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PE와 관련된 이슈에 관한 연구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은 오직 우리의 상상력뿐이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우리에게는 익숙한 패러다임(home paradigm)의 안과 바깥 모두에서 보고 생각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패러다임, 방법론, 방법을 명확히 해야 한다.

패러다임은 조사의 특정 접근방식을 형성하는, 특정 학문의 담론 내에서 공유되는, 철학적 공리와 가정이다.

방법론은 조사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구조적 접근법이다.

방법은 연구를 집행하는 구체적인 기법과 절차이다.

Paradigms are the philosophical axioms and assumptions that shape a particular approach to inquiry and that are shared within a disciplinary discourse.
Methodologies are the structural approaches to conducting acts of inquiry.
Methods are the specific techniques and processes of enacting inquiry.

예를 들어

실증주의는 패러다임이고,

무작위화된 통제 실험RCT은 방법론이며,

다양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 도구가 그 방법이다.

 

2

HPE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방법론은 풍부하다. 뿐만 아니라 학문분야가 발전하면, 의심의 여지 없이 자료 수집과 분석 도구 및 접근방식의 더 많은 혁신을 보게 될 것이다. 하지만 그 많은 방법을 모두 설명하려고 하기보다는, [특정 방법이 특정한 패러다임에만 속하거나 그것을 대변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실험이 반드시 실증주의자만의 것은 아니다. 관찰 작업이 단지 사회물질주의 학자만의 것은 아니다. 하나의 패러다임은 다수의 방법론을 가질 수 있고, 하나의 방법론은 다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수의 방법론이 다수의 패러다임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방법은 다수의 방법론에 동원될 수 있다.

 

 

3

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문헌고찰(literature review)을 생각해 보자. 연구자의 패러다임이나 방법론이 달라지면, 문헌고찰에 어떤 유형의 문헌을 포함할지도 달라질 수 있다. 양적 연구가 될 수도 있고, 질적 연구가 될 수도 있으며, 둘 다가 될 수도 있다. 피어리뷰된 논문만 포함할 수도 있고, 회색(gray)문헌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 문헌고찰에 대한 어떤 방법론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어떤 문헌을 분석할 것이며, 어떻게 문헌을 분석할지가 달라진다.

Meta analysis: 여러 과학 연구에서 얻은 효과를 통계적으로 합성하는 데 초점을 두며, 일반적으로 실증주의적 관점과 일치한다.

Scoping review: 이해를 형성하기 위해 문헌을 지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일반적으로 구성주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Realist review: 개입의 영향과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현실주의 패러다임의 대표적인 방법론이다.

 

4

정리하자면, 특정한 방법이나 방법론을 사용했다는 것이 곧바로 특정한 패러다임 접근법을 지칭indicative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떻게'보다는 ''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물론, 많은 학자들은 하나의 연구 패러다임 안에 파묻혀(embed)있다는 것도 이해 못 할 바는 아니다. 누구에게나 자신의 패러다임적 고향(paradigmatic home)이 있다. 하지만 그것이 다른 패러다임이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기 어렵게 만들 수도 있다. 특정한 방법에 지나치게 의존할 때, 게다가 그 방법에 대한 검증되지 않은 신념이 더해질 때, 복잡한 문제를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이 제한될 것이다.

 

5

성공적인 연구 중 다학제간 협력을 통한 혼합 방법 연구mixed method research를 찾아볼 수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각 패러다임의 장점을 결합함으로써 개별 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연구결과를 보다 의미있게 해석하고 적용방법을 도출할 수 있는 잠재력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무비판적, 비성찰적으로 학제간 연구 및 혼합 방법 연구를 하는 것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각 연구 방법론과 방법은 특정한 철학적 뿌리를 가지기에, 연구 방법을 혼합함에 있어 패러다임적 뿌리를 고려하고 존중하지 않는다면, 단순히 테크닉의 결합에 그치고 말 것이다.

 

 

출처:

MacLeod, A., Ellaway, R. H., Paradis, E., Park, Y. S., Young, M., & Varpio, L. (2020). Being edgy in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Concluding the philosophy of science series. Academic Medicine, 95(7), 995-998.

1

학술 프로젝트의 건전한 실패는 보건의료전문직교육HPE에서의 성공적인 학술활동의 중요한 요소이다. 실패는 성공의 결여로 정의될 수 있지만, '기대, 요구 또는 예상된 무언가의 비발생'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실패가 없다면 발견도, 새로운 이론도, 사상에서의 새로운 혁명도 없을 것이다. 가설과 이론의 반증falsification은 현대과학의 특징이며, 반증이란 어떤 아이디어가 실패하는 때가 언제인지에 달려있다. 변칙적이거나 예상치 못한 발견이 누적된다는 것은, 어떤 현상에 대한 [현재의 사고방식이 실패하였음]의 마커이며, 쿤은 이것이 패러다임 변화의 시작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2

실패는 사고의 진보에 필요하지만, 과학 공동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대중에게 연구에는 일정 빈도의 실패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기보다는, 의도적으로 일련의 결과물을 마치 논리적이고 선형적이며 실패가 없는 것으로 정교하게 큐레이션하고 홍보하는 것을 선택했다. 그 결과, 중요하지만 예상치 못한 발견을 집단적으로 놓쳐왔으며, 중요한 배움의 기회를 잃고 말았다.

 

실패의 유형은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3

첫째, 혁신 지향적 실패(Innovation-oriented failure)이다.

HPE[깊은 이론][완전한 실용]을 연결하는 분야다. Albert[서비스 지향 연구] [발견 지향 연구] 사이의 긴장을 이야기하면서, HPE연구를 [생산자(, 연구자 및 학자)를 위해 생산한 작업] [사용자(, 교육자 및 교사)를 위해 생산한 작업]의 스펙트럼으로 설명했다.

첫 번째 실패는 혁신적 사고방식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종종 혁신은 어떤 것을 '이렇게 해야 한다should be' 또는 '이렇게 되어야 한다should be done'는 생각에서 시작된다. 어떤 일을 하는 방식을 혁신하여 구현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는데, 때로는 효과가 있고, 때로는 효과가 없다.

토마스 에디슨의 유명한 '나는 실패한 적이 없다, 단지 그것이 작동하지 않는 10,000가지 방법을 발견했다'는 말은 혁신 지향적인 실패의 본질을 포착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실패는 체계적이고 진보적이며 목표 지향적인 실패다. 왜 혁신이 의도한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는지에 세심히 분석하여, 어떤 것이 어떻게 '되어야should be’ 하는지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

 

4

둘째, 발견 지향적 실패(Discovery-oriented failure)이다.

과학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논할 때, 종종 물리학의 역사를 떠올리게 된다. 천동설이라는 개념을 포기한 것이 대표적이다. 이는 '전형적인' 이해방식이 새로운 이론, 새로운 가정,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 대체되는 것이다. 새로운 발견, 새로운 이론, 사상의 새로운 혁명은 현상에 대한 현재의 이해가 실패할 때 나타난다.

이러한 유형의 실패는 발견 지향적인 실패다. 이러한 종류의 실패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또는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 의 가장자리periphery에서 발생한다. , 이론을 개발하거나 시험할 때, 가설을 반증하려고 시도할 때, 어떤 사고방식의 일반화 또는 새로운 맥락으로의 전이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때 일어난다. 아인슈타인의 '실패는 진행중인 성공이다라는 말은 발견지향적 실패의 전형을 대변한다. 이런 종류의 실패는 이론, 아이디어, 가설을 깨질 때까지 밀어붙이는 대규모grand scale의 실패이다. 통념에 도전하고, 사고의 변화 가능성을 열어두며, 기존 문제나 현상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탐구하며, 우리가 지금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의 한계를 시험하기 때문이다.

어떻게 보면 발견 중심의 실패는 엔지니어링 및 제조에서 파괴 시험의 원리와 유사하다. 파괴 시험에서 물체, 물질 또는 최종 제품은 세밀한 감시 하에 다양한 조건(: 압력, 온도, 진동)에 놓인다. 제품이 실패할 때까지 점점 더 스트레스 조건을 높인다.

 

5

셋째, 우연적 실패(Serendipitous failure)이다.

때로는 그저 일이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 아이작 아시모프는 '과학에서 들을 수 있는 가장 흥미진진한 구절, 새로운 발견을 예고하는 구절은 "유레카!"가 아니라 "그것 참 재미있군" ...이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기회주의적 실패는 발견의 패턴 뒤에 숨겨진 ''를 이해하기 위해 예상치 못한 발견을 붙잡고 늘어지면서 추적하는 데 초점을 둔다.

 

밥 로스가 '실수라는 것은 없다. 그저 행복한 작은 사고들만 있을 뿐이다'라고 말한 것처럼, ‘예상치 못한 사건의 가치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찰력과 진보는 실패를 새로운 이해를 창조하거나 발견하기 위한 기회로 포용할 때 얻어질 수 있다.

 

6

과학은 어리둥절함, 회의론, 실험을 통해 성장한다(Science grows in the mulch of puzzled bewilderment, scepticism, and experiment’). 우리는 지금까지 실패의 가치를 과소평가해왔고, 그 결과 좋은 연구란 선형적이고 성공에 포커스를 두고 있다는 편향된 관점을 형성하게 만들었다. 우리는 현대과학을 논리적이고, 선형적인 방법으로 서서히 증거를 축적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포퍼는 성공 가능성이 높은 작고 안전한 가설이 지식을 쌓는 데 기여할지 몰라도, 이해를 진전시키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오히려, 위대한 진보의 발걸음은 크고 위험한 아이디어에서 나온다.

 

만약 결과가 가설이 옳았다면, 당신은 측정을 한 것이다. 만약 결과가 가설에 반하는 것으로 나왔다면, 당신은 발견을 한 것이다. 우리는 실패가 주는 기회를 의도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왜 혁신이나 개입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을까?

왜 어떤 특정한 조건에서 이론이 실패했을까?

왜 깔끔하게 설계된 연구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진행되었을까?

 

7

실패한 프로젝트를 제쳐놓거나 서랍 바닥에 집어넣어버리는 것이 더 쉬울 수 있지만, 실패에 관여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는 것은 학문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회를 놓치는 것이다.

 

의도적으로 실패에 관여하는engaging with 것은 비단 연구팀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유익하다. 우리는 사회적으로 배우며, 다른 사람들의 일을 통해 배우기 때문이다. 생산적 실패를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겠지만, 공개적으로 실패와 협력하고 공유해야 한다. 공동체로서, 우리는 집단적 지식 기반을 키우기 위해 생산적인 실패와 그로부터 비롯되는 통찰을 더 편안하게 토론할 필요가 있다. 실패한 프로젝트에 대한 의도적인 공개적 토론은 제한된 연구와 교육 자원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실패에 의도적으로 관여하고, 실패한 일을 공개적으로 토론하는 것은 더 나은 학술 자원의 관리 및 성공적인 혁신의 translation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실패에 의도적으로 관여함으로써 공동체 전체에 성장형 마음가짐을 가져올 수 있다.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패하도록 설계된 그룹은 후속 작업을 더 잘 수행하였다.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와 잘 정의되지 않은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었다. ,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의 후유증은 '나중에 문제를 더 잘 풀게 되는 것'이다.

 

8

마지막으로, 실패를 성찰하려면 실패를 경험하고 공유한 과학자, 학자, 연구원들을 인정해주어야 한다. 공동체로서 실패를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실패로부터 배우는 것은 실패한 프로젝트의 경험을 인간화하고 정상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우리 모두는 실패하고, 또 실패하고, 그리고 계속 실패할 것이다. 만약 우리가 실패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우리의 분야를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Neil Gaiman은 이렇게 말했다. "가서, 흥미로운 실수를 하십시오. 영광스럽고 환상적인 실수를 하십시오. 그런 다음 그것들을 공유하십시오.”

 

 

 

 

 

출처:

Young, M. (2019). The utility of failure: a taxonomy for research and scholarship. Perspectives on medical education, 8(6), 365-371.

+ Recent posts