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네덜란드의 의과대학 입학생 추첨선발(폐지됨)
지금은 없어졌지만, 불과 2년여 전까지만 해도 네덜란드에서는 의과대학생 선발 방식에 추첨(national lottery system)이 있었다. 의학교육학 학위과정 초반 언젠가 이러한 사실을 처음 접했을 때 꽤나 놀라웠다. 전 세계적으로도 찾아보기 힘든 선발방법이다보니, 네덜란드에서도 이렇게 선발된 학생들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있었다. 추첨 방법의 장점이 없는 것은 아니었겠으나, 현재 해당 방법이 폐지된 것은 이러한 연구의 결과에 근거했을 것이다.  

 

2. 캐나다 McMaster의과대학의 도전(2020 and...?)
그렇게 한동안 '추첨'이란 것에는 신경쓰지 않고 지냈는데, 어제 우연히 캐나다의 McMaster 의과대학에서 이번 학년도 신입생 선발에 추첨을 활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McMaster 의과대학에서 밝힌 이유는 COVID19로 인해서, (여러 대안을 고려해보았지만) 기존의 면접방식(MMI, Multiple Mini-Interview)를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발표된 내용만으로 모든 세부사항을 알기는 어렵지만, 해석해보자면 완전히 추첨으로 선발한 것은 아니고, 5000명 이상의 전체 지원자 풀에서, 서류전형을 거쳐 면접 대상자인 상위 552명을 추리고, 이 중에서 다시 상위 100명은 (우선)선발하고, 나머지 452명 중에서 "합격자" "대기자" "불합격자"를 무작위로 나눈한다고 한다. (These applicants will be randomly selected to be placed on the offer of admission list, wait list, and no offer list).
https://mdprogram.mcmaster.ca/.../covid-19-admissions...

 

이러한 내용은 5월 8일에 발표되었던 것이니 이미 몇 달 전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 이렇게 실제로 올해 학생들이 선발되어 입학하였다(그림 하단, "In it's place applicants were offered a position in the class based on their pre-interview rank and a lottery process."). 
https://mdprogram.mcmaster.ca/.../class-of-2023-stats.pdf

 

3.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
(1)McMaster 의과대학은 2001년 MMI라는 면접방법을 개발한 학교이다. 올해 포기한 것이 바로 이 MMI이다.
(2)McMaster 의과대학은 1960년대 PBL이라는 교육방법을 처음 도입한 학교이다. 
(3)McMaster 의과대학의 랭킹은 캐나다에서 1~3위 정도이다(위키피디아). 참고로 캐나다에는 17개 의과대학이 있다.
(4)McMaster 의과대학의 신입생 수는 매년 200명 남짓이다. 참고로 우리나라는 서울의대 입학정원이 135명(정원내)으로 가장 많다.  
(5)McMaster 의과대학은 3년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그림).

 

 

1. 의학교육학교실로 박사과정을 오고 나서 첫 논문이 나왔다. 한글로 썼으니 당연히 SCI는 물론이요 SCIE도 아니지만, 어쨌거나 국내에서 의학교육 분야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학술지에, 그리고 나름 관심분야인 입학(학생선발, 면접)을 주제로 낸 첫 논문이라 오히려 석사과정때 냈던 SCI논문보다도 애착이 간다.

 

"의학"교육학이지만 사실 사회과학 분야에 가까운 점이 많아 해외 학술지에 내기가 쉽지 않은데, 졸업하려면 반.드.시. 내야 한다는건 함정:'(

 

2. 논문 내용에 대해 조금만 기술해보면, (방법론적으로 부족한 면이 많지만) 그럼에도 흥미로웠던 finding은

 

▷ 다면인적성면접(Multiple mini interview, MMI)을 통해 입학한 학생 군 내에서도 두 개  스테이션(정보분석력,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면접점수와 의예과 성적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는 것.

 

사실 이것까지는 처음 연구시작 시점의 가설에 있었던 것이고, 어느 정도 기대했던 결과인데, 이와 달리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또 다른결과는...

 

▷ 일반적인 면접방식(자기소개서에 기반한 지원 동기 등을 물어보는 면접)을 활용한 스테이션의 점수는 의예과 성적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는 것.

 

다시 말하면, 통상적으로 이뤄지는 면접 방식이 의예과라는 「내적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이 강조되는」 상황에 대한 예측력이 취약하다는 것의 한 가지 근거랄까..?


http://dx.doi.org/10.3946/kjme.2014.26.2.87

스카이캐슬의 인기에 힘입어(?) #요즘애들 이라는 프로그램에 서울의대생들이 나왔다고 해서 찾아봤다. 절반 정도는 의대에서 하고 있는 흥미로운 것 중에 #MMI 와 #땡시 를 MC들이 경험해보는 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전공자 입장에서 봤을 때 MMI를 보여주는 방식이 사뭇 흥미로웠다. 

 

방송을 통해 추측하건대, 아마 이 방송의 작가분들이 MMI에 대해 흥미롭게 느낀 것은 이런 지점인 것 같다. 그리고 작가가 일반인의 관점을 어느 정도 대표한다고 가정하면, 이 방송을 통해 MMI를 접한 일반인은 아마 이 방식의 특징을 이렇게 기억할 것 같다.

• 어떤 상황을 가정하는데, 그게 자꾸 바뀐데~

• 면접관이 쉴새없이 물어본데~ 

• 연기자도 있데~

 

그런데 사실 이것들은 MMI가 평가도구로서 가지는 장점을 "거의" 잡아내지 못하고 있다. 물론 이것은 실제로 방송에서 그러한 장점이 드러나는 방식으로 MMI를 그려내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니까 MMI를 대비하려고 학원을 다녀도 별 도움이 안 된다는 응시자들의 경험담이 나오는 걸지도(....) 여튼 예능은 예능일 뿐 다큐가 아니니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