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협력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의 본질을 파헤치다
– Marjan Laal의 논문을 바탕으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의학교육이나 다양한 교수 상황에서 자주 언급되는 ‘협력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진정한 협력학습으로 작동하기 위해 어떤 요소들이 필요한지를 탐구해보려고 해요. 소개해드릴 논문은 Marjan Laal 교수가 발표한 *“Collaborative Learning; Elements”*입니다.
이 글 하나만 읽어도, 해당 논문의 핵심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찬찬히 풀어볼게요. 😊
🧩 협력학습이란 무엇인가요?
논문에서는 협력학습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어요.
“협력학습은 다양한 수행 수준의 학습자들이 소그룹으로 함께 공통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수업 방식이다.”
"Collaborative learning refers to an instruction method in which learners at various performance levels work together in small groups toward a common goal."
여기서 중요한 건, 단순히 모여 앉아 있는 게 협력학습이 아니라는 거예요. 서로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고, 공통의 책임을 가지며, 학습 공동체로서 기능할 때 진정한 협력학습이 되는 겁니다.
🤝 왜 협력학습인가요?
Laal 교수는 협력(collaboration)을 이렇게 설명합니다.
“협력은 상호작용의 철학이자 삶의 태도다. 개인은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며, 동료의 능력과 기여를 존중한다.”
"Collaboration is a philosophy of interaction and personal lifestyle where individuals are responsible for their actions, including learning and respect the abilities and contributions of their peers."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혼자 생각하고 일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함께 고민하고 함께 해결하는 방식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어요. 특히 교육현장에서는 토론, 협업, 다양한 시각의 교류를 통해 더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해지죠.
⚙️ 협력학습을 구성하는 5가지 핵심 요소
논문은 Johnson & Johnson의 연구(1990, 1998)를 토대로, 협력학습의 핵심 요소 다섯 가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어요.
1. ✅ 긍정적인 상호의존성 (Positive Interdependence)
팀원들은 서로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고, 누군가 제 역할을 하지 않으면 전체가 영향을 받는 구조여야 해요.
“각 팀원들은 성공을 위해 서로에게 의존해야 한다는 믿음을 가져야 한다.”
"Members need to believe that they are linked with others in a way that ensures that they all succeed together."
이런 구조가 제대로 만들어져야 협력학습이 작동해요. “너 없인 나도 없다”는 걸 모두가 이해해야 하죠. 🔗
2. 💬 상호작용 (Promotive Interaction)
팀원들은 서로를 도우며 배워야 해요. 단순한 정보 교환이 아니라, 문제 해결 방법을 설명하고, 개념을 논의하고, 서로의 이해를 확인하는 상호작용이 필요하죠.
“그룹 구성원들은 피드백을 주고받고, 결론을 도전하며, 가장 중요하게는 서로를 가르치고 격려해야 한다.”
"Group members must be done interactively providing one another with feedback, challenging one another's conclusions and reasoning,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teaching and encouraging one another."
3. 🙋 개별 책무성 (Individual Accountability)
공동 작업이라 하더라도 모든 팀원이 각자의 책임을 져야 해요. ‘무임승차’는 협력학습을 망치는 지름길이에요.
“모든 팀원은 작업의 자신의 부분과 학습 내용 전체를 숙달할 책임이 있다.”
"All members in a group are held accountable for doing their share of the work and for mastery of all of the material to be learned."
4. 🗣️ 사회적 기술 (Social Skills)
단순히 앉아서 얘기만 하면 될까요? 아니요. 협력은 기술이에요. 특히 신뢰, 의사소통, 갈등관리, 리더십 같은 사회적 기술이 매우 중요하죠.
“구성원들은 신뢰 구축, 의사결정, 커뮤니케이션, 갈등관리 등의 기술을 개발하고 연습해야 한다.”
"Members are encouraged and helped to develop and practice trust-building, leadership, decision-making, communication, and conflict management skills."
5. 🔍 집단 자기 평가 (Group Processing)
그룹은 주기적으로 “우리가 잘하고 있는가?”, “무엇을 개선할까?”를 돌아봐야 해요. 이를 통해 집단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죠.
“협력적 노력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구성원들의 효과성을 명확히 하고 향상시키는 것, 그것이 집단 자기 평가의 목적이다.”
"The purpose of group processing is to clarify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members in contributing to the collaborative efforts to achieve the group’s goals."
💭 협력학습이 왜 중요한가요?
이 논문에서는 **공자(Confucius)**의 오래된 말을 인용하면서 협력학습의 철학을 이렇게 정리하고 있어요.
“나에게 말하면 잊어버릴 것이다. 나에게 보여주면 기억할지도 모른다. 나를 참여시키면 이해할 것이다.”
"Tell me and I will forget, Show me and I may remember, Involve me and I will understand."
그리고 Silberman은 이 말을 확장해서 이렇게 표현했죠.
“내가 듣는 것은 잊어버리고, 듣고 보는 것은 조금 기억하며, 듣고 보고 질문하거나 토론하는 것은 이해하기 시작한다.
듣고 보고 토론하고 행동하는 것은 지식과 기술을 익히고,
누군가에게 가르치는 것은 완전히 숙달하게 된다.”
"What I hear, I forget. What I hear and see, I remember a little. What I hear, see, and ask questions about or discuss with someone else, I begin to understand. What I hear, see, discuss and do, I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What I teach to another, I master."
결국 학습자는 수동적으로 듣는 존재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가르칠 수 있을 때 진짜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거예요. 🎯
🧠 마무리 정리: 협력학습의 핵심 키워드
핵심 요소 의미 요약
✅ Positive Interdependence | 함께 살아남거나 함께 실패함 |
💬 Promotive Interaction | 적극적인 상호 설명과 지지 |
🙋 Individual Accountability | 책임은 각자에게 있음 |
🗣️ Social Skills | 신뢰와 소통, 갈등관리 능력 |
🔍 Group Processing | 정기적인 성찰과 개선 노력 |
🔶 1.1. 서론 (Introduction)
✅ 협력(Collaboration)의 철학적 의미
- **협력(collaboration)**은 단지 작업 방식이 아니라,
- 상호작용에 대한 철학이자, **개인의 삶의 태도(lifestyle)**이다.
- 이 철학은 다음을 전제로 한다:
- 개인은 자신의 행동(learning 포함)에 대해 책임을 지고,
- 동료의 능력과 기여를 존중한다.
- 사람들이 모여 집단을 이루는 모든 상황에서, 협력은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 방식을 제안한다:
- 구성원 각자의 역량과 기여를 존중하고 부각시키는 관계 설정
- CL에서는 다음과 같은 집단 내 민주적 구조가 중요하게 작동한다:
- 권한의 공유 (Sharing of authority)
- 책임의 수용 (Acceptance of responsibility)
✅ 협력학습(Collaborative Learning, CL)의 근본 전제
- 협력학습의 핵심은 경쟁이 아니라 협력이다.
- 구성원 간의 협력을 통해 **합의(consensus)**를 이끌어내는 방식이며,
이는 개인이 다른 구성원을 이기기 위해 경쟁하는 방식과는 대조적이다. - 이러한 협력적 철학은 단지 교실 수업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 위원회 회의, 지역사회 활동, 가정 내 상호작용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삶의 방식(living and dealing with people)**으로 실천된다 (Panitz, 1996).
✅ 21세기의 협력 필요성
- 협력은 **21세기의 대표적 인간 참여 방식(human engagement)**으로 주목받고 있다.
- 복잡하고 비판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 함께 사고하고, 함께 일하는 능력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Austin, 2000; Welch, 1998).
- 이에 따라 교육에서도 다음과 같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 개인 중심 시도 → 팀워크 중심
- 자율성 중심 → 공동체성 중심
(Leonard & Leonard, 2001)
✅ CL의 오해들 (Klemm, 1994)
협력학습은 종종 잘못 이해되는데, 다음과 같은 활동은 CL이 아니다:
- 각자 개별 과제를 하며 서로 대화만 나누는 것 (직접 혹은 온라인)
- 개인별로 과제를 수행한 후, 먼저 끝낸 사람이 나중에 끝낸 사람을 도와주는 것
- 한두 명만 과제를 수행하고, 나머지는 결과물에 이름만 올리는 것
✅ 진정한 CL은 상호 의존적이며, 공동 책임을 기반으로 한 적극적 참여와 지적 상호작용을 포함해야 한다.
✅ 본 논문의 목적
- 이 논문은 다음을 목적으로 한다:
- 협력학습의 기본 개념을 제시하고,
- CL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을 정의하고 특성화하려는 시도이다.
📌 요약 정리
항목 내용
협력의 개념 | 상호 존중과 책임을 전제로 하는 삶의 철학 |
CL의 핵심 전제 | 경쟁이 아닌 합의, 권한 공유와 책임 수용 |
21세기 교육 흐름 | 개인 → 팀, 자율성 → 공동체성 중심으로 이동 |
잘못된 이해 | 단순 대화, 비대칭적 과제 분담은 CL이 아님 |
논문 목적 | 협력학습의 정의와 핵심 요소를 체계적으로 설명 |
🔶 1.3. 결과 (Results)
✅ 인간 상호작용 방식의 세 가지 유형 (Brown & Lara, 2011, 인용: Johnson, 2009)
개인이 타인의 행동과 관련하여 행동을 취하는 방식에는 세 가지가 있다:
- 타인의 성공을 촉진하는 방식 (협력적)
- 타인의 성공을 방해하는 방식 (경쟁적)
- 타인의 성공/실패와 무관한 방식 (개별적)
즉, 개인은 다음 세 가지 방식 중 하나로 행동할 수 있다:
- ♻️ 협력적(cooperative):
공동의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 함께 작업하는 방식 - ⚔️ 경쟁적(competitive):
소수만이 도달할 수 있는 목표를 두고 서로 경쟁하는 방식 - 👤 개별적(individualistic):
다른 사람의 목표와 무관하게 자신만의 목표를 위해 학습하는 방식
✅ 협력학습(CL)의 특징 (Srinivas, 2011)
- CL은 학습자들이 집단을 이루어 문제를 해결하거나, 과제를 완수하거나, 산출물을 창출하는 교육적 접근이다.
- CL 환경에서는 학습자가 사회적·정서적으로 도전을 받는다:
- 다양한 관점을 듣고,
-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방어하며,
- 자신만의 개념적 틀을 구축하게 된다.
- 학습자들은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하게 된다:
- 동료와 의사소통
- 아이디어 제시 및 방어
- 다양한 신념 교환
- 다른 개념 틀에 대한 질문 제기
- 능동적 참여
✅ Johnson 외 (1990)의 협력학습 5대 핵심 요소
협력학습은 단순히 집단으로 학습하는 것과는 다르며,
다음의 5가지 구성 요소가 충족될 때에만 진정한 CL로 간주된다:
1️⃣ 명확히 인식된 긍정적 상호의존성 (Positive Interdependence)
- 팀원은 목표 달성을 위해 서로에게 의존해야 하며,
- 한 명이 역할을 다하지 않으면 모두가 손해를 본다.
- 모든 구성원은 서로가 성공해야 나도 성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공유해야 한다.
- 핵심 개념:
- “함께 하면 더 나은 학습과 산출물이 가능하다”는 믿음
2️⃣ 의미 있는 상호작용 (Considerable Interaction)
- 구성원들은 서로를 돕고 격려하며 학습을 촉진한다:
- 이해한 내용을 설명
- 지식 공유 및 수집
- 피드백 제공
- 결론과 추론에 대한 도전
- 서로에게 가르치고, 동기를 부여
- 이러한 상호작용은 쌍방향적이고 능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개별 책임과 개인적 책임 (Individual Accountability & Personal Responsibility)
- 각 구성원은:
- 자신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할 책임
- 학습할 모든 내용을 이해하고 숙달해야 할 책임이 있다.
4️⃣ 사회적 기술 (Social Skills)
- CL은 인지적 활동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량 개발도 중요시한다.
- 학습자들은 다음과 같은 기술을 배우고 연습한다:
- 신뢰 형성
- 리더십
- 의사결정
- 의사소통
- 갈등 관리
5️⃣ 집단 자기평가 (Group Self-Evaluation / Group Processing)
- 팀은 다음을 수행해야 한다:
- 그룹 목표 설정
- 현재 잘하고 있는 점 평가
- 더 나은 작동을 위한 개선 방안 도출
- 이는 팀의 지속적인 성장과 학습 효율성을 도모하는 핵심 절차이다.
✅ 핵심 요약표
요소 설명
상호의존성 | 함께 성공해야 한다는 믿음과 구조 |
상호작용 | 피드백, 설명, 도전 등 활발한 상호작용 |
개별 책임 | 각자의 역할과 학습에 대한 책임 |
사회적 기술 | 신뢰, 소통, 리더십, 갈등관리 등 협력에 필요한 역량 |
집단 평가 | 목표 설정, 진행 평가, 개선 전략 도출 |
🔶 1.4. 논의 (Discussion)
✅ 공자의 교육 철학: 참여를 통한 이해
2400여 년 전, **공자(Confucius)**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통찰을 남겼다:
- 🗣️ “말해주면 잊어버린다”
- 👁️ “보여주면 기억할지도 모른다”
- 🤝 “참여하게 하면 이해한다”
→ 공자는 이미 수천 년 전에,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때 진정한 학습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 21세기 학습자의 요청: “나를 참여시켜달라”
- 오늘날 학습자들도 공자와 동일한 메시지를 외치고 있다:
- “단순히 알려주지 말고, 내가 직접 참여하고 몰입할 수 있도록 해달라”
(Hsu & Malkin, 2011) - 학습은 단순히 정보를 누군가의 머릿속에 붓는다고 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 학습자는 스스로 **인지적 처리(mental processing)**를 수행해야 하며,
수동적 강의만으로는 진정한 학습이 일어날 수 없다.
✅ Silberman의 ‘능동 학습 신조’ (The Active Learning Credo)
- **Silberman (1996)**은 공자의 말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학습의 깊이를 설명하는 **능동 학습 신조(Credo)**를 제시했다:
활동 수준 학습 수준
내가 들은 것 | 잊어버린다. |
내가 듣고 본 것 | 약간 기억한다. |
내가 듣고 보고 질문하거나 토론한 것 | 이해하기 시작한다. |
내가 듣고 보고 토론하고 직접 해본 것 |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다. |
내가 다른 사람에게 가르친 것 | 완전히 숙달한다. |
- 이 Credo는 학습의 수준이 정보 수용 → 상호작용 → 수행 → 가르침으로 갈수록
점점 더 깊이 있는 이해와 숙달로 나아간다는 점을 보여준다.
✅ 논의의 시사점
- 참여와 몰입은 협력학습의 핵심 원리이자,
- 고대의 교육 철학과 현대 학습과학이 일치하는 지점이다.
- 협력학습은 학습자가:
- 질문하고,
- 토론하고,
- 직접 해보고,
- 타인과 상호작용하며,
- 심지어 가르치는 ‘행위자(Agent)’로 전환되는 교육적 환경을 설계한다.
📌 요약 정리
항목 내용
공자의 통찰 | 말보다는 직접 참여가 학습의 핵심 |
현대의 반영 | 학습자는 수동적 대상이 아니라, 능동적 주체 |
Silberman의 Credo | 듣기 → 보기 → 토론 → 실천 → 가르치기 = 학습의 심화 |
교육적 시사점 | 협력학습은 깊이 있는 참여와 몰입을 설계하는 접근 |
🔶 협력학습(CL)의 개념과 핵심 요소: 긍정적 상호의존성 중심
✅ 협력학습(CL)의 기본 개념 (Gokhale, 1995 인용)
- 협력학습(CL)은 학습자들이 공동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짝을 이루거나 소그룹을 구성하는 교수법이다.
- 이 교수법은 다음의 특징을 지닌다:
- 수준이 다양한 학습자들이 함께 소그룹으로 작업함
- 학습자는 자신뿐 아니라 동료의 학습에도 책임을 짐
- 한 사람의 성공이 다른 사람의 성공으로 이어짐
✅ 핵심 구성 요소: 긍정적 상호의존성 (Positive Interdependence)
▶ 정의 및 설계 방법
- 긍정적 상호의존성은 다음과 같이 구조화되어야 효과적이다:
- 구성원들이 “나 혼자 성공할 수 없고, 모두가 함께 성공해야 한다”는 인식을 갖도록 하는 구조
- 따라서 그룹의 목표와 과제는 다음의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 함께 성공하거나 함께 실패한다는 메시지가 전달되어야 함 (sink or swim together)
- 개별 구성원의 노력이 필수적이고, 대체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야 함
- 각 구성원이 자신만의 자원, 역할, 책임을 바탕으로 고유한 기여를 하도록 구조화되어야 함
▶ 핵심 효과
- 이러한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낳는다:
- 학습자는 **자신뿐 아니라 동료의 성공에도 헌신(commitment)**하게 된다.
- 긍정적 상호의존성이 없다면 협력학습도 성립하지 않는다.
- 구성원들이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명확히 이해하게 되면, 다음을 인식하게 된다:
- 모든 구성원의 노력이 필요하고 대체 불가능
- 각자의 자원, 역할, 책임을 기반으로 한 고유한 기여가 존재함
(Johnson, R.T., Johnson, D.W., & Holubec, E.J., 1998)
✅ 상호작용의 조건: 긍정적 상호의존성만으로는 부족하다
- CL 활동에서 요구되는 충분한 수준의 상호작용을 생성하려면,
긍정적 상호의존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 더 강한 상호작용을 유도하기 위한 조건
- 구성원들은 팀의 성공이 각자의 기여에 달려 있다고 인지해야 한다.
- 성공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상호작용, 특히 **대면 상호작용(face-to-face interaction)**이 필수적이라고 믿어야 한다.
✅ 핵심 정리
항목 설명
협력학습 정의 | 수준이 다양한 학습자들이 공동 목표를 위해 소그룹으로 작업 |
책임 구조 | 학습자는 자기 학습 + 동료 학습 모두에 책임 |
긍정적 상호의존성 | 구성원 간 “같이 성공해야 한다”는 인식 구조화 |
핵심 요소 | 개인의 기여는 필수이며 대체 불가능 |
상호작용 조건 | 긍정적 상호의존성 + 지속적, 대면적 상호작용 필요 |
🔶 협력학습의 구성 요소: 상호의존성, 상호작용, 개별 책무성
✅ 1. **긍정적 상호의존성 (Positive Interdependence)**의 한계와 조건
- 보고서 작성, 프로그래밍 과제 등은 하나의 공동 산출물을 만들기 때문에
겉보기에는 긍정적 상호의존성을 가진 과제로 보일 수 있다. - 하지만 이러한 과제가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반드시 요구하지는 않는다.
- 진정한 긍정적 상호의존성의 핵심은 다음에 있다:
- “자기 자신의 성공뿐만 아니라, 팀의 모든 구성원이 성공하도록 헌신하는 것”
(istudy, 2004)
✅ 2. 촉진적 상호작용 (Promotive Interaction)
- 촉진적 상호작용이란 학습 활동 또는 과제가 다음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말한다:
- 지속적인 대화(conversation)
- 의견 교환(exchange)
- 상호 지원(support)
- 구성원들은 실제로 함께 작업하면서,
- 자원을 공유하고, 서로를 돕고, 격려하고, 성취를 축하하며
→ **상호 성공을 촉진(promote)**한다.
▶ 이때 발생하는 주요 인지 활동과 상호작용 역학:
-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한 구두 설명
- 자신의 지식을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기
- 이해도 점검
- 현재 학습 중인 개념에 대해 토론
- 현재 학습과 과거 지식 간 연결짓기
➡️ 이러한 활동은 집단 과제 지시와 절차에 구조화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
▶ 결과적으로 CL 그룹은 다음의 이중적인 지원 체계가 된다:
구분 설명
학업 지원 시스템 | 각 구성원이 서로의 학습을 도와주기 위해 헌신 |
개인 지원 시스템 | 각 구성원이 상대방 ‘그 자체’를 지지하고 존중 |
📌 대면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촉진 과정 속에서,
구성원들은 서로의 성공과 존재 모두에 헌신하게 된다 (Foundation Coalition, 2004)
✅ 3. 개별 책무성 (Individual Accountability)
▶ 정의와 필요성
- 개별 책무성은 **무임승차(free riding)**나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적 장치이다.
- 이는 학습자 각자가:
- 자신의 수행과 학습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인식을 갖는 것
▶ 실제 구현 방법
- 각 개인의 수행을 평가하고,
- 그 결과를 개인과 그룹에 모두 피드백함으로써,
- 누가 더 많은 지원이나 격려가 필요한지 파악할 수 있다.
▶ 무임승차가 발생하기 쉬운 상황 (Harkins & Petty, 1982; Kerr & Bruun, 1981; Williams et al., 1981):
- 각자의 기여도를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
- 구성원들의 기여가 중복되는 경우
- 구성원들이 최종 산출물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 경우
➡️ 이럴 때 학습자는 책임감을 느끼지 않고, 학습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 CL의 목표와 개별 책무성의 의미
- 협력학습의 목적은, 각 구성원이 독립적으로도 강한 학습자가 되도록 돕는 것이다.
- 구성원은 함께 학습함으로써,
- 나중에는 혼자서도 더 잘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된다.
- 다시 말해, CL은 집단 속에서 학습한 내용을 개인의 내면화로 전환시키는 교수 전략이다.
📌 요약 정리
요소 핵심 내용
긍정적 상호의존성 | 개인과 집단 모두의 성공에 대한 헌신 구조 필요 |
촉진적 상호작용 | 상호 학습 촉진 활동(설명, 토론, 가르치기 등)을 통한 공동 몰입 |
개별 책무성 | 무임승차 방지, 각자의 기여도 명확화, 개인 역량 강화 목표 |
🔶 협력학습의 핵심 요소 ④⑤: 대인관계 기술 & 집단 과정
✅ ④ 대인관계 및 소집단 기술의 적절한 사용 (Appropriate Use of Interpersonal and Small-Group Skills)
▶ 협력적 목표 달성을 위한 필수 조건 (Johnson, 2005; 1991; Johnson & Johnson, 2008)
서로의 노력을 조율하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들은 다음과 같은 사회적 기술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 서로를 이해하고 신뢰하는 것
- 🗣️ 정확하고 명확하게 소통하는 것
- 💬 서로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것
- ⚖️ 갈등을 건설적으로 해결하는 것
📌 이 네 가지는 협력학습이 원활히 작동하기 위한 기초 역량이다.
▶ 사회적 기술 교육의 필요성
- 학습자들이 협력학습 환경에서 **질 높은 협력(high-quality collaboration)**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 관련 사회적 기술을 명시적으로 가르쳐야 하며,
- 그것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
- 집단 역학(group dynamics) 분야 전체는 다음의 전제를 기반으로 한다:
- “사회적 기술은 집단의 생산성을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다.”
(Johnson & Johnson, 2008)
✅ ⑤ 집단 과정 (Group Processing)
▶ 정의 및 개념
- 집단 과정이란, 그룹이 자신의 작동 방식을 **반성적으로 성찰(reflect)**하는 것을 의미한다.
- 여기서 ‘과정(process)’이란:
- 시간에 따라 일어나는 일련의 식별 가능한 사건들의 흐름
- **결과 목표(outcome goals)**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 **과정 목표(process goals)**란 그러한 결과를 이끌어내는 일련의 행위들을 의미한다.
▶ 집단 과정의 구체적 활동
- 집단 구성원들이 함께 모여 다음을 수행함:
- 서로의 행동 중 어떤 것이 유익했고, 어떤 것이 그렇지 않았는지 기술하기
- 계속 유지할 행동과 변경이 필요한 행동을 결정하기
➡️ 이를 통해 집단은 스스로의 작동 방식에 대한 통찰을 얻고,
→ 협력적 노력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 집단 과정의 목적 (Johnson & Johnson, 2008)
- 구성원들이 협력 목표 달성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 역할 수행의 명료화 및 집단 기능의 향상을 촉진하는 데 있다.
✅ 요약 정리
요소 핵심 내용
대인관계 및 소집단 기술 | 신뢰, 소통, 수용, 갈등 해결 등의 사회적 역량을 학습자에게 교육하고 활용하도록 유도해야 함 |
집단 과정 (Group Processing) | 집단의 작동 방식을 성찰하고, 유익한 행동은 강화하고 비효과적 행동은 수정하여 협력의 질을 향상 |
🔶 1.5. 결론 (Conclusion)
✅ 협력학습의 정의와 학습 환경
- **협력학습(Collaborative Learning, CL)**은
- 학습자 간의 **공동 지적 노력(joint intellectual effort)**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교육 접근 방식의 포괄적 개념(umbrella term)**이다.
- CL 환경에서는 학습자들이 다음과 같은 **사회적·정서적 도전(social and emotional challenges)**을 경험한다:
- 다양한 관점을 듣고,
- 자신의 아이디어를 명확히 표현하고 방어해야 하며,
-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 이 과정에서 학습자는:
- 동료들과 의견을 나누고,
-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토론하며,
- 다양한 신념을 교환하고,
- 서로의 개념 틀에 질문을 제기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 협력학습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들
협력학습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다음 5가지 핵심 요소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① 긍정적 상호의존성 (Positive Interdependence)
- 모든 팀 구성원이 서로에게 의존해야만 목표 달성이 가능함
- 한 사람이 역할을 수행하지 않으면 전체가 영향을 받음
- 구성원은 “우리는 함께 성공하거나 함께 실패한다 (sink or swim together)”는 믿음을 공유해야 한다.
② 촉진적 상호작용 (Promotive Interaction)
- 구성원들은 서로 가르치고, 문제 해결과 개념 이해를 도와주며,
- 학습을 지원하고, 격려하고, 성취를 함께 축하한다.
③ 개별 책무성 (Individual Accountability)
- 구성원 개개인이 자신의 학습과 과업에 책임을 져야 함
- 무임승차를 방지하고, 질 낮은 작업이 집단에 의해 수용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④ 사회적 기술 (Social Skills)
- CL은 다음과 같은 사회적 역량 개발을 요구하고, 지원한다:
- 리더십
- 의사결정
- 신뢰 형성
- 의사소통
- 갈등 해결
⑤ 집단 자기평가 (Group Self-Evaluation)
- 집단은 목표 달성 및 팀워크의 질에 대해 성찰하고,
- 어떤 행동이 도움이 되었고, 그렇지 않았는지를 평가하며,
- 지속하거나 변경해야 할 행동을 결정한다.
✅ 결론 요약 표
핵심 요소 설명
상호의존성 | 모든 구성원이 함께 성공해야 함을 인식 |
촉진적 상호작용 | 서로 가르치고 도우며 학습 성장을 촉진 |
개별 책무성 | 무임승차 방지 및 학습 질 향상 도모 |
사회적 기술 | 협력을 위한 리더십, 신뢰, 소통 등 훈련 |
집단 평가 | 팀 성과 성찰 및 행동 개선 전략 도출 |
Laal, M. (2013). Collaborative learning; element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83, 814-818.
'논문 읽기 (with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과학'은 과학인가요?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25) (0) | 2025.04.05 |
---|---|
의과 대학 성적 - “충분히 좋다”는 것만으로 충분할까요? (NEJM, 2025) (0) | 2025.04.05 |
협력학습이란 무엇인가요?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12) (0) | 2025.04.05 |
체크 박스를 넘어서: 임상실습에서 형성적 평가를 위한 직장 기반 평가 도구 사용 시 발생하는 긴장 탐색 (Acad Med, 2022) (0) | 2025.04.03 |
대학원 의학교육에서 임상 감독 시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지침: 체계적인 검토 (Postgrad Med J. 2022)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