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읽고 씁니다.

전문직 정체성 형성: 전문직업성+정체성발달+형성

Meded. 2022. 1. 23. 08:25

1

지난 수십 년간 의학교육에서는 전문직업성을 더 많이 강조해오고 있다. 처음에는 의대생의 생명윤리, 의사소통, 행동에 초점을 두었는데, 보다 최근에는 전문적 정체성 형성(PIF)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했다. PIF는 전문직업성, 심리사회학 정체성 발달, 형성과 같은 매우 복잡한 과정을 반영한다.

 

2

전문직업성의 핵심 요소로는 생물윤리적 원리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기술, 이타주의, 책임감, 신뢰, 공감, 성실 등과 같은 속성을 다양하게 포함한다. 현대의학의 전문직업성은 의학과 사회 사이의 사회적 계약으로 본다. 즉 전문직에게 부여한 자율성, 명예, 특권을 제공하는 대가로 사회가 갖는 암묵적이고 명시적인 기대이다. 전문직업성은 의학을 행함에 있어 본질적 토대이며, 전문직의 속성과 치료자의 속성을 모두 포함한다. 전문직업성은 의료계와 사회의 계약일 뿐만 아니라 의사와 환자 사이의 전문적인 신뢰와 신탁적 관계(fiduciary)의 토대 역할을 한다.

 

3

PIF의 복잡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심리사회적 발달을 고려해야 한다. 이 과정은 사람마다 독특하다. 대부분의 의대생은 청소년기 후반에 일반인에서 의사로의 전환과정을 경험한다. 관련된 모델로는 에릭슨이 설명한 정체성 발달 모델이 있으며, 마르시아는 에릭슨의 이론을 더 정교화하여, 정체성 형성의 다양한 상태를 구분했다. 크게 산만, 유예, 차압, 성취(diffusion, moratorium, foreclosure, and achievement)의 네 가지 상태로 나눠진다. 이 네 가지 상태는 순차적인 것이 아니기에, 순서와 무관하게 네 가지 상태를 오갈 수 있으며, 발달 과정에서 어떤 상태로 되돌아올 수도 있다.

 

3-1

정체성의 네 가지 상태는 탐구(exploration)와 헌신(commitment)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 정체성 산만 상태는 정체성 옵션의 탐구는 물론, 특정 정체성에 대한 헌신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 정체성 차압 상태는 강한 헌신을 보여주나, 헌신에 앞선 탐구가 없고

• 정체성 유예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헌신은 없지만, 상당한 탐구를 보여준다.

• 정체성 성취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적절한 탐구를 한 후에 중요한 헌신을 한다.

 

3-2.

도덕적 발달은 PIF의 핵심 요소로 간주될 수 있다. 도덕적 발달은 4단계가 있지만, 반드시 순서대로 일어나진 않는다

• 도덕적 감수성: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인식함

• 도덕적 추론과 판단: 어떤 행동의 방향이 가장 정의로운지에 대한 의사결정에서 도덕적 원칙을 통합함

• 도덕적 정체성과 동기부여: 다른 유형의 가치(실용적 또는 심리적 가치)보다 도덕적 가치와 동일시함

• 도덕적 이행(implementation):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도덕적 가치를 집행할 수 있는 능력

 

4

도덕적 발달은 직업적 정체성의 발전에 필수적인 부분이며, 여기에는 환경적, 맥락적 요인이 많은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의과대학을 다니며 지지받거나 역량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었던 정체성은 강화될 것이다. 반대로 무시되거나 비판을 받은 측면들은 시들거나 왜곡될 것이다. 이러한 지지나 무시는 다양한 사람들(동료 학생, 교수, 직원, 환자)로부터 경험하며, 미묘할 수도, 노골적일 수도 있다. 전문직 정체성은 개개인의 고유한 필터를 거친 수많은 경험으로부터 구성된다.

 

5

의학 교육을 구성하는 많은 경험은 집단 속에서, 의료현장에서 발생한다. 그 과정에서 의사에 대한 이상화된 개념을 현대 의학의 현실과 조화시키게 된다. , 의료현장은 본질적으로 기대와 이상을 서로 비교할 수 있는 현실에 학습자를 노출시킨다.

비고츠키 [언어의 사용use of language] [더 박식한 타인more knowledgeable others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이 사회적 환경에서 학습과 인지발달을 이룬다고 제안하였다. Lave Wenger"실천 공동체" 라는 표현을 통해서, 학습은 학습자와 학습활동이 존재하는 맥락과 문화적 환경에 위치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반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6

문헌에 보고된 의대생들의 PIF와 관련된 요소로는, 관계, 성찰, 스토리텔링, 윤리적 딜레마, 역할 모델링, 일과 삶의 주기work-life cycle 등이 있다. 또한 유도된 성찰guided reflection, 내면화internalization, 관계구축, 역할모델의 필요성, 초기경험의 필요성, 탐구 및 헌신의 과정 등은 PIF 과정에서의 상호관련 영역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테마들이다.

 

출처:

Holden, M., Buck, E., Clark, M., Szauter, K., & Trumble, J. (2012, December).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education: the convergence of multiple domains. In HEC forum (Vol. 24, No. 4, pp. 245-255). Springer Netherl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