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호주에서 보건의료교육 분야의 연구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2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세 가지는 아래와 같다.
(1) 학생들이 업무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의 이해
understanding how best to ensure students develop the required skills for work;
(2) 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웰빙을 촉진하는 방법의 이해
understanding how to promote resiliency and well-being in students; and
(3) 커리큘럼의 합목적성 확인
ensuring the curriculum is fit for purpose
3
연구 분야를 군집화하면 다음과 같다.
(i) 직장에서 함께 배우는 문화 Culture of learning together in the workplace;
(ii) 직업work 준비 Preparation for work;
(iii) 미래의 호주 의료 요구 충족 Meeting future Australian healthcare needs;
(iv) 교육학적 효과 Pedagogical effectiveness;
(v) 인력 문제 Workforce issues;
(vi) 커리큘럼 통합 Curriculum integration.
출처:
Palermo, C., King, O., Brock, T., Brown, T., Crampton, P., Hall, H., ... & E. Rees, C. (2019). Setting priorities for health education research: A mixed methods study. Medical Teacher, 41(9), 1029-1038.
'논문을 읽고 씁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프 잘 그리기 (2019년 2월 28일의 기록) (0) | 2022.02.28 |
---|---|
의과대학 통합교육(교육과정 수준, 과목 수준)의 한계 (0) | 2022.02.20 |
평가자 오차(Rater Errors)는 왜 생기는가? (0) | 2022.02.20 |
전문직업성을 행동으로, 시스템적 관점으로 바라보기 (0) | 2022.02.19 |
질적 연구에서 결과(Results)작성의 세 가지 원칙: 스토리텔링, 진실성, 논증 (0)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