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ler's pyramid 2

밀러의 피라미드에서 제일 윗 층(Does level)의 평가

1 밀러의 피라미드에서 마지막 한 층(Does)의 평가를 보자. 'Does' 수준의 평가는 본질적으로 전문가가 정보에 의존하여 성과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이 때 전문가란, 동기 및 선후배, 동료직원, 상급자, 교수자 등을 비롯하여 피평가자의 업무 또는 교육성과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을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단어로 해석해야 한다. 2 Does 평가의 자극 형식은 실제적 맥락Authentic context이며, 비표준화, 비구조화 되어있다. Does 평가의 응답 형식은 다소 일반적generic이며, 특정한 맥락에 따라 재단tailored되어있지 않다. 예를 들어 CanMEDS의 Collaborator와 Communicator 역량이 있다. 이런 역량이 어느 정도 generic할지 몰라도, 평가를 할 때는 맥락-..

밀러의 피라미드에서 처음 세 층의 평가

1 밀러의 피라미드에서 처음 세 층의 평가를 보자. 이 때 고려해야 할 것은 다음과 같다. 2 역량은 구체적이며, 제네릭하지 않다(Competence is specific, not generic): 한 케이스에 대한 성과는, 심지어 동일한 영역 내의 다른 케이스에 대해서조차, 성과를 예측하는 지표로 좋지 않다. 이를 (임상) 능력의 '내용-특이성'문제라고 부른다. 인지심리학에서 오래전부터 학습의 전이transfer가 중요한 문제였다는 것도 내용특이성을 시사한다. 하나의 측정은 측정이 아니며, 단일single-point 평가는 신뢰할 수 없다. 가장 현명한 전략은 오랜 시간에 걸쳐 다양한 평가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결합하는 것이다. 3 객관성은 신뢰성과 동일하지 않다(Objectivity does not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