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문화 2

상호존중을 위한 행동규범의 바람직한 운영 전략

1 행동규범의 바람직한 운영방식은 다음과 같다. 행동규범은 교육 기관의 최고위 리더highest level에게 충분한 서포트를 받는 경우에만 효과적이다. 리더는 행동규범을 공개적으로 지지endorse하고, 시행 할 뿐만 아니라, 권고된 행동을 스스로 모델링해야 한다. 연구비가 많다고, 진료를 많이 한다고, 친인척 관계라고, 일부 구성원이 행동규범의 면제를 받거나, 리더가 스스로 행하기를 꺼린다면 공동의 책임감shared responsibility을 약화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불만이나 규범 위반이 발생했을 때 그것을 처리하는 절차가 명시적이고, 이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갖추는 것이다. 또한 일관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정성을 위해서는 피고인에게도 공식적인 사실관계의 탐색(..

피드백이 잘 안 되는 이유: '공손함' 때문만은 아니다.

1 피드백 탐색 행동(Feedback-seeking behavior, FSB)은 자기 동기 (자기 평가, 자기 개선, 자기 향상, 자기 검증), 개인 및 대인 관계 요소 (피드백 제공자의 의도 및 특성, 피드백 탐색자와 제공자 간의 관계), 자존감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에 달려있다. 2 교수들은 서면평가에서 모호하고 일반적(generic)인 표현을 쓴다. 학생 또는 전공의를 충분히 알지 못해서 일수도 있고, 조직 문화 때문에 자기-이미지에 위협이 되는 표현을 쓰기 어려웠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결국 비특이적이고 도움되지 않는 의견을 주는 결과를 낳았다. 3 예절(공손)이라는 개념에 따르면, "관습적 간접성(conventional indirectness)"이 존재한다. 이는 [어떤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