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멘토링"의 정의는 매우 광범위하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멘토링은 경험이 부족한 초보자(일반적으로 나이가 많은) ‘경험 많은 베테랑의 두 사람 사이에서 이뤄지는 발달-향상적development-enhancing 관계이다. 의학교육에서 멘토링은 소그룹 리더, 지도교수, 프리셉터, 슈퍼바이저, 역할 모델과 같은 역할을 설명하는 데 다양하게 사용된다. 이 모든 역할이 실용적 지식 습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충분한 접촉과 "케미"가 있다면 역할 모델role model이나 슈퍼바이저supervisor도 학생에게 멘토가 될 수 있다. 또한 멘토링은 특정 교육과정이나 기관의 목표를 넘어, 개인적 및 전문직업적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주니어와 시니어 사이에서의 일대일, 상호적, 헌신적, nonsexual 관계라고도 볼 수 있다.

 

2

교수는 커리어의 단계마다 변화하며, 이 단계가 멘토-멘티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신임(주니어) 교수는 최근까지 학생의 입장이었기 때문에, 학생들의 시각과 요구 사항을 보다 면밀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종종 최신 지식이 풍부한 것도 장점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경험이 부족하여 자신의 멘토링 능력에 대한 확신이 낮고, 커리어 초기의 끊임없는 직업적 정체성 변화 속에서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가이드를 주기 어려울 수 있다.

 

중견 교수는 삶이 보다 확립되어 있고, 경험이 풍부하며, 점점 더 안정된 개인적 및 직업적 정체성을 형성했다는 장점이 있다. 커리어 패스와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는 시기이다.

 

시니어 교수는 차세대 사람들과 공유 할 수 있는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가지고 있다. 자기 분야에서 명성을 쌓았으며, 조직 및 직군 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기 분야의 역사에 대해서도 광범위하게 이해하고 있다.

 

3

멘티(학생)에 맞춘 접근법이 필요하다

 

첫째, 학생들의 목표가 다양하다. 포괄적( : "성공적인 의사가 됨"), 구체적( : "해부학 과정 통과"), 의학 관련 ( : "신체 검사 학습"), 직무(학습)-관련 습관( : "시간 관리 개선"), 개인적( : "의대 밖의 생활") 등이 그 예이다.

 

둘째, 학생들의 단계가 다양하다. 초기 단계 학생에게는 지시적directive 멘토링이 가능하며, 단기적 목표를가지고 구체적인 작업과 마감시한을 정해주는 것이 좋다. 반면 후기 단계Advanced 학생에게 멘토는 컨설턴트consultant 또는 공명판sounding board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멘토링의 초점이 장기 계획 및 커리어 개발로 달라지게 된다. 간단히 말하면, 효과적인 멘토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라 교육적 접근 방식을 달리 해야하며, 멘티가 독립적이며 자신감 있는 전문직이 되도록 돕는 점진적 "이유weaning 과정"을 밟아야 한다.

 

셋째, 멘티의 성별 및 인종을 고려해야 한다. 대부분의 의과대학에서 여성과 소수 민족의 비율은 (교수집단보다) 학생에게서 더 높다. , 교수는 다양한 성별과 인종을 지닌 학생을 멘토링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멘토는 성별과 인종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오해misunderstandings를 방지하기 위해 차이점을 인정하고 멘티의 고유한 관점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여성은 훈련과 직장에서 괴롭힘harassment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다. 여학생은 역할 모델이 되면서, 신뢰할 수 있고, 일과 삷의 균형을 보여주는 멘토를 중요시합니다. 또한 여학생이 여성 멘토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4

멘토는 다음을 해야 한다.

멘토링 관계에 대한 헌신과 정기적인 유지 관리maintenance가 필요하다. 이것은 공동의 책임이다.

멘토링 관계에는 정기적인 상호 작용이 중요하다. 상호간에 만남의 빈도와 기간에 대한 기대가 있어야 한다.

멘토는 멘티에 초점을 맞추고, 시간 경과에 따른 진행 상황을 추적해야 한다.

멘토는 조언을 주기보다는 질문을 던짐으로써 존중을 보여주고, 멘티의 자신감을 높여줄 수 있다. 멘티가 스스로 말할 때 독립성이 촉진된다.

멘토는 피드백을 제공하고 강점을 찾아내어준다.

멘토-멘티 관계 내에서 잘 진행되고 있는 것과 개선 할 것에 대해 정기적인 재평가/검토한다.

멘토도 인간이며 모든 대답을 반드시 지니고 있지 않음을 상기시킨다.

멘토는 멘티 자신이 학습에 궁극적 인 책임이 있음을 상기시켜줄 수 있습니다.

 

멘토는 다음을 하지 말아야 한다.

멘티에 초점을 두기보다 자신의 의제나 필요에 집중하지 말아야 한다.

멘티를 "공짜 노동력"으로 보거나 멘티의 업적을 빼앗지 말아야 한다.

멘티를 멘토의 커리어 패스, 철학, 의견을 모사하는mimic "클론"으로 만들고자 하지 말아야 한다.

 

멘티는 다음을 해야 한다.

멘티는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고, 건설적 비판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멘티는 멘토가 어떤 제안suggestion을 했다면 반응을 보여야 한다.

멘티는 멘토가 있음으로써 장애물을 피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았음을 인정해야 한다.

멘티는 멘토에게 존중을 표해야 한다.

 

멘티는 다음을 하지 말아야 한다.

멘티는 멘토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아야 한다.

멘티는 멘토의 관점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고 "불편하게 만들지 않는 것만이 능사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멘토를 과도하게 이상화하지 말아야 한다.

 

 

 

 

출처:

Rose, G. L., Rukstalis, M. R., & Schuckit, M. A. (2005). Informal mentoring between faculty and medical students. Academic medicine, 80(4), 344-348.

 

 

1

많은 전문가들은 멘토링 관계를 정치, 비즈니스 및 학계에서 성공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여긴다. 멘티는 자신감, 생산성, 만족도, 사회화, 커리어 선택, 학술활동 참여, 협력 관계 등을 얻을 수 있다.

 

2

멘토링은 보통 나이 든 전문가인 '멘토'와 젊은 동료인 '멘티' 사이에서 이뤄진다. 오딧세이에서, 멘토는 오딧세우스의 믿을 수 있는 친구였다. 오디세우스는 트로이 전쟁을 나서며 멘토에게 자신의 집과 아들 텔레마쿠스 (Telemachus)의 교육을 맡겼다. 이로부터 멘토라는 단어를 지혜롭고 충실한 카운셀러wise and faithful counselor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카운셀러이자 선생이면서, 후배나 동료의 성공을 위하여 지도하고 조언하고 돕는 사람을 의미한다.

 

3

열두 가지 팁은 다음과 같다. 

1 : 멘토는 역할에 대한 명확한 기대와 경청능력, 피드백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멘토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개발되는 것이기에 기관 차원의 교수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2 : 멘토는 문화와 젠더 문제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특히 자신이 가진 젠더나 문화적 편향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멘토와 멘티 간 반드시 젠더와 문화가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멘티가 원할 경우에는 가능해야 한다. 멘토와 멘티의 성별이 다를 경우 경계와 이해부족의 문제를 우려하곤 하나, , 대부분의 멘티들은 멘토의 성별이 꼭 같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3 : 멘토는 멘티를 지원해주면서, 동시에 도전적이어야 한다. , 지원과 도전의 균형이 중요하다.

 

4 : 멘토에게도 불확실성과 문제점을 표현할 수있는 포럼이 필요합니다. 멘토도 문제를 겪기 때문이다. 멘토링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토론하고, 조언을 구할 기회가 필요하다. 이 때 세부 사항을 기밀로 유지해야 하며, 동료나 전문가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면 좋다.

 

5 : 멘토는 전문적 경계(professional boundary)를 지켜야 한다. 멘토는 멘토링에 충실해야 하며, 멘토 교육에서 전문적 경계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고, 심리학자 또는 전문상담가와 같은 전문가에게 의뢰가 필요한 심리사회적 문제가 무엇인지 알려주어야 한다.

 

6 : 멘토도 멘토링이 필요하다. 보통 멘토링은 주니어를 대상으로 하지만, 시니어라고 멘토링이 불필요한 것은 아니다.

 

7 : 기관은 멘토를 인정해줌으로써, 멘토링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 리더는 멘토 그룹이 수행하는 일에 대해 가치를 인정함으로써, 멘토링이 의과대학에서 가장 가치있는 임무 중 하나라는 확신을 주어야 한다.

 

8 : 멘토도 보상을 받아야 한다. 멘토 리트리트, 저녁 식사, 학술 기금, 승진 등 다양한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

 

9 : 멘토링을 위한 시간을 보호해줘야 한다. 멘토링은 '그때그때 시간 될 때 대충' 수행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멘토는 이 의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시간을 할당 받아야 한다.

 

10 : 멘토에게도 지원이 필요하다. 멘토가 해결할 수 없는 문제(임상적 우울, 약물 오남용, 학업 문제 등)가 있을 때, 이를 인식하고 학습상담사 및 심리상담사 등의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멘티를 의뢰refer할 수 있어야 한다. 멘토가 갖추고 있지 못한 기술이 요구되는 역할을 멘토에게 강요해서는 안 된다.

 

11 : 학생들의 동료 간 멘토링을 장려해야 한다. 멘토 역할을 하는 동료로부터 통찰력, 경험, 아이디어, 가이드, 문제해결, 지지를 얻을 수 있다. 멘토링 경력에 따른 일종의 피라미드시스템을 갖춤으로써, 교수의 시간에 대한 압박도 조금은 완화될 수 있다.

 

12 :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멘토링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작업이므로, 주기적으로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새로운 접근법을 시도해볼 수 있다.

 

출처:

Ramani, S., Gruppen, L., & Kachur, E. K. (2006). Twelve tips for developing effective mentors. Medical teacher, 28(5), 404-4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