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기조절을 학업성취도(공부)에 다음과 같이 적용시켜볼 수 있다.

 

교과서의 한 챕터를 공부할 때, 결과 목표는 챕터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과 같은 활동의 최종 산물이고, 과정 목표는 결과 목표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학습한 내용의 요점을 요약한다"와 같은 과정 목표는 목표 달성 여부와 적응적 변화의 필요성 여부에 대한 신속한 자기평가를 가능하게 하기에 초기 단계에서 특히 중요하다.

 

학습에 효과적인 전략을 사용해야 함에도, 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제한된 전략만을 사용하거나, 비효율적인 전략을 반복적으로 사용한다. 교과서와 강의 노트를 반복해서 읽어도 이해할 수 없었다고 말하는 의대생이 적지 않다. 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성취도가 높은 학생은 지속적으로 자기-모니터링, 자기-평가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전략이 내용 이해에 효과적이었는지에 따라) 전략 선택을 적응적으로 변화시켰다.

 

2

OSCE에 대하여 자기조절 프로세스를 점검할 수 있는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다.

 

OSCE 수행 전의 질문(Questions before taking the OSCE):

• 이 환자에게 적절한 심혈관 검사를 할 수 있다고 얼마나 확신하는가? (자기효능감 신념 평가)

• 심혈관 검사를 시작하기 전에 염두에 두고 있는 목표가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무엇인가? (과정 목표 또는 결과 목표 선택 평가)

• 심혈관 검사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특정 전략 및 기법의 선정 평가)

 

OSCE 수행 중 질문(Questions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OSCE):

• 지금까지 흠잡을 데 없는 과정을 수행했다고 생각하는가, 아니면 실수를 한 적이 있는가? (수행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 평가)

 

OSCE 수행 후 질문(Questions after the OSCE performance):

• 만약 심음 해석을 못하면, 잠시 멈추게 하고 다음과 같이 묻는다.

(a) 심음을 해석할 수 없었던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실패에 대한 귀인 평가)

(b) 다음에 심음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성공적 수행에 필요한 자기 적응적 변화 평가)

 

• 만약 심음을 성공적으로 해석한다면, 다음을 묻는다.

(a) 심음을 성공적으로 해석했는데, 왜 첫 번째 시도에서 성공했다고 생각하나요? (성공에 대한 귀인 평가)

(b) 임상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자기조절 프로세스 자체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을 도와준다.

 

3

자기조절에는 튜터의 역할이 중요하다. 자기조절은 학습자 개인의 생각, 감정,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과정이지만, 이 과정은 다른 사람, 특히 숙련된 튜터가 제공하는 행동과 피드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튜터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 숙련된 전문가의 수행을 관찰할 수 있는 기회 제공한다. 수행과정을 시범보일 때, 핵심적 자기조절 프로세스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를 말로 같이 설명하면 더 좋다.

• 어려운 텍스트를 읽거나 진단적 결정을 내리는 것과 같은 자기조절 프로세스가 필요한 상황에 학습자를 참여시키고, 전략적, 적응적 방식으로 자기조절 프로세스를 사용하도록 학습자를 코치한다.

• 학습자가 새로운 과제를 처음 배울 때, 또는 학업적/임상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 자기조절 프로세스의 사용에 대해 학습자가 더 잘 인식하도록 유도한다. 학습자가 더 자기성찰적이고 자기적응적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과제에 실패했다면, 원인을 불충분한 노력이나 전략의 비효율적인 사용과 연관시켜야 한다.

 

4

자기조절과 관련하여 피드백은 대단히 중요하다. 한 가지 이유는 많은 연구에서 일관되게 의대생과 의사를 비롯하여 사람이 자신의 지식, 기술, 성과에 대한 판단에 부정확함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자신의 기술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수행능력이 낮은 학생에서 인식된 능력과 실제 성취도 사이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다. 게다가, 이런 학생들은 종종 자기 평가를 바르게 했을 때 조차, 교정적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은 스스로 유익한 내부 피드백을 만들어내거나, 교수자에 의한 외부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내부 피드백은 개인이 스스로 생성하는 정보로서, 자기 모니터링 프로세스에서 만들어진다. 구조화된 워크북을 사용하는 것이 한 가지 방법이다. 외부 피드백은 학생의 기술이나 수행에 대해 다른 사람이 언급하는 것으로서, 학습자의 인식과 실제 수행의 차이를 부각시키는 강력한 리얼리티 체크가 될 수 있다.

 

출처:

Sandars, J., & Cleary, T. J. (2011). Self-regulation theory: applications to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58. Medical teacher, 33(11), 875-886.

1

자기조절(self-regulation)이란 무엇인가? 자기조절은 개인적인 목표 달성을 위하여, 계획되고 주기적으로 적응하는, 스스로 만든 생각, 감정, 행동(self-generated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that are planned and cyclically adapted to the attainment of personal goals)’로 정의된 바 있다.

 

행동(활동), 인지(생각), 환경(주변)의 통제에 관한 몇 가지 모델이 있고, 그 중 하나는 반두라의 사회적인식모델social-cognitive models이다. 이에 따르면 사람은 자기 삶의 능동적 참여자active participants로서, 개인적 목적 달성을 위해 [생각, 행동, 환경요인을 조절함으로써] 중요한 사건에 대한 통제권을 추구한다고 본다. 예를 들면, 책이 잘 안 읽힐 때, 보다 조용한 환경을 찾아가거나, 독서의 중요성이나 가치에 관한 동기부여적인 자기 대화에 참여할 수 있다.

 

2

자기조절은 주기적 조절(cyclical regulation)이다.

 

(a) 수행 전 단계(Before (or forethought) phase): 자기조절적 학습자는 과제나 활동의 성격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며, 과제 수행의 목표와 구체적인 계획을 설정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준비'한다. 자기 효능감, 목표 지향성, 과제 흥미 또는 가치(task interest or value) 등의 신념이 동기를 부여한다.

 

(b) 수행 중 단계(During (or performance) phase): 학습 중의 행동과 생각을 통제하는 것이다. 미리 생각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감정, 인지, 행동을 관리한다. 학습에 있어 인지적 통제와 자기 모니터링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학습이 얼마나 성공적이었는지를 능숙하게 관찰하여 알아채고, 여기에 기여한 조건이나 요인을 밝히는 것이 핵심이다.

 

(c) 수행 후 단계(After (or self-reflection) phase): 이 단계에서 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스스로 평가하고, 무엇이 성공 또는 실패struggle 일차적 요인인지 식별한다. 귀인(attribution)이라는 인지적 자기판단이 중요하며, 성찰한 후에, 미래 학습의 목표나 전략을 수정하여 다음 자기조절 사이클을 시작한다.

 

3

수행 전 단계에서는 목적-지향적 행동(Goal-directed behavior)이 중요하다. 목표라는 것은 [자신이 개인적으로 확립한, 학습이나 수행의 기준 또는 구체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크게 과정 목표와 결과 목표가 있다. 결과 목표outcome goals는 시험 성적과 같은 학습의 최종 산출물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과정 목표process goals는 학습을 위해 사용하는 단계, 절차, 전략을 포함한다. 비록 결과 목표가 동기부여에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학생들이 처음 과제나 기술을 배우는 상황이나, 고군분투하는 상황에서는 과정 목표가 더 유용하다. 요컨대, 목표는 동기부여 역할을 하고, 학습 과정에서 목표에 집중하게 하며, 마지막으로 성공을 스스로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4

수행 후 단계에서는 귀인(attribution)이 중요하다. 크게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눌 수 있다. 위치(원인이 있는곳: 내부 또는 외부), 안정성(시간에 따른 원인의 변화), 통제가능성(통제할 수 있는 정도)이다.노력또는 사용 전략과 같이 내부적/불안정/통제가능한 것에 귀인하는 사람이 더 높은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며, 끈기와 전략 사용에 있어 더 적응적adaptive인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학생의 수행능력을 개선하려면 귀인을 전략적으로 하도록 훈련할 필요가 있다.

 

5

자기조절 각 단계의 관련 질문은 다음과 같다.

 

수행 전 단계:

• 과제의 특성은 무엇인가?

• 내 목표는 무엇인가?

• 어떤 종류의 정보와 전략이 필요한가?

• 얼마나 많은 시간과 리소스가 필요한가?

• 나의 동기는 무엇인가?

• 환경을 수정해야 하는가?

 

수행 중 단계:

•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을 확실히 이해하고 있는가?

• 이 작업이 이치에 맞는가(합당한가)?

• 목표에 도달하고 있는가?

• 무언가에 변화를 줘야 하는가?

• 내 생각/감정을 수정해야 하는가?

• 환경을 수정해야 하는가?

 

수행 후 단계:

• 내가 목표에 도달했는가?

• 무엇이 효과가 있었는가?

• 무엇이 작동하지 않았는가?

• 다음 번에는 다른 방식으로 수행해야 할 것인가?

• 나의 동기 부여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가?

 

 

 

출처:

Sandars, J., & Cleary, T. J. (2011). Self-regulation theory: applications to medical education: AMEE Guide No. 58. Medical teacher, 33(11), 875-88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