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오스트리아 대학은 'open admission'을 따른다. 즉, 고등학교를 성공적으로 마친 학생은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어떤 대학에든 입학할 수 있다[1]. 이러한 open admission은 오스트리아 의과대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또한 오스트리아 의과대학들은 오스트리아 외 국가에서도 학생을 받아왔는데, 역사적으로 오스트리아의 대학에 입학하려는 다른나라 학생들(EU 국가 포함)은 자신의 국가에서도 동등하게 대학에 입학하였다는 것(admitted to the same course)을 입증하여야 했다. 

 

그러나 유럽법(European law)에 따르면 EU소속국가의 모든 시민들은 오스트리아 대학 지원시 오스트리아 국민과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하고, 2005년 7월 European court는 이같은 오스트리아의 외국 학생에 대한 정책이 위법이라는 판결을 내리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결정은 의과대학에 특히 결정적이었다. 독일은 오스트리아의 인접국이면서, 오스트리아와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데, 독일에서는 30000명의 의과대학 지원자 중 8000명~10000명만 의과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던 것이다. European Court의 판결 이후 세 개의 오스트리아 의과대학이 독일 학생들로 꽉꽉 찰 것이라는 우려가 상당했다[2][3]. 

 

이에 대한 대책으로 오스트리아 법이 즉각적으로 개정되었는데, 대부분의 대학 학과들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방입학(open admission)으로 남겨놓았지만, 일부 학과에 대해서는 입학 시험을 도입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이러한 학과에는 의학(human medicine)과 치의학(dentistry) 학위 프로그램이 포함되었다. 

 

또한 European Commission은 2007년부터 5년간 한시적으로 오스트리아로 하여금 학생의 정원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4], 대부분의 의과대학 정원이 오스트리아 자국민에게 할당되도록 하였다. 전체 정원중 75%는 오스트리아 자국민에게 할당되었으며, 20%는 다른 EU국가, 5%는 그 외 다른 국가에게 분배되었다.

----------------

[1] 그러나 의과대학에 있어서 이러한 '개방입학(open admission)'은 상당히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다. 예컨대, Graz의과대학의 경우 의과대학 신입생은 600~800명으로 매년 다르며, 이 숫자는 교수 뿐만 아니라 시설 측면에서 학교의 수용능력을 넘어서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 환경이 좋지 못하고, 의욕이 꺾인 학생과 교수들은 소규모 학습 따위는 거의 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수업이 대형 강의로 진행된다. Bedside teaching도 거의 없다. 학생들은 의과대학이 6년제 교육과정임에도 평균적으로 50%(3년) 이상을 추가적으로 학교를 다니고 있으며(즉 9년간 의과대학을 다니며), 약 절반의 학생은 졸업하기 전에 탈락(dropped out) 한다.

 

[2] 즉 오스트리아의 규제만 사라진다면, 독일 의과대학에 지원하고 떨어진 학생들은, 누구나, 바로 옆 국가인, 심지어 언어도 같은, 오스트리아 의과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3] 오스트리아에는 4개의 의과대학이 있으며 3개가 국립, 1개가 사립의과대학이다. 국립 의과대학은 The Medical University of Vienna, the Medical University of Innsbruck, the Medical University of Graz 이며 사립 의과대학은 Salzburg에 있는 Paracelsus Medical University이다. 

 

[4] 그래서 2012년에 이러한 규제가 종료되었을텐데, 그 뒤로 어떻게 바뀌었는지는 아직 못 찾고 있음;

 

※ Reference

● Reibnegger, G., Caluba, H. C., Ithaler, D., Manhal, S., Neges, H. M., & Smolle, J. (2011). Dropout rates in medical students at one school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admission tests in

독일에는 약 8만명의 의과대학생이 있고, 36개의 의과대학(medical faculties)가 있다. 매년 1만명의 새로운 학생들의 의학의 길로 들어서며, 약 6000명의 학생이 매년 졸업한다.

 

독일에서 의과대학의 경쟁률은 평균적으로 4~5:1정도이나, 대학마다 차이가 크다. 독일에서 의과대학 지원과 선발은 ZVS라는 중앙 국가 기관에 의해서 운영된다. 

 

입학 기준(criteria)에는 Abitur grade(미국의 GPA에 해당)[1]와 대기시간(waiting time)이 있다. 각 학생은 한 번에 6개까지 의과대학에 1순위부터 6순위까지 지원을 할 수 있는데, 의과대학 정원의 40%까지는 "Boston mechanism"이라 불리는 것에 따라서 특별지원자(special applicant groups)를 우선 배정하게 된다[2]. 

 

그 다음으로 나머지(약 60%)를 각 대학별로 선발하게 되는데, 의과대학에서는 지원자가 제출한 지원동기(letter of motivation)를 가지고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면접을 한다. 

 

독일에서 의과대학 신입생의 평균 연령은 21.4세이며,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1)독일 남성들에게 9개월간의 군복무 의무가 부과되는 것[3]. (2)다른 분야에서의 professional training을 받는 것, (3)waiting time으로 인한 것 등이 그 이유이다. 

 

또한 공식적 규제는 없으나 40세가 의과대학 입학의 상한선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다른 많은 국가와 마찬가지로 의과대학의 여학생은 빠르게 증가하여 이제는 남학생보다 그 수가 많아졌다. 

 

----------------

[1]독일 법에 따르면 Arbitur(고등학교를 성공적으로 마치는 것)을 획득한 학생이라면 누구나, 어떤 학과든, 어떤 공립대학에서든 수학할 자격이 주어진다. 

[2]특별 지원자 : "성적이 좋은 학생(excellent school grades)" 또는 "고등학교 졸업 후 오래 대기한 학생(have had to wait a long time since finishing school)

[3] 양심적 병역거부자(conscientious objectors)는 대체민간봉사(alternative civilian service)한다.

 

※ Reference

●Chenot, J. F. (2009).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Germany. GMS German Medical Science, 7.

●Westkamp, A. (2013). An analysis of the German university admissions system.Economic Theory, 53(3), 561-589.

네덜란드에는 8개의 의과대학이 있으며 매년 7천~8천명이 2850개의 정원을 놓고 경쟁하게 된다.

 

의과대학 총 정원은 의료기대수요(expected need)를 예측하는 국가 기관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부가 결정하며, 이 정원을 8개 의과대학에 약 1/8씩 나누게 되는데 이 때 가용 임상실습 정원(clerkship places)이 고려사항이 된다.

 

네덜란드 의과대학에서는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데 그 중 하나인 중앙 선발(centralised procedure)은 학점(GPA)에 따라 가중치를 둔 추첨 방식이다.

 

2011년까지 네덜란드에서는 최소 50%까지 중앙 선발을 하고, 최대 50%까지 의과대학별(decentralised) 선발을 했으나, 2012년 이후에는, 각 의과대학별 선발이 100%까지 가능해졌으며 (실제로 이뤄지고 있는 것은 0~80%까지 다양함), 나머지는 중앙 선발을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중앙선발, 즉 추첨(lottery)이란 중앙(국가, centralised)에서 학생을 선발하는 것이며, 가중치를 준 추첨 방식이다. 학점에 따라서 다섯 층위로 분류하여 층위별로 그 비율을 달리한다(높을수록 비율 높음, 9 : 6 : 4 : 3, 최고 층위는 우선합격 admitted first choice)

 

Yes / no로 당락이 갈리는 추첨 방식은 사회적으로 높은 지지를 받고 있지는 못하며, 의과대학별(decentralised) 선발방식이 더 지지를 받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의과대학 학생에게 중요한 역량이 무엇인가의 문제이다.

 

Maastricht의과대학은 2011년부터 decentralised 선발방식과 관련한 여러가지 실험을 진행중이며 2014년에는 100% decentralised 선발을 도입할 것이다.

 

http://www.mft-online.de/files/9.40_fr_omft2013_scherpbier.pdf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