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ME 3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의학교육, 다소(?) 급진적인 상상

1. CBT시험감독을 하다보면 멍때리는 시간이 많다보니 온갖 상상을 하곤 한다. CBT시험감독이라는게 사실 말이 "시험감독"이지, 딱히 역할이랄게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이미 모든 학생들의 모니터는 중앙에서 모니터링되고 있다. 문항 순서와 보기는 섞여 나와서 인접한 사람과 문항순서와 답도 다르다. 보안필름 때문에 조금만 모니터 정면에서 비켜나면 애당초 아예 화면이 보이지도 않는다. 어찌 보면 이 상황에서 감독관의 존재의미란, 감독관이 존재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마구마구 컨닝페이퍼를 본다거나, 대담하게 옆 사람과 정답을 주고받는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 정도. 그러다보니 실제로는 부정행위를 감시하는 감독관보다는 troubleshooter의 역할이 더 중요한 상황이 더 많다. 문제상황이 발생했을 때 (로그..

교육프로그램의 기여분석(Contribution analysis): 사고의 견고함

1 CBME는 복잡한 개입(complex service intervention)이다. CBME에서는 교육과정의 연속체를 따라서, 모든 요소가 누적적 학습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다같이 작동한다. 프로그램의 성과는 활동의 일차적 결과인 근위-단기 성과와,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여 발생하는 원위-시스템 성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후자는 Kirkpatrick 모델의 네 번째 레벨인 results에 대응되며, 달성하기도, 평가하기도 어렵다. 2 CBME는 복잡한 서비스 개입complex service intervention이다. 복잡성의 주어진 조건에 따라, 그 구성요소가 다양한 조합으로 상호작용하기에, 최종적인 결과도 달라질 수 있다. 육아에 대해 "한 아이를 키우며 얻은 경험이 다른 아이를 잘 키울 것을 보..

역량바탕의학교육 도입의 네 가지 과제

1 CBME는 보건의료 담론에 1970년대 후반에 처음 소개되었으며(McGaghie et al. 1978), 이후 여러 전문직에서 CBME를 탐색해보았지만, 몇 가지 이유로 적절한 관심을 얻지 못했다. 의학교육에는 1990년대 후반에CBME가 다시 도입되었지만, 그 때까지도 교육/훈련의 구조나 과정을 더 중시하였고, 역량을 평가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더 큰 진전은 이루지 못했다. 2 CBME의 몇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사전에 정의된 성과나 역량이 교육과정과 평가를 이끌어간다(drive). 교육기관이나 프로그램이 의도한 성과를 달성하게 만들 능력이 있는지가 중요하다. 수련 과정에서 겪은 의료의 퀄리티가, 수련 이후 커리어의 의료의 퀄리티를 예측하기 때문이다. CPD단계에서도 수행능력의 지속적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