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학생을 가르칩니다.

원격교육(온라인 수업)은 인강이 아니다. (2021년 4월 10일의 기록)

Meded. 2022. 4. 10. 08:51

■ 먼저 링크 영상 요약과 감상 (관련 영상: https://youtu.be/basMhSy_95k)

1. 원격교육(온라인 수업)은 인강이 아니다.
* 그러나 의과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은 인강이다.
* 그리고 학생들도 (녹화된) 인강을 선호한다. 

 

2. 교육부 지침은 녹화된 영상을 필수로 요구하고 있다.
* 의대도 예외는 아니다. 한양의대도 본교 지침에 따라 50분 수업에 25분 이상의 강의영상을 반드시 업로드 해야한다.
* 다만 의과대학이 독특한 점은 1시간 수업으로도 시간이 부족해서(?) 또는 열정이 과다해서 70분 80분, 혹은 그 이상 길이의 영상을 업로드하는 교수님들도 계시다는 것...?

 

3. 그러나 국외의 다양한 MOOC을 보면 동영상 강의는 원격교육의 필수요소가 아니다. 동영상 강의가 아예 없는 원격수업도 있고, 오히려 좋은 수업일수록 더 그렇기도 하다.

 

4. 이는 교육에는 수업내용 외에도 다양한 경계(Border)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수업내용은, 그것이 아무리 중요하더라도, 교육의 일부일 뿐이다.
* 시간표, 물건, 공간, 교사, 친구 등등
* 다양한 "요소"로 이해해도 좋을 것이다. 

 

5. 여러 요소 중 "인강"의 형태로 온라인 교육이 진행될 때 유지되는 것은 오로지 내용과 시간표 뿐이다. 
* 대부분 녹화강의에서 교수자는 음성으로만 존재한다.
* 교실이라는 공간과 그 안의 여러 물질(material)들, 동기는 소거된다. 

 

6. 초중등 교육에서는 "왜 혼자 튀느냐"처럼 다른 교사들의 눈치도 좋은 원격교육을 하는 장애요인이 된다. 맘카페에서 "옆반 선생님은 저런것도 하던데요"라는 글도 신경이 쓰인다.
* 의대에서는 이런건 없다.
* 대신 다른 문제가 있다. 

 

7. 초중등 교사는 온갖 교육의 이론을 배우고 교사가 되었지만, 원격수업과 함께 그 모든 이론이 자취를 감추었다.
* 6에서 언급한 '다른 문제'란, 의대에서 교수는 온갖 교육의 이론을 배우고 교육을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말한다. 

 

8. 온라인 수업을 들으며 필기를 하고 문제를 푸는건 자기주도학습이 아니다.
* 작년 한양의대 1학년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했을 때도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애석하게도 높은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높은 학업성취도(GPA)와 무관했다. 

 

9. 현대교육학은 교수자의 일방적 지식전달보다는, 촉진자로서의 교수, 학습자 공동체에서의 학습을 중시한다.
* 인강 위주의 의대 수업에서 역시 사라진 부분이며, 이것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이 적지 않다.
* 물론 그 전에도 지식전달자에 교수 역할이 그친 경우가 많은건 안 비밀. 

 

여기부턴 내 이야기 
10. 비슷한 문제인식을 공유하고 잘 설명해주는 영상을 보아서 반가웠다.

 

11. 이러한 문제의식 때문에 이번학기 예과1학년 수업은 굳이, 굳이(!), 굳이(?) 실시간으로 하고 있다.
* 수업의 여러 요소를 그나마 살리기 위함이었다. 

 

12.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무엇보다 학생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이다. 한 가지는 노골적으로 참여에 인센티브(가산점)를 주고 있다.
* 여기에는 A를 40%까지 줘도 되는 본교 지침이 도움이 되었다. 

 

13. 2시간 수업 중 30분은 조별활동으로 진행한다. 
* 1~2주까진 이렇게 하지 않았다. 3주차에 여러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여 규모와 방식을 확정했다.
* 4~5명의 한 조를 구성하여 5주 동안 유지한다. 5주 뒤엔 바꿀 계획이다. 

 

14. 사실 실시간으로 하는 것은 교수에게도 학생에게도 "편한" 부분이 별로 없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양측 다 "불편한" 방식이다.

 

15. 따라서 실시간으로 할 때는 실시간으로 하는 명확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그것이 무엇이 되었든.
* 그렇지 않으면 학생은 "왜 굳이 이걸 실시간으로?"라는 의문을 갖는다.
* 대표적으로 실시간으로 하면서 교수자가 혼자 말하는 강의는 민심(?)을 잃기 좋다. 

 

16. 그러나 실시간으로 하는 이유가 명확하다고 민심을 잃지 않는 것은 아니다. 왜냐면 14번에서 언급한 것처럼 애초에 실시간은 불편한 방식이기 때문이다.

 

17.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장"과 "학습"은 필연적으로 불편함을 수반한다고 나는 믿는다. 불편함이 없는 성장을 기대한다는 것은 근육통이 없는 벌크업을 기대하는 것과 같다. 

 

18. 굳이 실시간 온라인으로 수업하는 또 다른 이유는 다른 대부분의 과목이 녹화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19. 일말의 알량한 사명감(?) 같은게 있어서, 교육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데 다른 과목에서 안 하고 있으면 나라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해서다. 근데 매번 수업 시간마다 내가 이걸 왜 실시간으로 한다고 했지 라는 후회아닌 후회를 하면서 줌을 켠다.

 

20. 요즘은 중간 강의평가 기간이다. 몇 년간의 경험을 통해 한 가지 내가 내 수업에 대해 알게된 것이 있다. 바로 호불호가 극심히 갈린다는 사실이다.

 

21. 아마 이번 수업도 그럴 것이다. 불안하고, 한편으로는 미안하고, 한편으로는 일말의 기대도 해보지만, 사실 어떤 부정적 평가가 달릴지 걱정하는 마음이 가장 크다.

 

22. 그럼에도 그 불편함은 결국 나와 내 수업, 궁극적으로는 다음 학생들의 배움에 조금은 도움이 되겠지(라고 믿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