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밖에 아무거나

아무도 의심하지 않는 일곱 가지 교육 미신 중(2019년 6월 14일, 15일의 기록)

Meded. 2022. 6. 27. 05:51

<1장. 지식보다 역량이 더 중요하다는 미신>

 

블룸의 인지능력 분류학에서 지식은 하위역량으로, 분석과 평가는 상위역량으로 표현하고 있다. 하위역량과 상위역량으로 나누어 은유적으로 대조한 표현은 결과적으로 두 가지 오류를 야기한다. 첫째, 역량과 지식의 분리를 암시한다. 둘째, 지식은 덜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하위와 상위라는 대조적인 표현 대신에 지식과 역량의 관계를 보다 적절하게 표현한 사람들이 있다. 

 

에릭 허시는 지식과 역량의 관계를 스크램블과 같이 보았다. 계란에 버터 등 여러 가지 재료를 휘저어 만든 계란 스크램블을 다시 분리할 수 없듯이 지식과 역량도 분리할 수 없다는 의미다. 나는 지식과 역량의 관계를 이중나선 구조라고 한 동료 조 커비의 표현을 좋아한다. 그는 지식과 역량이 짝을 이뤄 표층학습surface learning에서부터 심층학습deep learning까지 나란히 발전한다고 본다. 우리는 수동적인 사실적 지식의 학습을 표층학습으로, 능동적인 역량의 연습을 심층학습으로 구분하기보다는 지식과 역량은 서로 얽혀 있고,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역량이 향상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여섯 번째 미신: 프로젝트와 체험 활동이 최고의 학습법이다.>

 

“전문적 활동을 하는 것은 전문적 활동을 배우는 것과 다르다.”

 

(프로젝트 방식의 수업에서) "학생들은 대부분의 수업시간을 시험과 수행평가를 대비한 토론으로 보내고, 실제로 시험문제를 풀이하고 수행평가를 해결한다. 학생들은 시험과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만들어 주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 체계적인 지식을 교사로부터 충분한 시간 동안 배울 수 없다.”

 

“이것이 바로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로 대학에 진학하게 되는 이유다. 언뜻 납득하기 어렵겠지만 학생들은 이미 자기주도적인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것처럼 인정받으면서 배우기 때문에 자기주도적으로 사고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축구 경기는 열한 명의 선수가 게임을 하여 이기는 것이 목적이다. 그런데 축구를 잘하게 만들기 위한 지도 방법에서 어렸을 때부터 열한 명의 어린이를 한 팀으로 만들어 정기적으로 게임을 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은 아니다.”

 

“학생들에게 복잡한 과제들을 많이 수행하도록 하면 그 복잡한 과제들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들을 숙달시키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나아가 중요한 요소들을 망각하게 하거나 심지어 중요한 것을 경시하게 만들어 버릴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11세 아이들에게 성인용과 동일한 크기의 정규 축구 경기장에서 열한 명씩 두 팀이 축구를 하도록 하면 그 아이들은 공을 패스하거나 다루는 실력을 배양하지 못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