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근무현장에 전이transfer가 확실하게 되도록 만드는 것이다.

 

1

첫째, 교수개발을 직무 요구사항과 연관짓고, 기관의 요구와 개인의 열망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라(Relate Faculty Development to Job Requirements and Balance Institutional Need and Individual Aspiration): 프로그램 내용이 직무에서의 요구 사항에 맞을 때 전이가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 또한, 기관의 입장을 고려해본다면, 교수개발 프로그램이 기관의 목표를 지원할 때 지원받을resourced 가능성이 더 높다.

 

2

둘째, 교수개발을 실제 맥락과 관련시켜라(Relate Faculty Development to the Context of Practice):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환경]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적용되는 환경]과 유사 할 때 전이가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 팀과 부서 기반의 행동학습action learning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직무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하는 말에 귀를 기울이고, 요구사정을 해보라.

 

3

셋째, 동료와 안전한 환경에서 연습해볼 기회를 제공하라(Provide Opportunities to Practice With Peers in a Safe Environment): 교수개발에서 참가자들이 자신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거나, 지금 발달시켜야 하는 기술의 연습을 편하게 생각할 수 있게 해야한다. 지지하고, 인정해주고, 시행착오를 격려하고, 즐기도록 하라. 시나리오나 역할극, 경험을 통합하여 기술을 시연하고 연습하라.

 

4

넷쩨, 변화에 이르는 길을 확실하게 그리고 실현가능하게 만들라(Make the Path to Change Clear and Feasible): 교수개발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프로그램이 장려하는 변화를 실행하는 것이 어떻게 성과의 개선으로 이어질 것인가]를 분명히 보여줘야 한다. 참가자의 경험으로부터 이야기를 듣고, 롤모델을 사용하여 학습 내용을 적용하고, 성공적으로 변화한 사례를 공유하라.

 

5

다섯째, 전이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예상할 수 있게 도우라(Anticipate Challenges in Transferring Learning to Practice): 어디서 잘 안 될 수 있는지 예상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구현implementation에 필요한 추가적인 스킬을 제공해야 한다.

 

6

여섯째, 배운 것을 적용한 참가자에게 보상을 주라(Reward Participants for Implementing What Has Been Learned): 참가자들이 배운 내용을 적용하면 가치있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현실적 기대를 해야 한다. 다만 무엇을 가치있게 여길지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사용하여 얻은 만족을 높이 평가할수록 가치있다고 느낄 것이다. 외적 존중과 보상도 중요하다. ‘교육 혁신의 날’, ‘혁신적 실천상등을 도입할 수 있다.

 

7

일곱째, 학습 내용 도입에 필요한 참가자의 개인적 능력을 고려하라(Consider Participants’ Personal Capacity to Implement What Is Learned): 너무 부담스러운 기대는 전이를 초래할 가능성을 낮춘다. 교수진 시간, 에너지 및 인지 능력을 고려해야 한다. 기대치를 현실적인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 초기에 가능한 작은 변화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도 좋다.

 

8

여덟째, 목표 설정, 후속 조치, 퍼포먼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라(Provide for Goal Setting, Follow-Up, and Feedback on Performance): 배운 것을 어떻게 적용할지 목표를 설정하게 하고, 피드백 기회를 잡아주는 것도 좋다. 첫 번째 시도 후에 성찰하고 개선 방법을 계획해보아야 한다.

 

9

아홉째, 참가자들에게 배운 것을 근무지에서 적용할 기회를 주라(Give Participants the Opportunity to Apply Learning in the Workplace): 프로젝트와 같은 형식을 갖추거나, 기관의 보조금을 요청할 수도 있다.

 

10

열번째, 맥락이 도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예상하라(Anticipate How the Context Can Influence Implementation): 전이가 이뤄질 환경을 이해해야 한다. 어떤 미충족 요구가 있으며, 부서의 문화는 어떻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실천을 도와줄 동료가 있는지 고려하라. 부서 차원에서 서포트와 멘토링을 조직하고, 슈퍼바이저와 동료의 서포트를 받는 것도 필요하다.

 

11

열한번째, 도입의 책무성을 강화하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라(Design the Program to Enhance Accountability for Implementation): 부서나 교육기관에서 성과를 평가할 때 교육 혁신을 인정해주어야 하며, 원하는 성과가 달성되지 않더라도, 의미 있는 결과를 얻게끔 해야 한다.

 

 

출처:

Cilliers, F. J., & Tekian, A. (2016). Effective faculty development in an institutional context: designing for transfer. Journal of graduate medical education, 8(2), 145-149.

1

"Doctor"라는 말의 어원은 '가르친다to teach'이다. 그러나, 비록 대부분의 의사들이 그들이 가르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전문가일지 몰라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거의 훈련받은 바가 없다. Jason and Westberg'교수에게 가장 특징적인 단 하나의 과업task은 바로 교육teaching이다. 모든 다른 과업은 다른 세팅에서 추구할 수 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교수의 가장 중추적인 책무는 그들이 가장 덜 준비되어있는 부분이다.’라고 말했다.

 

2

의학교육 논문은 종종 '교수자teacher'혹은 '의학교육자medical educator'라는 단어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하며, 명확하게 정의내리지 않는다. 이 용어는 다양한 개념을 포함한다.

 

의학교육자란 비판적으로 자신의 교육경험을 성찰하고 그들이 하는 것을 혁신 및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사람이다.

The medical educator is someone who critically reflects on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and tries to innovate and improve on what they have done.

 

의학교육자는 단순한 흥미 수준이 아니라 열정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열정은 학생이나 학습자가 최고의 의사가 되게끔 발전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의학교육자들을 위한 최선의 교육을 또는 최선의 교육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Medical educators have a passion, not just an interest, but a passion for bringing out the best, or fi nding ways to bring out the best, in students and learners that they work with to help develop the best physicians that we can …

 

의학교육자는 이론과 원칙을 행동에 적용하는 사람이다. 이는 교육/학자/교육과정설계/평가/연구 등을 포함한다.

A medical educator is someone who uses theories and principles of education in their activities. This includes teaching, scholarship, curricular design and evaluation, and research across the educational continuum …

 

의학교육자는 교실에서든, 임상현장에서든, 자신의 경험과 가능한 근거를 자신의 교육행위에 적용하고, 미래 보건의료전문직의 교수-학습의 향상을 위하여 자신이 하는 일을 능동적으로 성찰하는 사람이다.

 

3

교수개발은 '교수의 다양한 역할을 갱신 및 지원renew or assist하기 위하여 기관이 활용하는 광범위한 활동'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교수개발은 조직변화 촉진을 위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즉 합의를 도출하고, 지지와 열정을 이끌어내며, 변화의 동력을 도입할 수 있다.

 

4

교수개발 커리큘럼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야 하는가? 효과적인 임상교육자의 특징과 행동, 핵심적인 교육 스킬, 성공적인 교수자의 필수 스킬, 교수의 역할 등을 참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핵심 교육 스킬은 이런 것이다.

• 긍정적 학습환경 조성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 명확한 목표와 기대 설정   the setting of clear objectives and expectations

• 적절한 시간에 적합한 정보 제공   the provision of timely and relevant information

• 질문과 다른 교수법의 효과적 활용   the effective use of questioning and other instructional methods

• 적절한 롤모델링   appropriate role modelling

• 건설적 피드백 제공   the provision of constructive feedback and objective-based evaluations. (24)

 

5

교수개발 커리큘럼에 Scholarship의 네 가지 영역을 참고할 수도 있다.

• 발견Discovery: 저널에 출판하고 연구비를 얻는 것. 전통적 의미에서의 연구와 같음

• 통합Integration: 학문간 연결을 만드는 것, 자료를 revealing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

• 적용Application: 한 분야의 지식을 봉사service에 사용하는 것. 이론을 실천에 적용하는 것. 의학교육에서는 펠로우십 프로그램 개발, -기반 교육 자료 등이 통합과 적용의 사례이다.

• 교육Teaching: 효과적으로 지식/스킬/신념을 의사소통하는 것. 더 나아가서 '교육'은 그것이 공공화되고, 동료의 review와 비판이 가능해지면 'scholarship'이 된다.

 

 

6

교수개발의 공식적 접근에는 워크숍, 세미나, 단기 코스, 펠로우십(장기 코스), 학위 과정, 동료 코칭 등이 있다.

비공식적 접근에는 근무지 기반 학습(learning for work, learning at work and learning from work), 실천공동체( persistent, sustaining, social network of individuals who share and develop an overlapping knowledge base, set of beliefs, values, history and experiences focused on a common practice and/or mutual enterprise ’), 멘토십과 롤모델링, 조직 차원의 서포트(운영지원, 정보제공, 교육적 수월성 인정, 승진과 업적에 반영, 자원의 추가 배정, 정책 도입) 등이 있다.

 

 

 

출처:

Steinert, Y. (2018). Developing medical educators: A journey, not a destination. Understanding Medical Education: Evidence, Theory, and Practice, 531-54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