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ddlie, C., & Tashakkori, A. (2012). Common “core” characteristics of mixed methods research: A review of critical issues and call for greater convergenc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56(6), 774-788.
두 번째 판 Handbook of Mixed Methods in Social and Behavioral Research를 편집하면서
우리는 Handbook of Mixed Methods in Social and Behavioral Research (Tashakkori & Teddlie, 2010b) 두 번째 판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이 분야의 많은 주제들—개념적 지향점과 연구 설계와 같은 기본적인 것들을 포함하여—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는 점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아마도 이는 공식적으로 존재한 지 10~15년밖에 되지 않은 분야에서는 예상할 수 있는 일이겠지만, 특히 다양한 의견이 항상 특징이 되어온 분야에서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While editing the second edition of the Handbook of Mixed Methods in Social and Behavioral Research (Tashakkori & Teddlie, 2010b), we were struck by the diversity of opinions regarding many topics in the field, including basic ones such as conceptual orientations and research designs. Perhaps this is to be expected in a field that has formally existed for only 10 to 15 years, especially one that has always been characterized by diverse opinions.
혼합 연구의 방법론적 원칙을 정립하는 목표
이 Handbook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혼합 연구(mixed research)에 대한 방법론적 원칙을 정립하기 시작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연구 설계, 분석, 표본 추출 등과 같은 광범위한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논의를 제공하도록 저자들에게 의뢰하였다. Handbook의 31개 장을 읽으며, 우리는 혼합 방법 연구(Mixed Methods Research, MMR)의 아홉 가지 공통된 "핵심" 특성을 도출했으며, 이들 중 일부는 특정한 방법론적 원칙에 대한 합의를 넘어서는 것이었다. (이 특성들의 목록은 표 1을 참조하라.) 우리는 이러한 MMR 특성들을 Handbook과 다른 저작물(Teddlie & Tashakkori, 2010, 2011)에서 논의한 바 있다.
A major goal for the Handbook was to begin to delineate methodological principles for mixed research, and to that end we commissioned authors to provide syntheses of broad areas such as design, analysis, sampling, and so forth. While reading through the 31 chapters in the Handbook, we delineated nine common “core” characteristics of mixed methods research (MMR), several of which went beyond agreement on specific methodological principles. (See Table 1 for the list of characteristics.) We have discussed these MMR characteristics in the Handbook and elsewhere (e.g., Teddlie & Tashakkori, 2010, 2011).
혼합 방법 연구의 핵심 특성과 주요 논점
다음에서는 이러한 특성 중 네 가지를 상세히 설명하여, 혼합 방법 연구에 대한 우리의 최신 관점을 보여주고, 각각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들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이 네 가지 특성은 현재까지 정립된 혼합 방법 연구의 본질적인 "핵심"을 대표한다. 흥미롭게도, MMR 커뮤니티 내에서는 이 시점에서 이러한 특성을 정립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Leech(2010)는 MMR의 "초기 개척자들"을 인터뷰한 결과, 일부는 이 분야가 보다 체계적이고 조직화될 준비가 되었다고 믿는 반면, 일부는 그렇지 않다고 보고했다. 또한, 일부는 이 분야의 기본적인 측면(예: 혼합 설계를 설명하는 용어)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지금 이러한 특성이나 원칙을 구체화하는 것이 지나치게 빠른 수렴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The following elaborates four of these characteristics to show our latest thinking about mixed methods research and includes a detailed discussion of critical issues related to each. This set of four characteristics represents the essential “inner” core of mixed methods that have been delineated at this time. Interestingly, there is controversy within the MMR community about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construct such a set of characteristics at this stage in the field’s development. For instance, Leech (2010) conducted interviews with “early developers” of MMR and reported that some believe that the field is ready to become more organized and systematic, whereas others do not. Some believe that we need to come to consensus covering basic aspects of the field (e.g., the language that describes mixed designs). Others are concerned that we will be moving to convergence too quickly if we articulate such characteristics or principles now.**
혼합 방법 연구에서 지나치게 빠른 수렴을 우려하는 견해
혼합 방법 연구(MMR)의 발전이 너무 빠르게 진행되는 것에 우려를 표하는 이들은, 이러한 시도가 최선의 경우 조기 단계에서 획일성을 강요하려는 것으로 보이며(예: Mertens, 2010), 최악의 경우 다양한 관점을 억압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본다. 예를 들어, Freshwater(2007) 및 다른 연구자들은 MMR이 사회적 탐구를 위한 어떤 "고정된" 통일성이나 합의로 향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접근법의 고려를 배제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Leech(2010)는 Jennifer Greene의 다음과 같은 의견을 인용하면서 유사한 우려를 제기한다.
우리는 어떤 형태로든 수렴(convergence)하고 있으며, 차이를 정리(settling of difference)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는 점점 더 방법론의 기술적 수준을 강조하는 방식이 될 것입니다. 즉, 방법론이 단계별 절차(step one, step two, step three)로 단순화될 것입니다. 결국 혼합 방법 연구의 놀라운 가능성은 절차와 기법으로 축소될 것입니다. (p. 261)
Those who are concerned about moving too quickly see this as a premature attempt to impose uniformity (e.g., see Mertens, 2010), at best, or the silencing of diverse perspectives, at worst. For example, Freshwater (2007) and others have expressed concern that MMR is headed toward some “fixed” unity or consensus for social inquiry that will preclude the consideration of multiple approaches. Leech (2010) quotes a similar sentiment from Jennifer Greene:
We are moving towards some kind of convergence. Some kind of settling of difference . . . and will emphasize a technical level of methodology. It will be about technique—step one, step two, step three—it will be that kind of technique. It will be reduced . . . the wonder that is possible in mixed methods will be reduced to procedures and techniques. (p. 261)
혼합 방법 연구의 다원적 특성에 대한 낙관적 전망
우리는 이러한 우려를 지적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MMR이 다양한 관점을 억압하는 단일한 통합적 접근법(monolithic unified approach)이 될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 우리가 이 점에서 낙관적인 이유는 표 1에서 요약된 MMR의 공통적 특성들 때문이다. 이는 방법론적 절충주의(methodological eclecticism), 패러다임 다원주의(paradigm pluralism), 연구 전반에서 다양성을 강조하는 접근법, 그리고 명확한 이분법적 구분이 아닌 연속체(continua) 개념을 중시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We can understand this concern intellectually, but we do not see MMR becoming a monolithic unified approach that stifles diverse viewpoints. Our optimism on this point is based on some of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MMR summarized in Table 1: methodological eclecticism, paradigm pluralism, an emphasis on diversity at all levels of the research enterprise, and an emphasis on continua rather than a set of dichotomies.
혼합 방법 연구의 발전 방향
결론적으로, 우리는 혼합 방법 연구 공동체를 하나로 묶어 줄 개념적 및 방법론적 핵심 아이디어 세트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동시에, 이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이론적, 방법론적, 실천적 영역에서 새로운 아이디어에 개방적이어야 한다. 우리는 이 두 가지 목표가 상호 배타적이라고 보지 않는다. 아마도 혼합 방법 연구 공동체 내부의 다양한 긴장 관계가 시간이 지나면서 완화된다면, 우리는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Tashakkori & Teddlie, 2010a).
To summarize, we believe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core set of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deas that could bring the mixed methods community together. On the other hand, if that community is to thrive, it must stay open to new ideas in the theoretical, methodological, and applied domains. We do not see these two objectives as mutually exclusive. Perhaps, as various tensions within the mixed methods community lessen over time, we will be able to accomplish both (Tashakkori & Teddlie, 2010a).
혼합 방법 연구에 대한 질적 연구 공동체의 초기 반응
이 논문에서 논의하는 문제들은 혼합 방법 연구 공동체 내부뿐만 아니라, 질적 연구(QUAL) 공동체와 같은 외부에서도 제기되었다. 초기에는 QUAL 공동체에서 MMR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이 많았는데, 이는 혼합 연구가 질적 방법을 양적 방법(QUAN)의 보조적 역할로 종속시킬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었다(예: Denzin & Lincoln, 2005; Howe, 2004). 그러나 최근의 대화는 훨씬 더 건설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예: Denzin, 2008).
The issues discussed in this article have come both internally from the MMR community and externally from other sources, such as the qualitative (QUAL) research community. Initial responses from the QUAL community to MMR were negative due largely to the concern that mixed research would subordinate QUAL methods to a secondary role behind quantitative (QUAN) methods (e.g., Denzin & Lincoln, 2005; Howe, 2004). Recent dialog has been much more constructive (e.g., Denzin, 2008).
논의의 초점: 네 가지 핵심 특성
이 논문에서는 표 1에 나열된 아홉 가지 "핵심 특성" 중 네 가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공간의 제약 때문이기도 하지만, 마지막 다섯 가지 특성이 상대적으로 덜 논쟁적인 주제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four of the nine “core characteristics” listed in Table 1 due to space constraints and the fact that the last five are less controversial.
방법론적 절충주의(Methodological Eclecticism)
방법론적 절충주의(methodological eclecticism)란, 혼합 방법 연구(MMR) 실무자들이 특정 현상을 철저히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질적(QUAL), 양적(QUAN), 그리고 혼합 전략들 중에서 가장 적절한 기법을 선택하고 창의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Teddlie & Tashakkori, 2010, 2011). 방법론적 절충주의는 질적 및 양적 연구의 "도구 상자(toolbox)" 전체를 아우르는 기법들을 활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론적 절충주의를 채택한 연구자는 연구 방법론의 감식가(connoisseur)로서,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진화할 수 있는 연구 질문에 가장 적절한 기법을 지식적으로, 그리고 때로는 직관적으로 선택한다.
The term methodological eclecticism means MMR practitioners select and creatively integrate the most appropriate techniques from a wide variety of QUAL, QUAN, and mixed strategies in order to thoroughly investigate the phenomena of interest (Teddlie & Tashakkori, 2010, 2011). Methodological eclecticism involves using techniques that encompass the entire QUAL and QUAN “toolboxes.” A researcher employing methodological eclecticism is a connoisseur of methods who knowledgeably, and often intuitively, selects the best techniques available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that may evolve as a study unfolds.
방법론적 비호환성 논제의 거부
방법론적 절충주의는 "방법론적 비호환성 논제(the incompatibility of methods thesis)"를 거부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 논제는 양적 및 질적 방법이 서로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예: 인식론적 차이), 두 방법을 혼합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주장이다. 방법론적 비호환성 논제를 거부하고, 그 대신 방법론적 호환성 논제(compatibility thesis)를 대체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혼합 방법 연구 지지자들과 "비호환론자(incompatibilists)"(예: Gage, 1989; Howe, 1988) 간의 주요한 차이점 중 하나이다.
Methodological eclecticism stems from rejection of the incompatibility of methods thesis, which stated that it is inappropriate to mix QUAN and QUAL methods due to fundamental differences (e.g., epistemological) between the paradigms supposedly underlying those methods. The rejection of the incompatibility of methods thesis (and substitution of the compatibility thesis) is a major point of demarcation between MMR advocates as opposed to “incompatibilists” (e.g., Gage, 1989; Howe, 1988).
방법론적 절충주의와 관련된 주요 논점
혼합 방법 연구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질적 및 양적 방법을 연구에 통합하는 것에 대한 큰 이견은 없지만, 이 핵심 특성과 관련하여 최소한 세 가지 중요한 논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 논점은 비판가들이 연구자가 두 가지 연구 접근법을 모두 적절하게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Denzin(2008, p. 322)은 방법론적 이중 언어 능력(methodological bilingualism)이 "피상적이며, 심지어 실행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였다. 특히 질적 연구를 중시하는 비판가들은 연구자들이 민족지학(ethnographic tradition) 훈련을 제대로 받지 못할 것이며, 민족지 연구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그들은 많은 혼합 방법 연구 프로젝트가 결국 "경량화된 질적 연구(QUAL-light research)"로 귀결될 것이라고 본다.
Although there is little disagreement among MMR advocates about integrating QUAL and QUAN methods in their research, there are at least three issues related to this core characteristic. The first concerns the skepticism that critics have about researchers developing the skill sets necessary to perform both types of research adequately. For example, Denzin (2008, p. 322) expressed the concern that methodological bilingualism is “superficial, perhaps even unworkable.” QUAL-oriented critics see this a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they are concerned that researchers will not be trained properly in the ethnographic tradition, nor will they appreciate the resources required to conduct ethnographies. They believe that many MMR projects will result in “QUAL-light” research.
방법론적 감식가로 성장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
우리는 연구자가 방법론의 감식가(connoisseur of methods)가 되는 여정을 시작하려면, 통합된 교과 과정과(특히) 광범위한 현장 경험의 결합이 필수적이라고 믿는다. 혼합 방법 연구 교육(pedagogy)에 대한 논의는 본 논문의 범위를 벗어나지만, 이와 관련한 활발한 연구 문헌이 발전하고 있다(예: Earley, 2007). 이 문헌에는 혼합 방법 연구(MMR) 과정이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포함되어 있다(Christ, 2010).
We believe that a combination of integrated coursework and (particularly) extensive field experiences is necessary to begin the journey toward becoming a connoisseur of methods. Whereas issues of mixed methods pedagogy are beyond the scope of this article, there is an active literature developing in this area (e.g., Earley, 2007) that includes details on how MMR courses can evolve over time to accommodate student needs (Christ, 2010).
혼합 방법 연구자의 역량 개발
우리는 혼합 방법 연구자가 연구 질문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연구 방법과 접근법의 전체 스펙트럼에 대한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광범위한 역량을 젊은 연구자들에게 교육하려면, 그들 역시 방법론적으로 이중 언어 능력(methodologically bilingual)을 갖추고, 혁신적인 방법 조합을 모색하는 데 적극적인 멘토로부터 지도받아야 한다. 단독 연구자가 방법론적으로 이중 언어 능력을 갖추고 연구를 수행한 박사 논문(Schulenburg, 2007), 프로그램 평가, 출판된 연구 결과 등 수많은 사례가 존재한다.
We believe that mixed methods researchers must be competent in the full spectrum of research methods and approaches to select the best paths for answering their research questions. We can educate our young scholars for such a broad competency only if they are mentored by scholars who are themselves methodologically bilingual and willing to search for innovative combinations of methods. There are numerous examples of dissertations (e.g., Schulenburg, 2007), program evaluations, and published work by single investigators demonstrating that solo investigators can conduct methodologically bilingual research.
팀 기반 접근법과 방법론적 소통
Shulha와 Wilson(2003)은 혼합 연구에서 각 연구자가 두 가지 방법론 모두에서 최소한의 역량을 갖추고, 그중 하나에 전문성을 지닌 팀 기반 접근법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Bliss(2008)는 이 주장을 더욱 확장하여, 혼합 방법 연구(MMR)는 본질적으로 팀 내에서만 가능하다고 제안한다. 연구팀의 구성원들이 양적 및 질적 연구 모두에 대한 기본적인 숙련도를 갖춘다면, 개념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통해 “공통 언어(common language)”를 형성하여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사회 및 행동 과학 전반에서 성공적으로 수행된 많은 혼합 방법 연구 프로젝트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예: Lieber & Weisner, 2010; Sammons, 2010).
Shulha and Wilson (2003) presented an argument for a team approach in which each researcher in a mixed study has a minimum competency level in both methods, plus expertise in one. Bliss (2008) expands this argument further by suggesting that MMR is only possible in teams. Competency and familiarity with both types of research allow team members to communicate effectively because they have a “common” language with a workable number of conceptual similarities. Once again, there are numerous examples of successful MMR team projects conducted throughout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e.g., Lieber & Weisner, 2010; Sammons, 2010).
공동 연구를 통한 역량 향상
연구자들은 자신과 다른 방법론적 관점을 가진 연구자들이 문제 해결 기술을 적용하는 과정을 협업 프로젝트에서 직접 경험함으로써 점점 더 역량을 갖추게 된다. 예를 들어, Jang, McDougall, Pollon, Herbert, Russell(2008)의 학교 환경의 도전 과제(schools in challenging circumstances) 연구에서는 연구에 참여한 대학원생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혼합 방법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연구 방법론이 "사람 대 숫자(people versus numbers)"의 패러다임 간 논쟁이라는 관점에서 벗어났다. 또한, "이것 아니면 저것(either/or)"의 대립이 사실은 매우 설득력 있게 "그리고(and)"로 변증법적으로 해결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p. 243)
이 대학원생은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접근했지만, 질적 데이터의 "풍부한(rich)" 의미를 깊이 이해하면서, 통계 분석 및 그래픽 표현 방식에 대한 이해를 더욱 발전시키고자 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데이터 시각화 역시 "생명력이 넘친다(full of life)"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이 연구자는 점차 방법론적 감식가(methodological connoisseur)로 성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Researchers become more competent as they work collaboratively on projects where they see others applying problem-solving skills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ir own. For instance, the Jang, McDougall, Pollon, Herbert, and Russell (2008) study of “schools in challenging circumstances” quoted one of the graduate students involved in the study as follows:
My participation in a mixed methods project expanded my horizons from research methodology as a debate between paradigms that dealt with “people versus numbers” and from an understanding that abstract debates between “either/or” actually, and quite compellingly, dialectically resolve into an “and.” (p. 243)
이 대학원생은 질적 데이터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통계 분석과 시각적 표현 방식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그 결과 이를 "생명력이 넘치는(full of life)" 도구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연구자가 방법론적 감식가로 성장하는 초기 단계에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This qualitatively oriented graduate researcher commented that her “rich” understanding of the QUAL data led her to seek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atistical analyses and graphic displays, which she discovered to be “full of life.” This novice researcher is in the beginning stages of becoming a methodological connoisseur.
두 번째 비판: 혼합 방법 연구에서의 단조로운 방법 조합
방법론적 절충주의(methodological eclecticism)에 대한 두 번째 비판은, 현대의 많은 혼합 방법 연구(MMR)가 양적 설문(QUAN questionnaire)과 질적 인터뷰(QUAL interview) 기법의 통합과 같이 비교적 상상력이 부족한 방법 조합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미래의 혼합 방법 연구는 보다 창의적인 전통적 및 신흥 방법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여, 복잡하고 상호 연관된 연구 질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답할 수 있어야 한다.
The second criticism related to methodological eclecticism is that much contemporary MMR involves relatively unimaginative combinations of QUAL and QUAN methods, such as the integration of QUAN questionnaire and QUAL interview techniques. MMR in the future needs to feature more imaginative blends of traditional and emergent methods to reach its true potential in terms of answering complex, interrelated research questions.
단순한 방법 조합의 의의와 향후 발전 방향
혼합 방법 연구 초창기에는 이러한 기본적인 방법의 조합이 필수적이었다. 당시에는 양적 및 질적 방법을 통합하는 것이 여전히 매우 논쟁적인 사안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자들이 단순한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이유는 학생들이 받은 교육과도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민족지학 연구(ethnographic methods)나 복잡한 통계 분석을 엄격하게 가르치는 교수들은 대부분 순수한 질적 또는 양적 방법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혼합 방법 연구를 가르치는 1세대 교수들은 앞으로 보다 다양한 연구 도구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2세대 연구자들을 배출할 것이며, MMR이 더욱 널리 보급되고 다양한 방법론이 개발됨에 따라 연구 도구의 폭도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Reliance on combinations of basic methods was necessary in the early stages of MMR when their integration was still highly controversial. Part of the reliance on simple methods was also due to the training the students received, since professors teaching rigorous ethnographic methods or complex statistical applications were more likely to emphasize purely QUAL or QUAN applications. The first generation of professors teaching mixed methods will hopefully spawn a second generation that is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and adapt a wider variety of research tools as MMR becomes more popular and as new techniques are developed across the methodological spectrum.
미래의 혼합 방법 연구: 점점 더 창의적인 조합
혼합 방법 연구자는 Rossman과 Wilson(1994)이 주장했듯이, "주저 없이 절충적(shamelessly eclectic)"이어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 이 분야는 점점 더 흥미로운 방법 조합을 특징으로 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과 질적 소프트웨어(qualitative software)의 조합(Fielding & Cisneros-Puebla, 2009)과 같은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 여러 연구자들은 질적 및 양적 연구 접근법에서 더 발전된 기법을 통합하는 MMR을 설명하며(Teddlie & Tashakkori, 2009), 독창적으로 혼합된 방법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키고 있다(예: Bazeley, 2010; Song, Sandelowski, & Happ, 2010).
Mixed methods researchers should be “shamelessly eclectic” (Rossman & Wilson, 1994), and the future of the field should feature increasingly interesting mixtures of methods (e.g., mix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and qualitative software; Fielding & Cisneros-Puebla, 2009). Several authors have recently described MMR that integrates more advanced techniques from the QUAL and QUAN approaches, inherently mixed techniques (Teddlie & Tashakkori, 2009), and other methods that are uniquely mixed (e.g., Bazeley, 2010; Song, Sandelowski, & Happ, 2010).
세 번째 논점: 방법론적 비호환성 논제의 지속적인 영향
방법론적 절충주의와 관련된 세 번째 논점은 방법론적 비호환성 논제(incompatibility thesis)의 지지자들과 관련이 있다. 이 논제는 25년 전보다 덜 지지를 받고 있지만, 여전히 일부 연구자들 사이에서 논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Yanchar와 Williams(2006)는 비호환성 논제의 "완화된(softer)" 버전을 제안하며, 사회 연구에서 방법을 사용할 때 특정 지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혼합 방법 연구의 지지자들이 "방법 사용 및 실용적인 연구 결과 추구와 관련된 불가피한 가정과 가치(inescapable assumptions and values)"를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는다고 비판하였다(Yanchar & Williams, 2006, p. 3, 강조 추가).
A third issue related to methodological eclecticism concerns supporters of the incompatibility thesis, although their position is clearly less popular than it was 25 years ago. For example, Yanchar and Williams (2006) proposed a softer version of the incompatibility thesis that included specific guidelines for using methods in social inquiry. They proposed these guidelines because “advocates of methodological eclecticism . . . fail to take seriously the inescapable assumptions and values that accompany the use of a method and the pursuit of practically useful results” (Yanchar & Williams, 2006, p. 3, italics added).
혼합 방법 연구와 철학적 논의의 필요성
혼합 방법 연구의 지지자들은 앞으로도 방법론적 비호환성 논제의 지지자들과, 그리고 패러다임 논쟁의 잔재들과 계속해서 철학적 논의를 진행해야 한다. 이러한 논의는 본 논문의 다음 섹션에서 더욱 심층적으로 다룰 것이다.
Mixed methods proponents must continue to engage in philosophical discussions with advocates of the incompatibility thesis and other vestiges of the paradigm debates, a point expanded upon in the next section of this article.
패러다임 다원주의(Paradigm Pluralism)
혼합 방법 연구(MMR)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패러다임 다원주의(paradigm pluralism)**이며, 이는 혼합 방법 사용의 철학적 기반이 될 수 있는 다양한 패러다임을 인정하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특정 방법과 특정 패러다임을 일대일로 연결하는 전통적 사고방식을 거부하는 데 기초한다(예: 구성주의와 질적 연구(QUAL)의 연계). 또한, 특정 패러다임의 가정을 연구 방법과 직접 연결하는 관점(예: 특정 인식론적(epistemological) 가정이 특정 연구 방법과 반드시 연결된다는 믿음)도 거부한다. 혼합 방법 연구의 지지자들은 패러다임이 "서로 대립적인 구성 요소(oppositional component)"를 가진다는 전통적 관점(예: 주관성 대 객관성)이 타당하지 않으며, 이러한 이분법 외에도 다양한 대안이 존재함을 이해한다.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MMR is paradigm pluralism, or the belief that a variety of paradigms may serve as the underlying philosophy for the use of mixed methods. This characteristic is based on the rejection of the one-to-one linkage of methods with paradigms (e.g., constructivism with QUAL methods) or the assumptions of those paradigms (e.g., the linkage of epistemological assumptions with specific methods). Proponents of mixed methods understand that the “oppositional component” of paradigms (e.g., either subjectivity or objectivity) is invalid, because there are other alternatives.
혼합 방법 연구와 다양한 철학적 접근
현대의 혼합 방법 연구는 **"큰 텐트(big tent)"**로 비유될 수 있다. 즉, 혼합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들은 다양한 철학적 지향점을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여기에는 실용주의(pragmatism), 비판적 실재론(critical realism, Maxwell & Mittapalli, 2010), 변증법적 입장(dialectical stance, Greene, 2007), 변혁적 패러다임(transformative paradigm, Mertens, Bledsoe, Sullivan, & Wilson, 2010) 등이 포함된다. 우리는 현재 시점에서 특정 개념적 틀을 따른다는 이유로 연구자를 혼합 방법 연구 공동체에서 배제하는 것은 불필요하며,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Contemporary MMR is a kind of “big tent” in that researchers who currently use mixed methods come from a variety of philosophical orientations, including pragmatism, critical realism (Maxwell & Mittapalli, 2010), the dialectical stance (Greene, 2007), the transformative paradigm (Mertens, Bledsoe, Sullivan, & Wilson, 2010), and so forth. We believe that it is both unwise, and unnecessary, at this time to exclude individuals from the MMR community because they subscribe to different conceptual frameworks.
연구자가 선호하는 패러다임과 혼합 접근
혼합 방법 연구에서 다양한 패러다임이 활용되긴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특정한 철학적 전제를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즉, 연구자의 "개인적 역사(personal history)"(Denzin, 2008, p. 322)에 가장 적합한 **"선호하는 패러다임(preferred paradigm)"**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한 연구 내에서 여러 개의 개념적 틀이나 패러다임을 동시에 사용하는 접근법은 위에서 언급한 철학적 입장 중 하나인 **변증법적 입장(dialectical stance)**에서만 적극적으로 지지된다. 이 접근법에서는 동일한 연구 내에서 여러 개의 가정적 프레임워크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예: Greene, 2007; Greene & Hall, 2010).
Whereas multiple paradigms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use of mixed methods, most MMR advocates work within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of one of the aforementioned orientations, the “preferred paradigm” that best fits their “personal history” (Denzin, 2008, p. 322). Employing multiple frameworks or paradigms in the same study is supported by only one of the contemporary MMR positions noted above: the dialectical stance, which involves using multiple assumptive frameworks within the same study (e.g., Greene, 2007; Greene & Hall, 2010).
패러다임 다원주의와 관련된 주요 논점
혼합 방법 연구 지지자들은 일반적으로 패러다임 다원주의를 지지하지만, 이 개념과 관련하여 적어도 세 가지 주요 논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 논점은, 이전 섹션에서 언급한 것처럼, 혼합 방법 연구 지지자들과 비호환론자(incompatibilists) 사이의 지속적인 논쟁이다. 특히, Morgan(2007)이 언급한 "형이상학적 패러다임(metaphysical paradigm)"이 이러한 논쟁의 핵심이다. 이 패러다임은 연구 방법론을 구성하는 네 가지 주요 요소(인식론(epistemology), 존재론(ontology), 가치론(axiology), 방법론(methodology)) 간의 연결성을 강조한다.
Biesta(2010) 및 Greene & Hall(2010) 또한 이러한 연결된 가정에 대해 반대 의견을 제시한다. 이들은 특정 패러다임이 특정 방법을 "소유(ownership)"하게 되는 상황(예: 실증주의(postpositivism)가 양적 연구(QUAN)를 독점하는 것)을 비판하며, 방법론적 접근은 특정 패러다임에 고정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Whereas there is general agreement among MMR advocates regarding paradigm pluralism, there are at least three important issues regarding this characteristic. As noted in the previous section, disagreements between MMR advocates and incompatibilists will continue, particularly with regard to what Morgan (2007) calls the metaphysical paradigm that connects assumptions regarding epistemology, ontology, axiology, and methodology. Biesta (2010) and Greene and Hall (2010) also object to these interconnected assumptions largely because they lead to the “ownership” of methods by paradigms (e.g., postpositivism and QUAN methods).
패러다임과 방법론의 "소유권" 개념에 대한 비판
이러한 "소유권(ownership)" 개념에 대한 믿음은 이제 보다 미묘하게 표현되지만, 여전히 존재한다. 다음 인용문이 이를 잘 보여준다.
"혼합 방법론 운동은 질적 방법을 그것의 본래적 터전, 즉 비판적 해석적 틀(critical, interpretive framework)로부터 분리시킨다." (Denzin & Lincoln, 2005, p. 9)
그러나 우리는 특정 연구 방법에 "본래적 터전(natural home)"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하나의 연구 방법은 다양한 패러다임과 연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가 오직 양적(QUAN) 또는 질적(QUAL) 방법만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면, 그 결정은 특정 연구 방법과 인식론(epistemology) 간의 연계 때문이 아니라 연구 질문에 기반해야 한다.
Whereas the belief in such “ownership” is stated more subtly now, it still exists as exemplified by the following quote: “The mixed-methods movement takes qualitative methods out of their natural home, which is within the critical, interpretive framework” (Denzin & Lincoln, 2005, p. 9). We do not understand what a “natural home” for any research methods is, because multiple paradigms can be associated with any given method. If researchers want to use QUAN or QUAL methods exclusively, then that decision should be based on their research questions, not some link between epistemology and methods.
비호환론(incompatibilist) 논쟁과 방법론적 호환론(compatibility thesis)의 지속적인 방어
사회 탐구(social inquiry)에서 철학적 논쟁이 존재하는 한, 방법론적 비호환론자(incompatibilists)의 주장은 계속해서 제기될 것이다. 따라서, 혼합 방법 연구(MMR)의 지지자들은 방법론적 호환론(compatibility thesis)을 지속적으로 방어해야 하며, 최근 등장한 "완화된 비호환론(soft incompatibility thesis)"과 그것이 제시하는 연구 지침(Yanchar & Williams, 2006)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The incompatibilists’ arguments will continue to resurface as long as there are philosophical debates in social inquiry. MMR advocates must be diligent and persistent in their defense of the compatibility thesis, responding directly to new stances such as the soft incompatibility thesis and its research guidelines (Yanchar & Williams, 2006).
방법론과 패러다임 개념의 혼합으로 인한 혼란
방법론적 문제와 패러다임적 고려사항을 연결시키는 것은 "양적 패러다임(quantitative paradigm)", "질적 패러다임(qualitative paradigm)", "혼합 방법 패러다임(mixed methods paradigm)"과 같은 불행하고도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용어들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용어들은 MMR에서 개념적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여러 연구자들(Gorard, 2010; Gorard & Taylor, 2004)이 지적한 바 있다.
The linking of methodological issues with paradigm considerations also leads to unfortunate and misleading terms such as quantitative paradigm, qualitative paradigm, and mixed methods paradigm, as noted by others (e.g., Gorard, 2010; Gorard & Taylor, 2004). Mixing these terms contributes to conceptual confusion in MMR.
패러다임 다원주의와 실용주의
패러다임 다원주의와 관련된 두 번째 주요 논점은 **실용주의(pragmatism)**이다. 실용주의는 많은 혼합 방법 연구자들이 철학적 기반으로 채택한 접근법이며(Biesta, 2010; Howe, 1988; Johnson & Onwuegbuzie, 2004; Tashakkori & Teddlie, 1998), 혼합 방법 연구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혼합 방법과 관련된 실용주의의 구체적 특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The second issue regarding paradigm pluralism concerns pragmatism, which has been endorsed as a philosophical orientation by many MMR advocates (e.g., Biesta, 2010; Howe, 1988; Johnson & Onwuegbuzie, 2004; Tashakkori & Teddlie, 1998). Critics are now asking for more details on the characteristics of pragmatism that are associated with mixed methods.
Yvonna Lincoln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요즘 실용주의는 많은 실증주의자들을 숨겨주고 있다. (…) 문제는, 내가 보기에, 일부 혼합 방법 이론가들이 주장하는 실용주의는 오직 실행적 차원에서만 작동한다. 혼합 방법 연구자들은 자신들의 존재론(ontology), 인식론(epistemology), 가치론(axiology)에 대해 아무런 설명도 제공하지 않는다." (Lincoln, 2010, p. 7)
Yvonna Lincoln recently stated,
"Pragmatism is hiding many a positivist these days. . . . The problem, as I see it, is that pragmatism claimed for some mixed-methods theorists rests at the enacted level only. The mixed methods pragmatists tell us nothing about their ontology or epistemology or axiological position." (2010, p. 7)
실용주의에 대한 비판과 보다 정교한 논의
다행히도, 실용주의(pragmatism)와 혼합 방법 연구(MMR)와의 관계에 대한 보다 정교한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이러한 비판이 점차 해소되고 있다. 예를 들어, Johnson과 Onwuegbuzie(2004)는 실용주의가 혼합 방법 연구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실용주의의 21가지 특징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저술에서 Burke Johnson(2009, p. 456)은 **변증법적 실용주의(dialectical pragmatism)**를 "혼합 방법 연구를 위한 지원 철학(supportive philosophy)"으로 정의하며, 이는 전통적 실용주의와 Greene(2007)의 변증법적 접근을 결합한 개념이라고 설명한다. Johnson과 동료들의 연구가 기여한 바는, 이제 혼합 방법 연구와 관련된 철학적 실용주의의 개념이 보다 명확하게 정의되었다는 점이다.
Fortunately this criticism is being addressed as more nuanced discussions of pragmatism and its relationship to mixed methods emerge. For example, Johnson and Onwuegbuzie (2004) presented 21 characteristics of pragmatism to delineate how the tenets of that philosophy relate to MMR. In recent writing, Burke Johnson (2009, p. 456) defined dialectical pragmatism as a “supportive philosophy for mixed methods research” that combines classical pragmatism with Greene’s (2007) dialectical approach. The contribution of Johnson and his colleagues’ work is that we now have a more clearly defined picture of philosophical pragmatism related to MMR.
실용주의에 대한 Biesta의 관점
한편, Gert Biesta(2010, p. 97)는 실용주의를 다른 철학적 입장과 동등한 철학적 입장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철학적 도구의 집합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Biesta는 John Dewey가 철학적 체계를 구축하는 것에 대해 명확하게 경고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Dewey의 실용주의가 객관성(objectivity)과 주관성(subjectivity)의 인식론적 이원론(epistemological dualism)을 해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결론짓는다.
In contrast, Gert Biesta (2010, p. 97) contends that “pragmatism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philosophical position among others, but rather as a set of philosophical tools that can be used to address problems.” Biesta reminds us that John Dewey specifically warned against philosophical system building and concludes that Deweyan pragmatism has made a major contribution to the dismantling of the epistemological dualism of objectivity/subjectivity.
Biesta와 Johnson과 같은 연구자들이 제시한 보다 정교한 이론적 작업이 필요하며, 이는 혼합 방법 연구가 철학적 기반이 없다는 비판에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More sophisticated theoretical work such as that by Biesta and Johnson is needed to counter criticisms that mixed methods has no philosophical base.
패러다임 다원주의와 변혁적 패러다임의 차이
패러다임 다원주의(paradigm pluralism)와 관련된 세 번째 논점은 실용주의자(pragmatists)와 변혁적 패러다임(transformative paradigm) 지지자들 간의 철학적 가정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견해 차이이다. 실용주의적 논의에서는 인식론적(epistemological) 문제가 중심이 되며, "지식이란 무엇인가?", "지식은 어떻게 획득되는가?", "알고 있는 주체(knower)와 알려지는 대상(known)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즉, 객관성과 주관성의 문제)와 같은 논의가 이루어진다.
반면, Mertens et al.(2010, p. 195)은 가치론적(axiological) 가정이 더욱 중요하며, 이는 다른 세 가지 철학적 신념 체계를 정의하는 토대가 된다고 강조한다. 변혁적 패러다임은 연구자가 사회 정의(social justice) 문제를 보다 명확하게 다룰 필요성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가치론이 연구의 핵심이 된다는 것이다. 변혁적 학자들 및 사회 정의를 옹호하는 비판 이론가들에게 혼합 방법은 연구 방법이 아니라, 특정 가치 체계를 실현하는 도구로 간주된다.
A third issue related to paradigm pluralism concerns differences between pragmatists and advocates of the transformative paradigm with regard to the relative importance of philosophical assumptions. Epistemological issues tend to be emphasized in discussions of pragmatism such as what is knowledge, how is it acquir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er” and the “known” (objectivity-subjectivity). On the other hand, Mertens et al. (2010, p. 195) emphasize the axiological assumption that “takes precedence and serves as a basis for articulating the other three belief systems because the transformative paradigm emerged from the need to be more explicit about how researchers can address issues of social justice.” For transformative scholars, and critical theorists who promote social justice, mixed methods are tools that are used in the service of the value systems that are foremost to their perspectives.
실용주의자와 가치론 중심 학자의 공존
우리는 실용주의자와 가치론(axiological assumption)을 중시하는 학자들 모두가 혼합 방법 연구(MMR) 공동체라는 "큰 텐트(big tent)" 안에 포함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연구 방법(methods)과 연구 방법론(methodology)의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 방법이란 연구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전략(specific strategies for implementing research)을 의미하는 반면, 연구 방법론은 과학적 탐구의 광범위한 접근법(broad approaches to scientific inquiry)으로서, 연구 질문을 어떻게 구성하고 답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틀을 제공한다. 연구 방법에서 연구 방법론으로 논의가 확장될수록, 가치론적 고려 사항을 강조하는 학자들과 인식론적 고려 사항을 강조하는 학자들 간에 **내재적 긴장(inherent tensions)**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We believe that pragmatists and scholars who emphasize the axiological assumption are a part of the “big tent” to which advocates of MMR belong.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methods (i.e., specific strategies for implementing research) and methodology (i.e., broad approaches to scientific inquiry specifying how research questions should be asked and answered). As matters of methods move toward matters of methodology, inherent tensions may arise between scholars who emphasize axiological considerations as opposed to those who emphasize epistemological considerations.
연구의 반복적이고 순환적인 접근 방식
혼합 방법 연구(MMR)의 세 번째 핵심 특징은 반복적(iterative)이고 순환적(cyclical)인 연구 접근 방식이다. MMR은 연구 과정이 순환하는 특징을 가지며, 동일한 연구나 연구 프로그램에서 연역적(deductive) 논리와 귀납적(inductive) 논리를 모두 포함한다(예: Krathwohl, 2004; Tashakkori & Teddlie, 1998). 연구는 순환 과정의 어느 지점에서든 시작할 수 있다.
- 일부 연구자는 이론이나 추상적 일반화(abstract generalizations)에서 출발하며,
- 다른 연구자는 관찰(observations)이나 특정 데이터 포인트(data points)에서 출발한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 사실(facts) 또는 관찰(observations)에서 시작하여 →
- 귀납적 논리(inductive logic)를 통해 일반적인 추론(general inferences)이나 이론(theory)으로 발전하고 →
- 그 이론을 연역적 논리(deductive logic)로 검증하며 가설(hypotheses)이나 예측(predictions)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The third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MMR listed in Table 1 is an iterative, cyclical approach to research. MMR is characterized by the cycle of research, which includes both deductive and inductive logic in the same study or program of study (e.g., Krathwohl, 2004; Tashakkori & Teddlie, 1998). Research may start at any point in the cycle: Some researchers start from theories or abstract generalizations, whereas others start from observations or other data points. The cycle may be seen as moving from facts or observations (grounded data or results) through inductive logic to general inferences (theory or abstract generalizations), then from those general inferences (or theory) through deductive logic to tentative predictions or hypotheses related to outcomes or results.
혼합 연구는 최소한 한 번은 순환 과정을 거친다
우리는 모든 혼합 연구(single study)나 연구 프로그램이 최소한 한 번은 이 전체 순환 과정을 거친다고 믿는다(예: Teddlie & Tashakkori, 2009). 이러한 순환적 연구 접근 방식은 **Johnson & Gray(2010)**에 의해 개념화되었으며, 연구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논리적 맥락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 정당화의 논리(context or logic of justification)
- 연구 결과를 검증하는 과정
- 예측(predictions), 이론(theories), 가설(hypotheses)의 검증을 다룸
- 발견의 논리(context or logic of discovery)
- 연구 현상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과정
- 새로운 이론과 가설을 생성하는 과정
We believe that all mixed single studies or programs of inquiry go through the full cycle at least once, regardless of their starting point (e.g., Teddlie & Tashakkori, 2009). This cyclical approach to research has also been conceptualized (e.g., Johnson & Gray, 2010) in terms of the distinction between (a) the context or logic of justification—the process associated with the testing of predictions, theories, and hypotheses; and (b) the context or logic of discovery—the process associated with understanding a phenomenon in more depth, the generation of theories and hypotheses.
연구 논리에 대한 논쟁: 귀납, 연역, 그리고 유추(abduction)
이 특성은 혼합 방법 연구 지지자들 사이에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키지는 않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MMR에서 **유추적 논리(abductive logic)**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예: Erzberger & Kelle, 2003; Morgan, 2007).
Haig(2005, pp. 372–373)는 유추적 논리 abductive logic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유추적 논리는 관찰된 현상(phenomena)을 가정된 효과로 보고, 이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제공하는 근본적인 인과적 메커니즘(causal mechanisms)을 도출하는 방식의 추론 과정이다."
즉, 유추적 논리는 창의적인 통찰(insights)을 생성하고, 가능한 최선의 설명(best possible explanation)을 도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Morgan(2007, p. 71)은 **유추적 논리를 "귀납과 연역 사이를 오가는 일종의 추론 방식"**이라고 결론짓는다. 그는 실용주의적(pragmatic) 틀 내에서 유추적 논리가 혼합 연구에서 양적(QUAN)과 질적(QUAL) 연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This characteristic is not particularly controversial among MMR advocates, but some authors (e.g., Erzberger & Kelle, 2003; Morgan, 2007) have posited abduction as a third type of logic of particular relevance to MMR. Haig (2005, pp. 372–373) defines abductive logic as “reasoning from phenomena, understood as presumed effects, to their theoretical explanation in terms of underlying causal mechanisms.” Abduction entails creatively generating insights and making inferences to the best possible explanation. Morgan (2007, p. 71) concludes that abduction is a “kind of reasoning that moves back and forth between induction and deduction” and then summarizes some alternative uses of abduction within a pragmatic framework, including serving as a point of connection between QUAL and QUAN research.
유추적 논리에 대한 연구 부족
우리는 혼합 방법 연구 핸드북(Handbook of Mixed Methods) 2판을 편집하면서, 유추와 혼합 방법에 대한 장(chapter)을 추가하려고 시도했지만, 이를 다룰 준비가 된 적절한 저자를 찾지 못했다. 이것은 혼합 방법 연구 분야에서 유추적 논리의 개념과 실제 적용 방안을 발전시키는 것이 여전히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In our role as coeditors of the second edition of the Handbook of Mixed Methods, we solicited a chapter on abduction and mixed methods, but were unable to find a knowledgeable author who was ready to write about it. An important issue within the field is the development of concepts and applications related to the use of abductive logic within MMR.
혼합 방법 연구의 "시그니처" 연구 설계 및 분석 과정
혼합 방법 연구(MMR)의 네 번째 핵심 특징은 **기본적인 연구 설계와 분석 과정의 집합(set of basic research designs and analytical processes)**이다. 이는 대부분의 혼합 방법 연구자들이 인정하고 참조하는 요소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그니처(signature)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설계와 분석 기법이 포함된다.
- 병렬 혼합 설계(parallel mixed designs)
- 변환 혼합 설계(conversion mixed designs)
- 순차적 혼합 설계(sequential mixed designs)
- 데이터 변환(data transformation, 즉 양적 데이터의 질적 전환(qualitizing) 또는 질적 데이터의 양적 전환(quantitizing))
우리는 이러한 개념들을 **"시그니처 과정"**이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질적 연구(QUAL) 또는 양적 연구(QUAN)와 대비하여 혼합 방법 연구를 정의하는 고유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과정은 혼합 방법 연구만의 독창적인 특징을 형성하며, MMR을 순수한 질적 또는 양적 연구와 구별하는 요소가 된다.
The fourth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MMR listed in Table 1 is a set of basic research designs and analytical processes, which are acknowledged and referenced by most MMR scholars. These signature processes include parallel mixed designs, conversion mixed designs, sequential mixed designs, data transformation (quantitizing and qualitizing), and so forth. We call them “signature processes” because they define mixed methods in relation to QUAL or QUAN research; that is, they are unique to MMR and distinguish this approach from the other two.
용어와 정의에 대한 지속적인 논쟁
혼합 방법 연구에서 이러한 고유한 연구 과정이 존재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합의가 이루어졌지만, 각 용어와 정의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상당히 많다.
예를 들어, 우리가 **병렬 혼합 설계(parallel mixed designs)**라고 부르는 개념(Teddlie & Tashakkori, 2009)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동시적(concurrent), 동시 진행(simultaneous), 삼각검증(triangulation) 설계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각 용어에 대한 정의를 비교해 보면 공통적인 요소가 많다.
Although there is general agreement about the existence of these unique MMR processes, there is considerable disagreement about terminology and definitions associated with them. For example, what we refer to as parallel mixed designs (e.g., Teddlie & Tashakkori, 2009) have also been called concurrent, simultaneous, and triangulation designs, but there is much commonality across their definitions.
이처럼 기본 용어와 정의의 불일치 문제는 혼합 방법 연구가 독립적인 방법론적 접근법으로 등장한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Bryman(2008)은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한 바 있다.
"혼합 방법 연구를 논의할 수 있는 언어가 부족한 이유는, 우리가 걷기도 전에 뛰려고 하기 때문이다. 혼합 방법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를 통해 연구 실천(practice)과 지침(prescription)에 대한 일반 원칙이 다듬어져야 한다." (p. 88)
Inconsistencies in basic terminology and definitions have vexed MMR since its emergence as a separate methodological approach as noted by Bryman (2008):
"This lack of a language for writing about mixed methods research derives from the fact that we are trying to run before we can walk. There has been little systematic investigation of mixed methods studies out of which general principles regarding practice and prescription can be honed." (p. 88)
체계적인 용어 정의 접근법의 필요성
이러한 용어 혼란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 사례 중 하나는 Johnson, Onwuegbuzie, and Turner(2007)의 연구이다. 이들은 혼합 방법 연구의 정의를 도출하기 위해 19가지 대체적 의미(alternative meanings)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지속적 비교 분석(constant comparative analysis)한 결과, **다섯 가지 핵심 주제(five themes)**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합적(composite) 정의를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접근법은 혼합 방법 연구의 다의적 용어들을 정리하는 데 유용하며, Schwandt(1997)가 질적 연구를 위한 용어 사전을 개발했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혼합 방법 연구 분야에서도 용어 사전을 구축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An example of this kind of investigation comes from Johnson, Onwuegbuzie, and Turner’s (2007) definition of mixed methods research, which resulted from their examination of 19 alternative meanings. Their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definitions resulted in five themes, which they then incorporated into a “composite” definition. This systematic approach for defining MMR terms with multiple meanings is a valuable one, which could b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dictionary for the field similar to that developed for qualitative inquiry by Schwandt (1997).
이러한 용어 사전은 **혼합 방법 연구 용어들의 기원(etiology)과 다양한 의미를 요약(summarize)**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연구자들 간의 혼란을 줄이고 공통된 개념을 정립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Such a dictionary could summarize the etiology and various meanings associated with MMR terms.
결론(Conclusions)
이 논문에서는 혼합 방법 연구(MMR)의 공통된 특성을 소개하고, 현재 학계에서 해결해야 할 몇 가지 주요 이슈를 제시하였다. 혼합 방법 연구에는 이 외에도 중요한 논점들이 존재하지만(예: 연구 목적(research purposes)과 연구 질문(research questions) 간의 상대적 중요성 문제), 지면의 한계로 인해 모든 내용을 다루지는 못했다.
In this review, we introduced some common characteristics of MMR and presented a few contemporary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by scholars writing in the field. There are other critical issues in MMR (e.g., the relative importance of research questions as opposed to research purposes), but space limitations preclude us from discussing them.
혼합 방법 연구의 수렴(convergence)과 확산(divergence)
우리가 논의한 첫 번째 핵심 이슈는 이 분야가 보다 통합(convergence)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 아니면 계속해서 분화(divergence)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였다. 우리는 이론적 다양성(divergent thought)은 항상 혼합 방법 연구의 일부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표 1의 특징 #7 참조). 그러나 이제는 기본적인 특성과 원칙에 대한 더 큰 합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특히 혼합 방법 연구의 출현 덕분에, 향후 사회 및 행동 과학 연구에서는 보다 절충적인 방법론적 접근(eclectic blend of methodologies)이 더욱 확산될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절충적 방법론들은 학문 분야마다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만약 혼합 방법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이해하는 **핵심적인 정체성(core identity)**을 확립하지 못한다면, MMR은 단순히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포괄하는 하나의 접근 방식으로 흡수되어 버릴 위험이 있다.
The first issue we discussed was whether the field should be headed toward greater convergence (e.g., the common characteristics in Table 1) or continued divergence. We believe that divergent thought will always be a part of MMR (see Characteristic #7 in Table 1), but that it is now time for greater convergence on some basic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Due largely to the emergence of MMR, future research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will employ a more eclectic blend of methodologies, which may go by a variety of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the discipline where they originated. Unless mixed methodologists develop a core identity of commonly understood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that cross disciplinary boundaries, it may simply be absorbed into this eclectic blend of research methodologies.
혼합 방법 연구의 영향과 포용성
이러한 핵심 특성이나 원칙이 존재한다고 해서, 혼합 방법 연구의 결과가 연구 대상자들의 삶을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없거나(혹은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가 되거나), 새로운 연구 영역(예: Mertens(2010, p. 4)이 언급한 "들리지 않는 목소리(unheard voices)")를 배제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Nothing in such a set of characteristics or principles implies that the results from mixed methods studies would not (or should not) be used to improve the lives of those who are studi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ashakkori & Teddlie, 2010a). Nor will these principles lead to the exclusion of innovative areas of inquiry, both in terms of discipline and context (e.g., what Mertens [2010, p. 4] calls “unheard voices”).
MMR 분야의 발전을 위한 ‘행동 촉구(Call to Action)’
만약 혼합 방법 연구 분야가 보다 통합된 방향(convergence)으로 발전한다면, 이 논문에서 제기된 여러 이슈들이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 섹션에서는 언어(language), 교육(pedagogy), 철학(philosophy)과 관련된 문제들을 중심으로 ‘행동 촉구(call to action)’를 제안한다.
1. 언어(Language): 일관된 용어 사용의 필요성
많은 연구자들(예: Bryman, 2008; Johnson et al., 2007; Teddlie & Tashakkori, 2010)은 혼합 방법 연구에서 보다 일관된 용어 사용(terminological consistency)이 필요함을 강조해왔다. 이는 혼합 방법 연구의 주요 개념과 정의에 대해 학계 내에서 공통된 이해가 형성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혼합 방법 연구와 같이 새롭게 형성되는 연구 분야에서는 ‘언어’가 매우 중요하다. 우리가 이 분야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가 궁극적으로 우리가 이 분야를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Numerous authors (e.g., Bryman, 2008; Johnson et al., 2007; Teddlie & Tashakkori, 2010) have called for greater consistency in the language of MMR, in terms of consistency both in terms of the names and the definitions of common constructs. Language is very important in an emergent field such as MMR because the words we use to define the field ultimately shape how we make sense of it.
혼합 방법 연구(MMR)의 발전을 위한 주요 논의
이 논문에서 우리는 "시그니처 연구 설계 및 분석 과정(signature research designs and analytical processes)"(예: 병렬 혼합 설계, parallel mixed designs)를 논의하였으며, 이를 보다 일관된 용어(labeling)와 정의(definition)로 정리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MMR 맥락에서 보다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할 다른 개념들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Morgan(2007)**은 **"사회과학 방법론에 대한 실용주의적 접근(pragmatic approach to social science methodology)"**을 설명하는 개념적 틀을 제안했다. 이 틀은 다음과 같은 **핵심 실용주의 개념(pragmatic concepts)**을 포함한다.
- 유추적 논리(abduction)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
- 전이 가능성(transferability)
이는 **귀납/연역(induction/deduction), 주관성/객관성(subjectivity/objectivity), 맥락/일반성(context/generality)**과 같은 기존의 질적-양적(QUAL/QUAN) 이분법을 초월하는 개념들이다. Morgan(2007, p. 72)은 이러한 실용주의 개념을 더욱 발전시키는 것이 **"사회과학에서 전통적인 방법론적 문제들을 새롭게 사고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창출한다."**고 주장한다. 결국, 우리는 혼합 방법 연구에서 유추, 상호주관성, 전이 가능성, 그리고 사회 탐구(social inquiry)와 관련된 중요한 개념들을 보다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We discussed “signature research designs and analytical processes” (e.g., parallel mixed designs) and how they require greater consistency in labeling and definition. Other terms need to be brought into our lexicon in terms of what they mean within the MMR context. For example, Morgan (2007) put forward an organization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is proposed “pragmatic approach to social science methodology” (p. 73). This framework includes key “pragmatic” concepts such as abduction, intersubjectivity, and transferability that supersede the QUAL/QUAN dichotomies of induction/deduction, subjectivity/objectivity, and context/generality. Further development of these pragmatic concepts “creates a range of new opportunities for thinking about classic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social sciences” (Morgan, 2007, p. 72). We need better specification of what abduction, intersubjectivity, transferability, and other important terms related to social inquiry mean within the MMR context.
혼합 방법 연구의 교육(Pedagogy) 문제
언어(Language) 문제 다음으로, 교육(Pedagogy)은 혼합 방법 연구가 직면한 가장 중요한 일반적 문제 중 하나이다. 특히, 혼합 방법을 공부하는 대학원생들의 교과 과정(coursework)과 현장 경험(field experiences)에 민족지학적 방법론(ethnographic methodologies)을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가 제기된다. 더 나아가, 사회 및 행동 과학(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의 대학원 연구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방법론을 폭넓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과정(curriculum)**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
또한, 다음과 같은 중요한 질문들이 논의되어야 한다.
- 학생들이 혼합 방법 연구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연구 경험은 무엇인가?
- 이러한 연구 경험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는가?
- 박사 논문(dissertation work)을 통해?
- 팀 프로젝트(team projects)를 통해?
- 혹은 이 두 가지를 결합한 형태로?
혼합 방법 연구 및 박사 교육 전반에서 보다 다양하고 포괄적인 교육(training)과 연구 경험(research experiences)의 필요성이 최근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이는 혼합 방법 연구(MMR) 커뮤니티 내(Tashakkori & Creswell, 2008)뿐만 아니라, 미국 박사 교육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Richardson, 2006)에서도 다루어져 왔다.
Next to the language issue, pedagogy may be the most important general issue facing MMR advocates. A specific issue concerns how to integrate ethnographic methodologies within the coursework and field experiences of graduate students studying mixed methods. More generally, we need dialogue regarding the curriculum that graduate research programs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should require to ensure that students are exposed to a wide variety of methodologies. As important, we need dialogue about the types of research experiences that students require to start their journey toward becoming mixed methodologists and how they can acquire that training, either through dissertation work or in team projects or both. The necessity of a diverse and inclusive training and experiences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past few years, both within the MMR community (e.g., see Tashakkori & Creswell, 2008) and within the broader discussion of docto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Richardson, 2006).
혼합 방법 연구의 철학적(Philosophical) 논쟁
혼합 방법 연구의 실용주의(pragmatism) 개념을 보다 정교하게 다듬기 위한 논의도 지속되어야 한다.
향후 논의될 수 있는 주요 철학적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 실용주의는 하나의 철학적 시스템인가, 아니면 문제 해결을 위한 철학적 도구 집합인가?
- 혼합 방법 연구에 보다 적절한 실용주의 유형이 존재하는가?
- 예: 듀이식 실용주의(Deweyan pragmatism) 또는 다른 대안적 실용주의
- 혼합 방법 연구와 관련된 실용주의의 근본적인 철학적 가정은 무엇인가?
- 인식론(epistemological)
- 존재론(ontological)
- 가치론(axiological)
질적 연구(QUAL) 관점에서 철학적으로 접근하는 연구자들(예: Lincoln, 2010)은 앞으로도 혼합 방법 연구 커뮤니티에 대해 이러한 철학적 문제를 제기하며 비판할 가능성이 크다.
With regard to philosophical issues, we must continue to refine our conceptualization of pragmatism within the MMR context. We foresee a continuing evolution of this topical area with specific lines of discussion, including, among others, Is pragmatism a philosophical system or a set of philosophical tools that can be used to address problems? Is there a specific type of pragmatism that is more relevant to MMR than others (e.g., Deweyan pragmatism or some alternative)? and What are the underlying assumptions of pragmatism related to MMR (e.g., epistemological, ontological, axiological)? Philosophically oriented scholars (e.g., Lincoln, 2010) from the QUAL perspective will continue to criticize the MMR community on these issues.
MMR 커뮤니티의 지속적인 철학적 대화 필요성
보다 일반적으로, 혼합 방법 연구자들은 비호환론자(incompatibilists) 및 대립적 관점을 가진 연구자들과 이론적 논의(theoretical conversations)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많은 혼합 방법 연구자들은 철학적 논쟁이 해결 불가능한(intractable) 문제라고 여기며 이를 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혼합 방법 연구의 역사 자체가 "이분법적(either-or)" 논쟁(top-down 접근법; Morgan, 2007)을 피하고, 실질적 응용 연구(bottom-up 접근법; Tashakkori & Teddlie, 2010a)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대화에 지속적으로 참여해야 하며,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은(undecided) 연구자들에게 혼합 방법 연구가 사회 탐구(social inquiry)에 있어 실질적이고 유용한 방법론적 접근법임을 설득해야 한다.
In a more general sense, MMR scholars must be willing to engage in theoretical conversations with incompatibilists (and others who hold oppositional viewpoints). Many mixed methodologists tend to avoid what they consider to be intractable philosophical issues, because the history of MMR involved researchers turning away from unsolvable “either-or” arguments (top-down approach to research; see Morgan, 2007) and toward conducting applied research (bottom-up approach to research; see Tashakkori & Teddlie, 2010a). We must continue to be engaged in these dialogues to convince the “undecided” members of the research community that the mixed methods approach to social inquiry is viable.
결론: 혼합 방법 연구의 지속적 성장
우리는 혼합 방법 연구(MMR) 커뮤니티가 언어(language), 교육(pedagogy), 철학(philosophy)과 관련된 이슈들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혼합 방법 연구가 **제3의 방법론적 운동(third methodological movement)**으로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믿는다.
We believe that if the mixed methods community pays attention to these issues of language, pedagogy, and philosophy, then MMR will continue its emergence as the third methodological movement.
'Wilson Cent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학교육에서 혼합 방법 연구 사용: 연구자를 위한 기본 지침 (0) | 2025.02.07 |
---|---|
[혼합연구] 근거 이론, 혼합 방법 및 행동 연구 (0) | 2025.02.07 |
[혼합연구] 혼합 방법 연구의 정의를 향해 (0) | 2025.02.07 |
[Contemporary Theorists for Medical Sociology] 7 World systems theory and the epidemiological transition (0) | 2025.01.30 |
[The foundations of social research] Ch 7. CRITICAL INQUIRY: CONTEMPORARY CRITICS & CONTEMPORARY CRITIQUE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