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적처리로 한참 정신없이 지내던 작년 2020년 12월 21일, ASK2019의 template격인 WFME의 2015년 기본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이하 2015 기준)의 업데이트 버전(이하 2020 기준¹)이 나온 것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2. 훑어봤을 때 눈에 띄는 달라진 점은 다음과 같다.
▣ 변화1. 분량
전체적으로 분량이 크게 줄었다. 그림의 예시로 보여준 1영역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도 30쪽 정도이던 분량이 20쪽 정도로 줄었다. 위 그림에서 보듯 글씨의 밀도를 고려하면 실제 줄어든 분량은 그 이상일 것이다.
▣ 변화2. 영역
영역 자체가 달라졌다². 기존의 9개 영역으로 구분되었던 것이 8개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많은 학교를 가장 괴롭히던(!!) ‘7영역’의 타이틀이 ‘프로그램 평가(program evaluation)’에서‘Quality assurance’로 바뀐 것이다. 제목만 바뀐 것이 아니라, 영역에 담긴 내용도 상당히 달라졌다.
▣ 변화3. 지향점
구체적이고 정량적인 요건의 충족보다는 여건과 상황에 맞는 각 대학의 재량권을 좀 더 인정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2020 기준의 서문에서 WFME는 ‘규범적, 절차-중심 요건을 원칙-중심 접근으로 수정하기로 결정하였다’라고 쓰고 있다³.
▣ 변화4. 기준
지향점이 달라진 결과, 기본기준과 우수기준의 구분이 사라졌다. 또한 기준을 서술함에 있어서 must(기본기준)나 should(우수기준)같은 조동사 대신 현재시제(the school has, the policy is…)를 사용하였다. 시제와 조동사 활용 여부에 따른 미묘한 차이가 느껴진다.
▣ 변화5. 가이드, 핵심질문
‘가이드‘와 ‘핵심질문‘ 이 새로 생겼다. 위의 변화3과 연관되어서 ‘무엇을 해야 합니다‘가 아니라 ‘이런 방향으로(guidance)’, ‘이런 질문을 고민해보십시오(key question)‘의 접근인 것이다. ‘무엇을 해야 한다’는 표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나, Guidance는 해당 기준에 대한 보완설명에 가까운 경우가 많고, ‘consider’ ‘may’ ‘might’ 등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Key Question은 의문문으로 제시되어 있다.
3. 이제 관심을 두어야 할 부분은 다음과 같다.
◈포인트1. 우리나라 도입 시기
과연 의학교육평가원(KIMEE)은 언제 이 기준을 도입할 것인가? ASK2019라는 새 평가인증 기준은 2018년에 처음 시범시행되었고, 2019, 2020년까지 딱 3년 되었다. 아직 이 기준으로 평가받지 않은 학교도 많다. 물론 WFME에서도 ‘새 WFME 기준이 나왔다고 각 국가에서 사용하던 기존 기준을 바꿔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고는 말한다⁴. 하지만, 과연?
◈포인트2. 국문화
만약 이 기준이 새롭게 도입된다면, 과연 원래의 취지가 그대로 반영될 수 있는 ‘국문(한국어)’기준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인가?
◈포인트3. 개별 대학의 대응
각 대학에서는 2020 기준에는 없지만, 2015 기준에는 포함된, 그래서 ASK2019에도 포함된 기준에 대해서 어떤 입장을 취하는 것이 현명할 것인가? 대표적으로 위에서도 잠깐 언급한 ASK2019의 7영역에는 “K.7.3.1 의과대학은 학생과 졸업생 코호트에서 사명, 의도한 교육성과, 교육과정, 투입한 자원에 관련된 수행능력을 분석하고 있다.”와 같은 기준이 있다. 참고로 2020기준에는 ‘cohort’라는 단어 자체가 등장하지 않는다.
◎ Footnote
2 영역(2015, 2020)
▶ 2015기준의 9개 영역: 1. Mission and outcomes; 2. Educational programme; 3. Assessment of students; 4. Students; 5. Academic staff/faculty; 6. Educational resources; 7. Programmeevaluation; 8. Governance and administration; 9. Continuous renewal
▶ 2020기준의 8개 영역: 1. Mission and values; 2. Curriculum; 3. Assessment; 4. Students; 5. Academic staff; 6. Educational resources; 7. Quality assurance; 8. Governance and administration
3 원문
“away from prescriptive, process-based requirements towards a principles-based approach”
4 원문
“The appearance of this new and revised version does not imply that existing national or local standards should be changed”
'분야의 동향을 파악합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면허시험(의사국시) 변화의 트렌드 (0) | 2022.02.09 |
---|---|
의과대학생을 위한 행동 가이드라인(한국 의대생 자율규제 지침) 연구보고서 발간 (0) | 2022.01.26 |
3년제 의과대학 (0) | 2022.01.21 |
Education Review Board: 의학교육에서의 COI를 방지하는 메커니즘 (0) | 2022.01.18 |
USMLE Step 2 CS 중단의 배경과 그 이후 (0) | 2022.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