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가르치게 돕습니다.

의학교육에서의 평가(assessment): 세 가지 종류와 다섯 가지 권고

Meded. 2022. 1. 28. 06:05

1

Epstein은 평가assessment에 대해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자주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역량의 영역을 통합적이고, 일관성있고, 종단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Ericsson은 교수자가 학생을 자기주도적인 학습자가 되도록 도와주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 때 수행능력에 대한 피드백을 줌으로써 전문성 개발을 위한 의도적 연습deliberate practice으로 이어지게 만드는 것을 강조했다.

 

2

Van der Vleuten은 평가를 세 가지로 분류했다:

> assessment for learning (AfL)

> assessment of learning (AoL)

> assessment as learning (AaL)

 

2-1

AfL은 종종 형성평가라고도 불린다. AfL에서 학생은 메타인지 전략에 초점을 둔 과정에 몰입한다. 학생들이자신의 생각에 대해서 생각해보려는 노력을 지지해줘야 한다. 자신의 수행능력과, 자신의 현재 이해상태와, 명확히 정의된 성공의 준거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 자신의 학습을 개선하고 시작하는 주체가 되는 것이다. 형성성(the formative)을 강조하는 평가 시스템은 개선(improvement)를 포용하고 지지하는 문화 속에서만 성장할 수 있다.

 

2-2

AoL은 종종 총괄평가라고도 불린다. 역량을 기준으로 현재 진행상태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한 판단을 강조한다. 형성평가와 총괄평가는 별개의 목표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지만, 두 가지가 중복되는 영역도 많다. 예를 들어, 형성 평가에서 중대한 결함이 발견된 학생에게는 재교육remediation이 필요할 수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완전히 퇴출dismiss해야 할 수도 있다.

 

2-3

AaL에는 평가 프로세스가 전체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에 지니는 함의programmatic and curricular implication가 담겨 있다. , 평가 시스템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상의 학습경험과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을 돌아보는 것이다. 또한 AaL은 평가자와 학생 사이의 영향도 고려해볼 수 있다.

 

3

평가에 대해 다섯 가지를 권고한다.

 

3-1

첫째, 의학 교육의 목적은 충분히 명확하게 표현되어 학습의 평가assessment of learning와 일치해야한다. 단순히 후속 단계(전공의 수련)를 위한 준비라고만 하는 것은 불충분하다. 교육의 후속 단계의 준비는 물론 중요하지만, 그 자체가 목표가 될 수는 없다. 각 교육 단계 이후 학생들이 취할 수 있는 방향성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의학교육의 목적이 명확하게 합의되지 않으면 점점 늘어나는 의료지식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환자안전은 하나의 목적이 될 수 있다. 의학 교육의 목적을 무엇으로 합의하든지, 교육의 목표는 평가의 목표와 대체로 일치할 수 있도록 조정이 필요하다.

 

3-2

둘째, 총괄평가(AoL)가 미치는 효과(선발, 고용, 면허, 증명에)를 인정하고 관리해야 한다. 특히 형성평가(AfL)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총괄평가가 형성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말은 간단하지만, 실천은 그렇지 않다. 

 

3-3

셋째, AfL은 평가 프로그램의 근간이 되어야 한다. 평가 프로그램의 근간이 되기 위해서는 여러 출처의 피드백이 포함되어야 하고, 자기주도학습을 강조해야 하며, 교수와 학생 간 신뢰와 장기적인 관계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해야하고, 언제 형성 평가가 사용될 것인지(특히 진급 등의 결정과 관련하여)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있어야 한다. 평가 프로세스의 신뢰가 쌓이면, 학생이 건설적인 피드백을 잘못 해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반대로, 학생 입장에서 비판적인 코멘트가 미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느껴진다면, 학생은 그런 코멘트는 포트폴리오에 표시하지 않으려고 할 것이다.

 

3-4

넷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전반에 걸쳐서 평가가 결정적 역할을 함을 인식해야 한다. 평가는 학습 환경, 교육과정 개발, 학습자와 교사와의 관계, 기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평가에 대한 전문성은 중요하지만, 평가는 고립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평가는 반드시 프로그램의 목표 및 목적과 통합integrate되고, 정렬align되어야 한다.

 

3-5

다섯째, 평가에 관한 교수개발은 교수의 핵심 역량이 되어야 한다. 교수개발이 필요한 영역에는 다음이 있다.

(1) 관찰 기술(training in observation skills in authentic settings (workplace-based assessments))

(2) 피드백과 코칭 기술 (feedback and coaching skills),

(3) 자기평가와 성찰 기술 (self-assessment and reflection skills)

(4) 실천공동체를 통한 동료 지도 기술 (peer guidance skills developed through a community of practice.)

 

출처:

Sklar, D. P. (2017). Assessment reconsidered: Finding the balance between patient safety, student ranking, and feedback for improved learning. Academic Medicine, 92(6), 721-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