지 반영합니다.
인식론의 확장
- Anzaldúa의 견해: 이론은 일련의 지식들이며, 일부 지식은 특정 집단에서 제외되고 배제됩니다. 자신의 접근 방식과 방법론을 도입함으로써, 우리는 이론 공간을 변형할 수 있습니다 (Anzaldúa, 1990).
- Brayboy의 경험: 개인의 정체성과 개인 이야기, 그리고 이론 간의 관계를 강조합니다. 이야기와 이론을 분리하는 것은 문제를 야기하며, 특히 원주민 공동체와 이를 대표하려는 인류학자들에게 그렇습니다 (Brayboy, 2005).
- Donnor와 Ladson-Billings의 동의: 모든 학자는 이야기를 말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Donnor & Ladson-Billings, 2018).
인식론의 이해
- 단순한 전환이 아님: Bolman과 Deal(2017)이 제안한 "프레임 전환"과 같이 간단한 분석 도구가 아님. 각 인식론은 전체 세계관, 역사, 시스템을 포착하며, 개인의 교차하는 정체성과 분리할 수 없습니다.
- James Banks의 견해: "모든 지식은 그 창조자의 가치와 관심사를 반영한다"는 단순한 진리를 상기시킵니다 (Banks, 1993).
이 부분에서는 조직 이론과 관련된 주요 용어들, 특히 패러다임, 관점, 인식론의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또한, 인식론이 단순한 분석 도구가 아니라 전체 세계관과 깊이 연결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인식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개인의 정체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비판 이론과 인식론 (Critical Theory and Epistemology)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 (Critically Oriented Epistemologies)
- include all epistemologies at the radical change toward justice end of the continuum of change
- 포함된 인식론:
- 비판 이론 (Critical Theory)
- 페미니스트 이론 (Feminist Theory)
- 페미니스트 포스트구조주의 (Feminist Poststructuralism)
- 비판적 인종 이론 (Critical Race Theory, CRT)
- 라틴계 비판 이론 (LatCrit)
- 아시아계 비판 이론 (Asian Crit)
- 부족 비판 이론 (Tribal Crit)
- 흑인 비판 이론 (Black Crit)
- 퀴어 이론 (Queer Theory)
- 장애학 이론 (Disability Studies Theories)
- 흑인 페미니스트 인식론 (Black Feminist Epistemology)
- 교차성 이론 (Theories of Intersectionality)
비판 이론의 역사와 한계
- 프랑크푸르트 학파 (Frankfurt School): 비판 이론은 독일에서 마르크스주의를 바탕으로 지적 엘리트 백인 남성들에 의해 형성됨.
- 고유한 역사와 세부사항: 비판 이론은 모든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을 대표하지 않으며, 각 인식론은 고유한 역사와 세부사항을 가짐.
- Banks의 견해: "모든 지식은 그 창조자의 가치와 관심사를 반영한다." 이는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들 사이에서도 동일함.
인식론과 이론의 관계
- 인식론 (Epistemology): 전반적인 지식 체계
- 이론 (Theory): 인식론 내에서의 작은 설명 단위
- 구조적 기능주의와 해석주의: 거의 모든 조직 이론은 구조적 기능주의에 속하거나 해석주의와 혼합됨.
-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 내의 이론: 이론의 수는 구조적 기능주의와 해석주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음. 이는 해당 분야의 성숙도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
비판 이론 내의 이론들
- 하버마스 이론 (Habermasian Theory): 하버마스와 관련된 이론
- 사회 정의 이론 (Social Justice Theories): Rawls의 이론 (1986)
- 저항 이론 (Theory of Resistance): 교육 리더십에서의 사회 정의 리더십과 관련 (Theoharis, 2007)
- LatCrit 이론 내의 인종적 원주민주의 (Racist Nativism): Huber가 개발 (2010)
미래의 발전
- 추가적인 이론의 등장: 학자들과 교육자들이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을 교육, 조직, 리더십에 계속 적용하면서 추가적인 이론들이 등장할 것.
- 리더십과 평등 문헌 검토: Chapter 2에서 검토됨.
이 부분에서는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의 범위와 비판 이론의 역사, 한계, 그리고 인식론과 이론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비판 이론은 여러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 중 하나로, 모든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을 대표하지 않으며, 각 인식론은 고유한 역사와 세부사항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인식론이 교육과 조직 이론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패러다임 전환 ("Paradigm Shifts")
패러다임 전환의 오해
- 잘못된 주장: 교육자들이 특정 교육 실천이 "패러다임 전환"을 나타낸다고 주장할 때, 실제로는 단순히 한 이론에서 다른 이론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주로 구조적 기능주의 또는 해석주의 인식론 내에서 발생합니다.
- Poplin과 Stone의 설명 (1992): 패러다임 전환을 주장하는 것은 때로는 잘못된 인식을 만들어내며, 실제로는 기존 패러다임 내에서 이론적 변화를 언급하는 것일 뿐입니다. 이는 인식론적 가치와 신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발생합니다.
교육에서의 현실
- 교육 실천의 새로운 주장: 교육에서 새로운 또는 변혁적인 것으로 주장되는 많은 실천들은 실제로는 이전의 실패한 실천들과 같은 구조적 기능주의 또는 해석주의 인식론에서 기원합니다.
- 목표: 이 책의 목표 중 하나는 다양한 인식론을 이해함으로써, 교육자들이 기존의 리더십 준비 프로그램, 교육 실천, 책, 또는 전문성 개발 기회를 분석하고, 이러한 현상의 근본적인 인식론을 파악하며, "평등" 작업이라고 주장하는 작업의 한계와 가능성을 식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평등/사회 정의 (Equity/Social Justice)
용어의 문제점
- 평등과 사회 정의: "평등"과 "사회 정의"라는 용어의 문제를 제기합니다.
- 비판 이론의 진화: Chapter 5에서 비판 이론이 교육 리더십에서 사회 정의 학문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논의하고, 비판 이론과 사회 정의의 한계를 상세히 설명합니다.
- 다양성: "다양성"이라는 용어는 종종 인종을 주로 의미하면서도 인종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기 위해 사용됩니다 (Chapter 7). 이는 성적 정체성, 성별 정체성, 능력 등 다른 정체성과 차이의 측면을 논의하지 않으면서도 사용됩니다.
- 책 제목 선택: 책 제목에서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 대신 "다양성"이라는 단어를 선택한 것은 상징적이며 실질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이는 다양한 독자, 특히 교육 실천가들을 끌어들이기 위함입니다.
이 부분에서는 교육 실천에서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오해와 그 실제 의미를 설명합니다. 또한, "평등", "사회 정의", "다양성"이라는 용어의 사용과 문제점을 논의하며, 이러한 용어들이 어떻게 잘못 사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교육자들이 인식론의 차이를 이해하고, 교육 실천과 리더십에서 진정한 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인식론의 결합 (Combining Epistemologies)
다양한 인식론의 결합 시도
- Burrell과 Morgan (1982): 조직 이론을 네 가지 패러다임(구조적 기능주의, 해석주의, 급진적 휴머니즘, 급진적 구조주의)으로 분류하며 다중 패러다임 접근 방식을 개발.
- Gioia와 Pitre (1990): Burrell과 Morgan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다중 패러다임 이론 구축을 설명.
- Hassard (1991): 연구에서 네 가지 패러다임을 모두 사용하는 방법을 시연.
- Sirotnik과 Oakes (1986): 학교에서의 비판적 탐구를 구조적 기능주의, 해석주의, 비판 이론의 조합으로 설명.
- Popkewitz (1984): 교육 연구에서 이러한 세 가지 인식론의 유용성을 설명.
다양한 인식론의 데이터 해석
- Bensimon (1989): 대학 리더십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구조적 기능주의/해석주의 인식론에서 페미니스트 인식론으로 재구성하여, 다양한 인식론이 데이터에서 다른 해석과 결과를 도출함을 시연.
- Lather (1991): 여성학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네 가지 인식론(실재론, 비판적, 해체주의, 반성적)을 비교 분석하여 네 가지 "이야기"를 생성.
- Cherryholmes (1993): Palincsar와 Brown(1984)의 상호 교육 연구를 페미니스트 이론, 비판 이론, 해체주의, 비판적 실용주의의 네 가지 인식론으로 재구성.
패러다임의 호환성에 대한 논쟁
- Burrell과 Morgan의 패러다임 개념화에 대한 비판: Evers와 Lakomski(1991)는 이 패러다임이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대해 회의적.
- 비호환성 주장: 일부 학자들은 네 가지 패러다임이 인식론적, 존재론적, 방법론적 차이와 관련 언어로 인해 본질적으로 비호환적이라고 주장 (Foster, 1986a; Jackson & Carter, 1991; Parker & McHugh, 1991).
비판적 인식론의 결합 가능성
- 초기 주장: 저자는 과거에 구조적 기능주의, 해석주의, 비판 이론, 페미니스트 포스트구조주의 인식론을 결합하여 다문화 사회에서의 교육 행정을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다고 믿었음 (Capper, 1993).
- 현재 입장: 구조적 기능주의와 해석주의 인식론은 비판적으로 지향된 인식론과 결합할 수 없다고 봄. 이들은 서로 다른 역사, 세계관, 목표를 가지고 있음.
비판적 인식론의 문제점
- 중립성의 허구: 구조적 기능주의와 해석주의 인식론은 이데올로기적으로 중립적인 것으로 제시되지만, 실제로는 사회적 정의를 증진하지 않으며, 오히려 억압의 도구로 사용됨 (Scheurich & Young, 1998).
- 억압의 수단: 이 인식론들은 인종 차별적, 계급 차별적, 성차별적, 동성애 혐오적, 트랜스 혐오적, 원주민 차별적 요소를 포함함.
비판적 인식론의 결합 사례
- DisCrit: 장애학과 비판적 인종 이론의 결합 (Annamma, Connor, & Ferri, 2013).
- Queer of Color Theory: 퀴어 이론과 비판적 인종 이론의 결합 (Ferguson, 2004).
- Chapter 12: 조직 이론과 교차성 이론에 대해 다룸.
요약 (Summary)
- 조직 이론의 역사: 특정 세계관을 우대하고 다른 세계관을 소외시킴.
- 정체성의 중요성: 인종, 계급, 성별, 능력, 언어, 성적 정체성, 성별 정체성과 표현, 이들의 교차성에 대한 정체성의 중요성을 전달.
- Chapter 12: 개별 정체성 개발, 사회 정의 리더십 정체성 개발 및 실천, 사회 정의를 목표로 하는 교육 환경을 조직으로서 진화시키는 과정에 대해 논의.
- Chapter 2: 조직 이론과 비판적 인식론의 중요성, 공평한 학교를 이끌기 위한 조직 이론의 역사와 공평성에 대해 탐구.
이 부분에서는 다양한 인식론을 결합하려는 시도와 그 어려움, 그리고 비판적 인식론의 결합 사례를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교육과 조직 이론에서 다양한 인식론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적용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Wilson Cent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식론] 12장 사회 정의를 향한 개인 및 조직의 정체성 형성 (0) | 2024.06.10 |
---|---|
[인식론] 2장 조직 이론의 역사와 현장의 형평성 (0) | 2024.06.07 |
[연구] 보건의료전문직(HPE)에서의 저자됨(Authorship) (0) | 2024.06.04 |
[프로그램 평가] 캐나다 연방 정부에서의 전략적 평가 활용 (1) | 2024.06.04 |
[프로그램 평가] 평가적 사고의 정의와 가르치기: 비판적 사고 연구의 인사이트 (0) | 2024.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