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L 5

소설 오셀로를 활용한 PBL기반의 비판적 사고능력 교육 (2019년 5월 10일의 기록)

"오늘은 지금껏 해왔던 것과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이번 시간을 진행해볼까 해요" 이 말에 학생들이 일제히 웃음을 터트린 것을 보며, 나에 대해 '저 교수는 매번 뭔가 이상한 방식으로 뭔가를 해보려는 사람'이라는 암묵적인 분위기가 이번 학년 학생들 사이에 있는 것인가 싶었다. 뭐 딱히 나쁘진 않다. . 결론적으로 말하면 학생들은 PBL이라는 생소한 형식에도 불구하고 제법 잘 해주었다. 초반에는 Fact, Problem, Hypothesis, Learning issue를 내가 예를 들어가며 만들어줘야 했지만 점차 적응해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아마 내년에 공식적으로 PBL할 때 더 익숙하게 하겠지 싶다. . 한 차례로 종료되었기에 제대로 형식을 갖춘 PBL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그래도 조금 다듬으..

의과대학 통합교육(교육과정 수준, 과목 수준)의 한계

1 플렉스너 보고서(Flexner Report, 1910)는 기초과학basic science 교육을 의학교육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규정하였고, 이후 기초과학 교육과 임상의학 교육의 통합은 중요한 문제였다. 하지만 통합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의학교육은 프로그램, 코스, 세션 수준에서 어떻게 통합되고 있는가? 프로그램, 코스, 세션은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프로그램(교육과정): as the superstructure of the curriculum that organizes all the formal education activities • 코스(과목): a discrete component within the program focusing on specific units of knowled..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원리

1 PBL에서 학생들은 소규모 그룹(6-10명)으로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PBL에서 학생들은 사전 지식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정보를 사전 지식과 연관시키고, 아이디어를 구조화하고, 기저 원리를 찾고, 지식을 비판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하지만 PBL이 전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에도, 많은 학교는 다양한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려면, PBL의 실천이 이론과 더 잘 정렬align 되도록 조정해야 한다. 그렇다면 이론은 무엇인가? 이론은 ‘어떤 것이 어떻게 작동할지에 대해 생각하는 방법’이다. 이론은 ‘특정한 관점에서, 문제를 정의하거나 분석하는 일군의 원칙들’으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이론은 특정한 문제를 이해하거나, 특정한 관점에서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학생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소그룹 교육/튜터의 모습

1 효과적인 소그룹의 여섯 가지 요소 • 효과적인 소그룹 튜터 (Effective small group tutors) • 긍정적인 그룹 분위기 (A positive group atmosphere) • 적극적인 학생 참여 및 그룹 상호 작용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and group interaction) • 소그룹의 목표를 지속(고수) (Adherence to small group goals) • 임상적 관련성 및 통합 (Clinical relevance and integration) • 사고와 문제 해결을 촉진하는 사례 (Cases that promot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2 학생들은 소그룹 교육의 목표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1988년부터 2010년까지의 의학교육 연구: 주제, 기관, 사람

1 약 반세기 전에, 미국에 최초의 의학교육학교실이 설립되었다. 이후 의학교육은 하나의 연구 분야로, 체계적인 연구를 할 자격이 있는 분야로 부상했다. 학과, 교수, 저널, 컨퍼런스 수 등이 어떤 분야가 성숙하는 지표라면 분명 이 분야는 번창하고 있다. 예를 들어, 80년대 초에 의학교육학을 다루는 저널은 두개 뿐이었다. 이제 보건전문직교육을 다루는 16개 이상의 저널이 있다. 2 의학교육의 중심 연구주제가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다음의 이유로 중요하다. • 첫째, 순수한 호기심이다. 무엇이 그 오랜 세월 동안 그 분야를 몰두하게 했는지 보는 것은 그야말로 흥미롭다. 가장 인기 있는 주제, 가장 시급한 이슈는 무엇이었는가? 어떤 기관, 어느 연구자가 특정 주제를 가장 자주 다루었는가? • 둘째, 연구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