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 의학 교육은 '즉흥 연주처럼 사고하는 것'이다.>

 

"폴 헤이딧은 의학에서 창의성이란 의사가 환자를 만날 때 재즈 음악인처럼 행동하는 것이 아닐까라고 넘겨짚는다. 그 분야야말로 협력적 즉흥 연주가 핵심일 테니까."

 

"환자의 경험에 몰입한다는 것은 환자를 공들여 따라가는 것을 의미할 텐데, 이것은 재즈 그룹의 일원 각자가 서로의 즉흥 독주를 따라가며 어떻게, 언제 독주를 받쳐 주고 언제 자신의 독주로 들어가야 할지를 아는 것과 꼭 같다. 즉흥 독주는 기본 문법, 예로 일련의 화음 위에 구축된다. 하지만 그 구조 주변에서 새로운 표현과 의미를 찾아 간다."

 

"재즈 음악인들은 악보 '그대로' 연주하는 것과 같이 프로토콜에 얽매이는 것을 증오한다."

 

"의학 교육은 앞에 놓인 조건을 파고들어 주변에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는 즉흥 연주자들을 만들어 내는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의학 교육은 표준화에 매달리는 경향이 있고, 무심코 악보만 따라가는 연주를 하는 임상의를 만들어 낸다. 이런 교육은 학생의 감각을 확장하기는 커녕 목을 조른다." 

 

- 의료인문학과 의학교육 中

 


 

"흔히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라는 스킬을 자전거 타는 것과 비슷하게 여긴다. 일단 습득하면 어떤 상황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지과학 연구에 따르면, 사고라는 것은 그런 종류의 기술이 아니다. 사고의 프로세스는 사고의 내용(즉, 도메인 지식)과 매우 밀접하게 얽혀있다."

 

https://pubmed.ncbi.nlm.nih.gov/30019184/

1

경제적으로 본다면, 혁신 능력이란 조직이 '더 적은 리소스로 더 많은 일을 하는do more with less' 방법을 적극적으로proactive 학습하려는 전략적 방법 중 하나이다.

 

2

창의성과 혁신에 대한 Anderson 등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직장에서 창의성과 혁신이란 일을 하는 새롭고 개선된 방법을 개발하고 도입하려는 시도의 과정, 결과, 산물이다.

이 과정의 창의성 단계는 아이디어 창출을 말하며,

혁신은 더 나은 절차, 관행 또는 제품을 지향하는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후속 단계를 말한다.

창의성과 혁신은 개인, 작업팀, 조직의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또는 이러한 수준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언제나 이러한 분석 수준 중 하나 이상에서 식별 가능한 편익을 얻을 것이다."

‘‘Creativity and innovation at work are the process, outcomes, and products of attempts to develop and introduce new and improved ways of doing things.

The creativity stage of this process refers to idea generation, and

innovation refers to the subsequent stage of implementing ideas toward better procedures, practices, or products.

Creativity and innovation can occur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work team, organization, or at more than one of these levels combined but will invariably result in identifiable benefits at one or more of these levels of analysis.’’

 

3

성격의 Big Five 모델에 따르면 개방성은 일관되게 창의성의 관련성을 보여준다. 또한 외향성과도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반대로, 성실성과 원만성은 창의성과 혁신과 부정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성실성과 원만성은 보건의료계 선발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또한 많은 직업군에서 성실성은 훈련과정의 성공training success와 긍정적으로 연관됨을 일관되게 보여왔다는 것도 딜레마이다. 그러나 성실성은 여러가지 측면을 포괄하는 다면적인 구인이다.

 

4

Innovation potential indicator (IPI)는 네 가지 차원(변화에 대한 동기, 도전적 행동, 작업 스타일 일관성, 적응성)에 대한 3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인의 창의적, 혁신적 행동에 대한 특성을 기반으로 평가한다.

 

5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성실성은 IPI 작업 스타일 일관성변화에 대한 동기과 긍정적 관계를, ‘도저적 행동과 부정적 관계를 보였다. 실제로 많은 연구자가 혁신에는 성실성이 낮은 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창의성과 혁신에는 동기motivation’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선발 과정에서도 창의성과 혁신을 핵심적인 요구사항으로 포함할지 여부에 따라 성실성을 취급하는 방식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출처:

Patterson, F., & Zibarras, L. D. (2017). Selecting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potential: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healthcare education.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22(2), 417-428.

'논문을 읽고 씁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계성의 한계에 대하여  (0) 2022.01.07
의학교육에서 젠더  (0) 2022.01.07
발달시험 활용  (0) 2022.01.06
자기주도학습(SDL)의 두 가지 차원  (0) 2022.01.06
습득적 역량과 참여적 역량  (0) 2022.01.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