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불확정 구역(Indeterminate Zones)
- 의료 분야에서 불확실하거나 불안정한 상황을 말하며, 가치 충돌이 자주 발생함
- 예를 들어, 표준 절차가 명확하지 않거나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 의사들은 신중한 판단력을 발휘하여 창의적으로 대처해야 함
2. 반성적 실천(Reflective Practice)
- 의료 전문가들이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보고 업무 방식을 개선하는 것
- 스포츠에서 경기 영상을 분석하여 전략을 평가하는 것과 유사하게, 의사와 간호사는 과거 행동을 반추하며 배움
3. 비판적 반성(Critical Reflection)
- 반성적 실천을 한 단계 더 나아가 기존 방식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권력 관계 및 사회적 가정에 대해 고찰함
- "이렇게 해왔다"는 식의 관행을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비판적 시각에서 재조명하며, 개선점을 모색함
- 기존의 관행이나 가정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비판적 시각에서 재조명하는 것
- 의문을 제기하고, 배경이 되는 권력 관계, 이데올로기, 가치관 등의 영향을 파악함
4. 지식 가치 존중(Valuing Knowledge)
- 과학적 연구에서 나온 지식뿐만 아니라 환자와 지역사회의 개인적 경험에서 비롯된 지식도 존중하고 배우는 것이 중요함
5. 옹호(Advocating)
- 의료 전문가들은 환자들을 위해 일방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과 협력하여 필요사항을 해결해야 함
- 상호 대화와 파트너십 기반의 접근이 필요함
6. 우회 방법(Workarounds)
- 기존 의료 시스템이 모든 이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창의적인 해결책이나 우회 방법이 필요함
- 정상적인 규칙만으로는 부족할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공식적인 방법을 찾아야 함
- 표준화된 절차나 시스템이 특정 상황이나 대상에게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때 활용
- 공식적인 규정을 우회하는 비공식적인 실천 방식을 말함
- 의사가 특정 약물을 처방할 때 보험 적용을 위해 다른 질병 코드를 기재하는 등의 행위
7. 비판적 반성의 목표(Critical Reflection Aims)
- 불평등과 불신의 상황에서 벗어나 정의와 협력적 문제 해결이 가능한 의료 환경을 만드는 것이 목표임
- 의료가 더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모든 이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큰 변화를 추구함
8. 비판적 반성 학습 방식(How is Critical Reflection Learned?)
- 교과서를 통해서가 아니라 실제 경험과 개인적 체험을 통해 배움
- 자전거 타기를 배우는 것처럼 실천하고 실수에서 배우는 과정을 거쳐야 함
9. 비판적 교수법(Critical Pedagogy)
- 일방적인 강의 방식이 아닌, 보다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교육 과정을 지향함
- 교육이 사회 변화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영감을 받음
10. 비판적 반성적 존재/시각/실천 방식 (Critically Reflective Ways of Being/Seeing/Doing)
- 단순한 인지적 활동이 아닌, 전인격적인 태도와 삶의 자세를 의미
- 존재(Being) - 자신의 정체성, 가치관, 동기 등을 성찰하는 자세
- 시각(Seeing) -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 자체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관점
- 실천(Doing) - 행동 하나하나가 비판적 안목에서 비롯된 실천
11. 반성적 vs 비판적 반성적 대화 (Reflective vs Critically Reflective Dialogue)
- 반성적 대화는 주로 자신의 행위에 대한 평가와 개선점 모색에 초점
- 비판적 반성적 대화는 그 행위 자체가 기반하는 기저의 권력 구조, 가정, 패러다임까지 문제 삼음
- 예: 환자 상담 시 대화 기법만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의사-환자 관계의 권력 불균형 자체를 지적
12. 실천의 인식론 (Epistemology of Practice)
- 이론이나 문헌 지식만이 아닌 실제 현장의 실천적 경험에서 창출되는 암묵지(tacit knowledge)를 중시
- 의사의 임상 훈련 과정에서 체득된 노하우나 조언 등이 여기에 해당
13. 권력에 대한 초점 (Power as a Focus of Critical Reflection)
- 의료 시스템 내에서 누가 권력과 특권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이것이 어떻게 억압이나 권한 부여로 이어지는지 살펴봄
- 기존 실천이 누구에게 이익이 되고 누구에게 해가 되는지 고려하여, 보다 공정하고 윤리적인 접근 방식을 모색함
요약하면, 이 강의는 의료 교육에 변혁적 전환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비판적 반성은 의료 전문가들이 단순히 자신의 행동과 지식을 반추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의료를 형성하는 사회적, 문화적, 권력 구조를 비판적으로 분석할 것을 주문합니다. 이를 통해 더욱 공정하고 공감적이며 대응력 있는 의료 환경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존중하고, 전문가들이 자신의 실천이 미치는 영향력을 깊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비판적 반성은 단순한 개인적 성찰 차원을 넘어서 기존 체제 및 관행에 가로막혀 있던 권력 역학과 이데올로기를 꼬집어내어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을 모색합니다.
궁극적으로 환자와 지역사회의 복잡한 요구를 인정하고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이고 인간적인 의료 체계를 만들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실제 경험과 실천에서 우러나온 지식을 중요시하며, 보다 민주적이고 참여적인 교육 방식을 지향합니다. 결과적으로 의료가 더욱 정의롭고 공정한 실천이 될 수 있도록 변혁을 꾀하는 것이 비판적 반성의 핵심 목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분야의 동향을 파악합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건의료전문직의 미래(Dr. Paula Rowland) (0) | 2024.04.24 |
---|---|
더 나은 의사가 되기 위한 디지털 도구 활용: 팬데믹이 우리에게 의료 서비스에 대해 가르쳐준 것은 무엇인가? (Dr. Onil Bhattacharyya) (0) | 2024.04.23 |
빅 데이터: 보건 전문직 내 및 기관 간 협업의 위험과 가능성(Dr. Mahan Kulasegaram) (0) | 2024.04.23 |
수술 데이터 과학 및 수술 성과 향상 (Dr. Amin Madani) (0) | 2024.04.21 |
의대 신입생: 정시와 수시, 현역과 재수, 수도권과 지방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